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 4 홍담헌(洪湛軒) 세계관의 두 국면 : 도학과 실학의 상수적(相須的) 연계 관계의 한 양태 ... 9 중세적 권위에 대한 도전 : 연암문학(燕巖文學)의 사상 기조 ... 63 연암사상(燕巖)의 이념적 범주와 반주자주의성(反朱子主義性) ... 81 박연암(朴燕巖)의 〈홍덕보묘지명(洪德保墓誌銘)〉에 대하여 ... 115 〈야출고북구기(夜出古北口記)〉에서 연암(燕巖)의 자아 ... 132 연암사상(燕巖思想)의 한계에 대하여 ... 142 정조(正祖)의 성학(聖學)과 그 성격 : 명덕(明德) 개념의 실학으로의 확충 ... 156 다산사상(茶山思想)에서 '상제(上帝)'의 도입 경로에 대한 서설적(序說的) 고찰 ... 185 다산사상(茶山思想)에서 '상제(上帝)'의 도입 경로와 성격 ... 209 조선 후기 문학사상과 문체의 변이 ... 232 조선 후기 '천기론(天機論)'의 개념 및 미학 이념과 그 문예ㆍ사상적 함의 ... 249 조선 후기 한시(漢詩)에서 민요취향(民謠趣向)의 대두 : 조선 후기 한문학의 역사적 변화의 한 국면 ... 269 찾아보기 ... 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