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통일문제의 새로운 문명사적 인식
제1절 21세기 새로운 세계질서 ... 21
1. 새로운 승자와 패자 ... 21
2. 마이크로칩과 생명·유전공학의 발견 ... 22
3. 군사력(무력질서)에서 경제적 시혜능력(화폐질서)으로 ... 24
제2절 시장경제와 민주주의 승리 ... 26
1. 거대한 민주주의 파도 ... 26
2. 평화질서를 위한 제도적 장치 ... 27
3. 오직 성령(Holly Spirit)으로 인간회복 ... 28
제3절 사랑과 민주주의 시대로 ... 30
1. 인간해방인가, 인류문명의 종언인가 ... 30
2. 유목민문화와 사랑의 윤리 ... 32
3. 열린 민족주의와 통일 ... 34
제2장 아테네 민주정치와 한국
제1절 아테네, 스파르타의 대결과 갈등 ... 39
1. 아테네 민주혁명 ... 39
2. 스파르타 원조를 둘러싼 보·혁대결 ... 41
제2절 아테네의 자만과 한국의 민주주의 ... 44
1. 아테네의 안보갈등과 민주주의 종언 ... 44
2. 민주적 평화공동체 건설 ... 47
제3장 한국분단의 새로운 조명
제1절 한반도 분단의 기본 성격 ... 51
제2절 한국분단의 국제정치적 원인 ... 52
1. 불투명한 분단의 원인규명 ... 52
2. 루즈벨트의 구상 ... 53
3. 언제 분단되었나? ... 56
제3절 한국분단의 대내적 원인 ... 59
1. 민족독립운동세력의 분열 ... 59
2. 해방 직후 민족운동의 과제와 그 전개 ... 61
3. 찬·반탁 투쟁과 좌우의 분열 ... 70
제4절 좌우합작운동의 실패 ... 80
1. 좌우합작운동의 전개 ... 80
2. 실패의 원인 ... 85
제4장 왜 민족공동체통일인가?
제1절 민족자각과 근대민족국가의 형성 ... 89
1. 인민의, 인민에 의한, 인민을 위한 정치 ... 89
2. 자유의 전도사, 나폴레옹 ... 90
3. 독일국민에게 고함 ... 93
4. 유태민족주의자 K. 마르크스와 독일민족주의자 비스마르크 ... 95
5. 명치유선과 한국의 뒤늦은 민족자각 ... 98
제2절 양극체제 전개와 한반도 ... 99
제3절 냉전기 남북한의 통일논의 ... 103
1. 통일론 부재시대의 통일논의 : 1960년대 말까지 ... 103
2. 남북대화의 개시 : 1970년대 ... 104
3. 북한의 통일공세와 한국의 민간통일운동의 분출 : 1980년대 ... 107
제4절 계급통일, 민족공동체통일 ... 110
1. 민족문제에 대한 인식의 차이 ... 110
2. 한국의 통일문제인식 ... 113
3. 북한의 통일문제인식 ... 115
제5절 탈 냉전시대의 통일논의 ... 117
1. 통일환경의 변화와 이익구도의 변화 ... 117
2. 통일논의 구도의 변화와 통일주도권의 반전 ... 119
제6절 왜 민족공동체통일인가? ... 121
1. 한반도 문제의 국제화 ... 121
2. 남북한이 직면한 경제위기 ... 122
3. 왜 민족공동체통일인가? ... 123
제5장 통일이념으로서의 자유, 평화, 평등
제1절 통일의 당위와 통일조국의 모습 ... 127
제2절 자유의 실체화 ... 129
제3절 평등한 복지사회의 실현 ... 136
제4절 평화유지와 구축 ... 138
1. 정전협정의 당사자 문제 ... 139
2. 평화협정의 당사자 문제 ... 140
제5절 자유와 평등의 조화 ... 142
제6장 네오마르크시즘운동
제1절 다국화사회에의 몸부림 ... 147
1. 마르크시즘의 변용 ... 147
2. 네오마르크시즘의 개념정의 ... 148
제2절 네오마르크시즘의 주요 쟁점 ... 151
1. 사상적 주변 사정 ... 151
2. 네오마르크시즘의 특징 ... 152
제3절 구소련·동유럽의 네오마르크시즘 ... 154
1. 비스탈린화운동과 네오마르크시즘 ... 154
2. 구소련과 동유럽의 차이 ... 155
제4절 비공산권의 네오마르크시즘 ... 157
1. 프랑크푸르투 학파 ... 157
2. 구조주의 마르크시즘 ... 160
제5절 운동의 실패원인 ... 162
제7장 신좌익운동의 개념과 배경
제1절 신좌익운동의 개념과 배경 ... 165
1. 문제의 제기 ... 165
2. 성립배경 ... 166
제2절 신좌익운동의 이론적 근거 ... 168
제3절 신좌익운동의 표출양상 ... 174
1. ‘스튜던트 파워’의 등장 ... 174
2. 산업사회에 대한 비판 ... 175
3. 반전운동의 전개 ... 176
4. 민권운동의 확대 ... 177
제4절 신좌익운동의 급진성 ... 178
제5절 신좌익운동이 급히 쇠퇴한 이유 ... 179
제6절 맺는 말 ... 182
제8장 제국주의와 종속이론
제1절 제국주의란 무엇인가? ... 185
제2절 제국주의 및 그에 대한 고전적 마르크스주의 이론 ... 186
1. 힐퍼팅의 견해 ... 187
2. 부하린과 레닌의 견해 ... 188
제3절 발전과 저발전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자 견해 ... 190
1. 바란의 견해 ... 190
2. 프랭크와 월러스타인의 견해 ... 191
제4절 종속이론(가설과 문제점을 중심으로) ... 193
1. 문제의 제기 ... 193
2. 종속이론의 주요가설 ... 194
3. 종속이론의 문제점 ... 197
제5절 제국주의, 종속이론의 한국에의 적실성 문제 ... 199
제9장 북한통치와 선국
제1절 스파르타 군국주의와 체제 ... 205
1. 스파르타 군국주의와 김정일 ... 205
2. 스파르타 부조정체와 김일성 왕조세습음모 ... 209
제2절 실리주의와 신사고 ... 213
1. 강성대국건설론의 기치 ... 213
2. 과학기술 중시 ... 215
제3절 모기장이론과 제한적 경제정책 ... 216
1. 7·1조치와 인플레이션에 대한 대응 ... 216
2. 북한 개방과 모기장이론 ... 217
제4절 민족공조강화추구(2002~2006) ... 218
1. 민족주의적 사회주의 주창 ... 218
2. ‘우리민족끼리’(폐쇄적 민족주의) 주창 ... 221
3. 민족해방론에서 민족공조론으로 ... 223
4. 군부우위의 국국주의체제 정착 ... 226
5. 대남, 김일성, 왕조체제 길들이기 ... 230
제10장 한국정치와 좌파이데올로기
제1절 한국정치의 현주소 ... 235
제2절 한국정치의 성격 ... 236
1. 분단체제적 성격 ... 236
2. 귄위주의적 성격 ... 238
3. 지역주의적 성격 ... 243
제3절 좌우익 대립과 한국 진보주의 정당의 운명 ... 248
1. 찬·반탁 투쟁과 좌우합작운동의 실패 ... 248
2. 미·소 냉전체제 속의 진보정당의 소장(消長)과정 ... 249
제4절 신좌익운동과 진보정치세력 형성의 제약성 ... 253
1. 산업화와 신좌익운동 ... 253
2. 사회주의권 붕괴와 진보정치세력 등장의 제약점 ... 256
제5절 절실한 민족공동체운동과 통일 ... 258
제11장 ‘고려연방제’ 통일방안
제1절 김일성과 북한의 연방제 ... 263
제2절 국가연합 방식의 연방제(1960~1979) ... 264
제3절 연방정부 방식의 연방제(1980~1990) ... 269
1. 자주적 평화통일을 위한 전제조건 제시 ... 271
2. ‘고려민주연방공화국’의 10대 시정방침 ... 271
3. 고려민주연방안의 개요와 문제점 ... 272
제4절 국가연합 장식의 연방제(1991~ ) ... 276
1. 체제보존, 생존전략 ... 276
2. 제도통일의 연기 ... 278
제5절 북한통일정책의 변화가능성 ... 282
1. 공산화 통일전략의 잠정유보 ... 283
2. 남북한 공존 유지에 역점 ... 283
3. 북한체제 유지에 역점 ... 284
제6절 소결론 ... 285
제12장 글로벌 시대의 도래와 한반도의 현실
제1절 글로벌시대의 도래와 한반도의 현실 ... 291
1. 소요의 시대 ... 291
2. 이데올로기적 갈등 ... 292
제2절 서구 근대 문명의 기본 전제 ... 293
1. 이성에 대한 믿음 ... 293
2. 풍요의 시대와 비인간화 ... 295
제3절 인간다운 사람의 기본 전제 ... 296
1. 사랑은 삶의 원동력 ... 297
2. 나누어진 것을 결합시키는 힘 ... 298
3. 힘과 정의(正義)의 근원 ... 299
4. 사랑의 시대 ... 300
제4절 민족 개념에서의 두 시각 ... 301
1. 한국에서의 민족 개념 ... 301
2. 북한의 민족관 ... 302
제5절 민족공동체의 형성 ... 303
1. 공동체 형성의 기초 ... 303
2. 공존 속의 민족공동체 운동 ... 307
제6절 통일방안의 모색 ... 308
1. 통일(統一)의 이념 ... 309
2. 남북 공동체 형성 단계 ... 310
3. 최우선 과제 ... 313
제13장 The Search for the New Professional Ethics in Developing Counties
제1절 RAISING THE QUESTIONS ... 317
1. A Change and Development ... 317
2. A review of the past professional Ethics ... 318
제2절 THE BASIC ASSUMPTION OF WESTERN MODERN CIVILIZATION ... 319
제3절 A BASIC ASSUMPTION ON THE LIFE WORTHY OF MAN ... 322
1. The driving force of life ... 323
2. Love is the power to combine the devided things ... 325
3. Love is the source of power and justice ... 326
제4절 TOWARD A NEW PROFESSIONAL ETHICS ... 327
제5절 LOVE AND DEMOCRACY ... 329
제14장 통일교육의 방안
제1절 국제정치환경의 변화와 통일교육의 필요성 ... 335
제2절 통일교육의 변천과정 ... 338
1. 이데올로기 교육적 접근 ... 338
2. 도덕교육론적 접근 ... 340
제3절 통일교육의 재정립 필요성 ... 341
1. 통일교육의 단계 ... 342
2. 이질화를 위한 교육 필요 ... 343
3. 통일문화 창조와 민족동질성 회복 ... 345
제4절 통일교육의 방향 ... 348
1. 통일교육의 이념 ... 348
2. 통일교육의 학제적 접근 ... 352
3. 닫힌 교육에서 열린 교육으로 ... 353
제5절 실현방안의 모색 ... 354
1. 통일교육 내용 및 교수학습방법의 쇄신 ... 354
2. 통일교육 전담요원의 전문성 향상 ... 355
3. 직업교육, 사회교육, 평생교육을 통한 통일교육 ... 356
4. 통일관(통일학습센터)의 설립운영 ... 356
제6절 맺는 말 ... 357
제15장 남북한 통일정책의 수립
제1절 함께 더불어 사는 길 ... 361
제2절 연방제의 의미와 ‘남북공동체연합’ ... 362
1. 연방제에 대한 협의적 개념 ... 362
2. 연방제에 대한 광의적 개념 ... 362
3. 연방제의 구성 요건 ... 364
제3절 ‘남북공동체연합’의 의의와 성격 ... 367
1. 남북공동체연합의 의의 ... 367
2. 남북공동체연합의 법적 성격 ... 368
3. 남북한 체제연합론에 대한 검토 ... 369
제4절 남북한 통일정책의 수렴 ... 372
1. 제3의 길 ... 372
2. 공동체 형성의 길 ... 372
3. 왜 한민족공동체연합인가? ... 374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