목차
머리말 ... 5
서장 : <B><FONT color ... #0000
1. 연구의 의의와 목적 ... 21
2. 연구 방법과 구성 ... 26
제1부 <B><FONT color ... #0000
제1장 부산시 사회복지사협회의 역사와 토착화 ... 33
Ⅰ. 들어가며 ... 33
Ⅱ. 협회의 역사 ... 34
1. 연혁 ... 34
2. 협회의 역사 ... 35
Ⅲ. 협회 현황 ... 54
1. 조직기구 ... 54
2. 임원 및 위원회 ... 54
3. 기본방향 ... 57
4. 회원규정 ... 58
5. 협회의 운영사업 ... 58
Ⅳ. 협회의 사회복지 토착화 과정 ... 61
1. 사회복지 전문지식과 기술 개발 보급 ... 61
2. 국제 교류를 통한 사회복지 정보 수집 및 제도 연구 증진 ... 62
3. 사회복지사 조직화를 통한 권익옹호 ... 63
Ⅴ. 나오면서 ... 64
제2장 외원기관의 역사와 토착화 ... 67
Ⅰ. 들어가며 ... 67
Ⅱ. 외원기관의 설립배경 및 조직 ... 69
1. 영연방아동구호재단(The Save the Children Fund, S.C.F) ... 70
2. 서전아동구호연맹(Swedish Save the Children Federation, S.S.C.F) ... 72
3. 캐나다아동구호재단(The Canadian Save The Chilldren Fund, C.S.C.F) ... 74
Ⅲ. 외원기관의 활동내용과 토착화 ... 76
1. 구호활동 ... 76
2. 의료사업 ... 78
3. 탁아소운영 및 직업보도교육 ... 82
4. 가정(아동)복지사업 ... 83
5. 시설구호사업 ... 92
6. 지역사회개발사업 ... 95
7. 기타 사업 ... 108
Ⅳ. 인적자원개발 ... 109
Ⅴ. 나오면서 ... 113
제3장 부산 가톨릭 사회복지의 역사와 토착화 ... 116
Ⅰ. 들어가며 ... 116
Ⅱ. 가톨릭 사회복지 활동의 역사적 전개 ... 118
1. 해방 후 활동(1945년∼1975년) ... 118
2. 인성회 조직 이후의 활동(1976년∼1991년) ... 130
3.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사회 복지 위원회 조직 이후의 활동(1992년∼현재) ... 134
Ⅲ. 부산의 가톨릭 기관의 사회복지 역사와 현재 ... 137
1. 천주교 부산교구 역사적 전개 ... 137
Ⅳ. 토착화 과정 ... 145
제4장 부산 기독교 사회복지의 역사와 토착화 ... 149
Ⅰ. 들어가며 ... 149
Ⅱ. 부산 기독교 사회복지의 역사 ... 150
1. 한국의 기독교 사회복지 실천 역사 ... 150
2. 한국교회와 복지사업 ... 152
3. 부산 기독교 사회복지 실천 역사 ... 154
Ⅲ. 부산 기독교 사회복지의 토착화 과정 ... 166
1. 전래 당시 의료나 교육에 중점을 둔 사업 진행 ... 166
2. 시기별 목회자의 복지의식에 따른 사회복지실천 167
3. 각종 재난 상황에 앞서 실천 ... 167
4. 기독교의 사회봉사의 의미와 한국 고유의 상부상조의식이 결합된 실천 ... 167
Ⅲ. 나오면서 ... 168
제5장 부산 의료사회복지의 역사와 토착화 ... 170
Ⅰ. 들어가며 ... 170
Ⅱ. 한국의 의료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 171
1. 근대적 의료사회복지 실천의 시작 ... 171
2. 한국 의료사회복지실천의 확대와 발달 ... 172
3. 정신의료사회복지의 분리 ... 172
4. 의료사회복지의 현재 ... 173
Ⅲ. 부산 의료사회복지의 역사적 발전과 현황 ... 174
1. 부산 의료사회복지의 역사적 발전 ... 174
2. 부산 병원의 발전과 현황 ... 178
Ⅳ. 토착화 과정 ... 197
1. 의료환경의 변화에 따른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변화 ... 197
2. 전문직으로서의 의료사회복지의 분화 ... 197
3. 의료사회복지의 전문화 ... 197
4. 의료사회복지업무의 다변화 ... 198
Ⅴ. 나오면서 ... 198
제6장 부산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역사와 토착화 ... 212
Ⅰ. 들어가며 ... 212
Ⅱ. 한국 정신보건행정과 입법의 변천 ... 213
1. 정신보건행정의 역사와 기본방침 ... 213
2. 한국 정신보건관련 입법의 변천 ... 216
Ⅲ. 부산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역사 ... 217
1. 절대빈곤의 시대 ... 217
2. 고도경제성장의 시대(정신요양원시대) ... 230
3. 의료보험의 시대(전문정신병원의 설립과 확장) ... 232
4. 정신보건법의 시대(지역사회정신보건의 대두) ... 238
5. 정신보건 사회복지사의 개인치료 세팅운영 ... 244
6. 개정장애인복지법의 영향 : 장애인의 범주에 정신장애인을 적용 ... 245
Ⅳ. 부산 정신보건사회복지의 현황 ... 246
1. 정신보건시설과 대상자 현황 ... 246
2. 정신보건전문인력의 현황 ... 248
3. 지역사회정신보건의 현황 ... 250
4. 알코올중독 예방과 치료현황 ... 255
Ⅴ. 토착화 과정 ... 258
1. 정신보건법 입법과 제도화에 따른 변화 ... 258
2. 부산의 정신보건시설의 변화 ... 258
3. 정신보건사회복지 기능의 변화 ... 259
4. 부산 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의 활동 ... 260
Ⅵ. 나오면서 ... 260
제7장 부산 YWCA의 사회복지 활동의 역사와 토착화 ... 263
Ⅰ. 들어가면서 ... 263
Ⅱ. 부산 YWCA의 역사 ... 264
1. 초창기(1946∼1956) ... 264
2. 발전기 : 필승각 회관 시대(1957∼1975) ... 265
3. 정착기 : 시민단체로 정착(1976∼1990) ... 272
4. 확장기 : 전문적 활동에 따른 지부 확장(1991년 이후) ... 279
Ⅲ. 부산 YWCA 강서구 종합사회복지관 현황 ... 283
1. 기본 현황 ... 283
2. 서비스 제공 현황 ... 283
Ⅳ. 부산 YWCA의 토착화 과정 ... 287
1. 시대적 배경에 따른 YWCA의 창설 ... 287
2.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근간으로서의 Y-틴 ... 289
3. 교정영역에서의 YWCA사업 ... 289
4. 자원봉사를 활용한 지역사회복지사업 ... 289
5. 전문적인 사회복지기관으로써 YWCA활동 ... 291
Ⅴ. 나오면서 ... 291
제8장 새들원의 역사와 토착화 ... 293
Ⅰ. 들어가며 ... 293
Ⅱ. 기관의 사회복지역사 ... 294
1. 설립자와 설립정신 ... 294
2. 연혁 ... 297
3. 사회복지 전개과정 ... 298
Ⅲ. 기관의 운영 현황 ... 328
1. 운영 현황 ... 328
2. 운영 시설 ... 328
3. 아동 현황 ... 329
4. 시설 규모 ... 329
5. 시설 운영 특성 ... 330
6. 직원 현황 ... 330
7. 원생들의 하루 일과 ... 331
8. 운영프로그램 ... 332
Ⅳ. 새들원의 사회복지 토착화 과정 ... 334
1. 아동복지시설의 운영시스템 선도 ... 334
2. 전문사회사업 도입과 전문인력 충원 ... 335
3. 아동발달 특성을 반영한 프로그램 운영 ... 337
4. 지역사회통합 확대 ... 339
Ⅴ. 나오면서 ... 340
제9장 남광사회복지회의 역사와 토착화 ... 346
Ⅰ. 들어가며 ... 346
Ⅱ. 남광사회복지회의 역사 ... 347
1. 법인연혁 ... 347
2. 사회복지의 전개과정 ... 348
Ⅲ. 기관 현황 ... 359
1. 법인의 기본현황 ... 359
2. 남광종합사회복지관 현황 ... 363
3. 남광재가노인복지관의 현황 ... 369
4. 남광아동복지원 ... 370
5. 금정자활후견기관 ... 372
6. 절영종합사회복지관의 현황 ... 374
7. 와치종합사회복지관의 현황 ... 382
Ⅳ. 사회복지 토착화 과정 ... 401
1. 시대적 욕구 변화에 따른 복지사업의 발전 추구 ... 401
2. 지역사회주민의 자발적 참여를 통한 사회복지대상자의 자립 지원 ... 401
3. 기아, 미아 보호사업과 입양사업의 서비스 연계망 구축 ... 402
4. 재가복지사업의 선도적 운영 ... 402
Ⅴ. 나오면서 ... 403
제10장 신애재활원의 역사와 토착화 ... 406
Ⅰ. 들어가며 ... 406
Ⅱ. 기관의 사회복지 역사 ... 407
1. 연대별 사업 ... 407
2. 기관의 연혁 ... 416
Ⅲ. 기관의 현황 ... 418
1. 신애재활원 ... 418
2. 신애직업재활원 ... 423
Ⅳ. 신애재활원의 토착화 과정 ... 424
1. 시대적 상황 ... 425
2. 기관 및 설립자의 신념 ... 425
3. 집중적인 서비스가 필요한 소외계층에 대한 관심 ... 426
4. 지역사회 연계망 구축 ... 426
5. 심리재활을 위한 노력-종교적 노력 ... 427
6. 재활서비스의 전문화 과정-교육재활 중심 ... 427
7. 장애인의 자립생활 지원 초점 ... 428
Ⅴ. 나오면서 ... 429
제11장 애광원의 역사와 토착화 과정 ... 431
Ⅰ. 들어가며 ... 431
Ⅱ. 우리나라 노인복지시설의 성격 ... 432
Ⅲ. 애광원의 역사적 전개과정 ... 434
1. 애광원의 설립자와 설립이념 ... 434
2. 법인 연혁 ... 435
3. 애광원의 노인복지실천 전개과정 ... 442
Ⅳ. 애광원의 운영현황 ... 447
1. 시설 현황 ... 447
2. 애광원의 주요사업 내용 ... 4449
3. 프로그램 사례 ... 453
Ⅴ. 토착화 과정 ... 465
1. 시대적 상황 ... 465
2.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인식변화 ... 465
3. 시설보호와 재가복지서비스의 통합 ... 465
4. 전문적인 노인복지서비스제공과 평가 ... 466
Ⅵ. 나오면서 ... 466
제12장 부산 기독교종합사회복지관의 역사와 토착화 ... 514
Ⅰ. 들어가며 ... 514
Ⅱ. 기관의 역사적 전개 ... 515
1. 태동기(1952년∼1964년) ... 517
2. 성장기(1965년∼1985년) ... 517
3. 발전기(1986년∼1999년) ... 518
4. 도약기(2000년∼현재) ... 519
Ⅲ. 간질환자를 위한 장미회 ... 519
1. 역사적 배경 ... 520
2. 간질환자의 특수한 문제 ... 520
3. 사회적응 성공사례 ... 522
Ⅳ. 기관의 현황 ... 530
1. 설립이념 ... 530
2. 로고 ... 530
3. 운영방침 ... 531
4. 관훈 ... 531
5. 현황 ... 532
6. 서비스 헌장 ... 532
7. 주요사업내용 ... 533
Ⅴ. 토착화 과정 ... 537
1. 토착화의 의미 ... 537
2. 사회복지 토착화 연구의 방법론 ... 538
3. 부산기독교종합사회복지관의 지역사회내의 토착화 ... 540
제13장 언론에서 본 <B><FONT color ... #0000
Ⅰ. 들어가며 ... 544
Ⅱ. 한국 사회복지의 단계별 변화 ... 549
1. 긴급구호와 보호우선(해방에서 1960년까지 15년간) ... 549
2. 경제건설과 선별적 복지(1961년에서 1987년까지 28년간) ... 550
3. 복지제도 확대기(1988년에서 1997년까지 10년간) ... 555
4. 복지국가 준비와 진입기(1998년에서 2006년까지 8년간) ... 557
Ⅲ. 부산 사회복지의 역사 ... 564
1. 개관 ... 564
2. 장애인 복지 ... 565
3. 청소년 복지 ... 568
4. 노인복지 ... 569
5. 여성복지 ... 571
6. 자원봉사와 지역복지 ... 575
7. 부랑인과 노숙자 대책 ... 578
8. 사회복지기관 실태 ... 581
Ⅳ. 부산 사회복지의 토착화 과정 ... 583
1. 공동모금회의 발족 ... 583
2. 지역신문과 복지참여 ... 585
3. 지역신문의 복지참여 성과 : 부산 복지전화 네트워크 ... 587
4. 지역복지운동의 결실 : 반송지역 '희망의 사다기운동' 확대 ... 588
5. 지방자치단체의 복지인식변화 ... 589
Ⅴ. 지방자치 시대의 부산사회복지의 과제 ... 592
1. 장애인들의 삶의 질 향상과 자활기반 구축 ... 593
2. 노인의 일자리 창출과 자립 기반조성 ... 594
3. 저출산과 여성복지 : 여성의 고용조건 개선과 보육정책 확대 ... 596
4. 양극화 해소와 언론의 사회적 책임 ... 598
5. 지방 재정분권 확보 ... 601
Ⅵ. 나오면서 ... 602
제2부 부산 사회복지 토착화
제1장 부산 청십자의료보험조합의 역사와 토착화 ... 611
Ⅰ. 들어가며 ... 611
Ⅱ. 청십자의료보험운동의 역사 ... 612
1. 태동기(1968∼1970) ... 612
2. 개척기(1971∼1975) ... 614
3. 과도적 성장기(1976∼1979) ... 614
4. 정착기(1980∼1983) ... 615
5. 성숙기(1984∼1986) ... 615
6. 전환기(1987∼1989) ... 615
7. 청십자조합 해체 이후(1990∼현재) ... 616
Ⅲ. 청십자의료보험조합의 토착화 과정 ... 616
1. 시대적 상황 ... 616
2. 설립자의 신념 ... 618
3. 선진국의 사회보장제도 연구를 통한 제도 도입 ... 621
4. 협동조합정신과 우리나라 전통적인 계의 사상적 유사성 ... 622
5. 청십자의료보험조합운동의 실무 책임자로서의 사회복지사의 존재 ... 623
6.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 참여 ... 624
7. 지속적인 활동 평가 ... 624
8. 지역사회 자원으로써의 지역교회 ... 625
Ⅳ. 나오면서 ... 625
제2장 부산 반송동 지역복지 토착화 사례 ... 633
Ⅰ. 들어가며 ... 633
Ⅱ. 반송지역의 특성 ... 634
1. 반송동의 유래와 역사 ... 634
2. 해운대구 내에서의 반송지역의 특성 ... 635
3. 반송 주민의 특성 ... 643
Ⅲ. 반송지역의 주요 사회복지사업 ... 645
1.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 645
2. 희망의 사다리운동 ... 650
3. 반송을 사랑하는 사람들 '희망세상 ... 661
Ⅳ. 언론을 통해 살펴본 반송지역 ... 668
1. 관련 신문기사의 주요 내용 ... 668
2. 반송동에 대한 기사내용 및 지역주민과의 인터뷰 ... 672
Ⅴ. 반송지역복지 실천사례의 사회복지 토착적 함의 ... 677
1. 반송동 사회복지의 토착화 과정 ... 678
2. 반송동 사회복지 토착화의 실천적 함의 ... 683
Ⅵ. 나오면서 ... 686
제3장 토착화 실천모델로서의 차선복지 모델 ... 690
Ⅰ. 들어가며 ... 690
Ⅱ. 차선복지모델 ... 691
1. 차선복지모델의 개발과정 ... 691
2. 차선복지 모델의 내용 ... 693
3. 차선덕지 모델의 평가 ... 698
Ⅲ. 나오면서 ... 702
제4장 부산 사회복지 실천의 토착화 현황과 방안 ... 704
Ⅰ. 들어가면서 ... 704
Ⅱ. 조사결과의 분석 ... 704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704
2. 사회복지 개입 이론의 실무 활용 시기 ... 707
3. 사회복지실천 모델 활용정도 ... 709
4. 사회복지실천에서의 모델 활용 ... 720
5. 사회복지실천 모델의 습득 ... 723
6. 한국적 사회복지실천 모델 개발에 대한 인식 ... 727
7. 한국의 사회문화 여건에 적합한 사회복지 개입방법의 실천 정도 ... 736
8. 사회복지 토착화 방안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 738
9. 부산의 특수성과 사회복지실천 ... 739
Ⅲ. 논의와 시사점 ... 751
1. 사회복지 실천의 지식기반으로서의 실천모델과 관련하여 ... 751
2. 한국적 사회복지실천 모델 개발방안 ... 752
3. 부산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사회복지 실천 모델 ... 753
Ⅳ. 나오면서 ... 754
종장 : 연구를 마치며
1. 연구를 마치면서 ... 759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