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심리검사의 의미와 기능 ... 13
심리검사의 의미 ... 13
측정 ... 14
검진 ... 14
평가 ... 15
사정 ... 15
진단 ... 16
척도 ... 16
심리검사의 정의 ... 17
심리검사의 철학 ... 19
심리측정론적 철학 ... 19
인상묘사론적 철학 ... 20
두 관점의 비교 ... 21
심리검사의 기능 ... 25
이해 ... 26
선발 ... 26
분류 ... 27
정치 ... 27
진단 ... 27
평가 ... 28
검증 ... 28
심리학적 평가와 치료 ... 28
임상적 의사결정을 위한 심리학적 평가 ... 29
치료기법으로서의 심리학적 평가 ... 29
치료계획을 위한 심리학적 평가 ... 31
치료성과의 유지를 위한 심리학적 평가 ... 33
심리검사의 분류 ... 33
검사내용 ... 35
검사장면 ... 35
목적명시 여부 ... 35
수검자의 인원 ... 36
자극구성 ... 36
검사주체 ... 36
측정단위 ... 36
표준화 여부 ... 36
자료수집방법 ... 37
측정내용 ... 37
구성형식 ... 37
일반화의 범위 ... 38
평가기준 ... 38
제2장 심리검사의 기원과 발달 ... 39
정신의학의 기여 ... 40
실험심리학의 기여 ... 41
정신지체에 대한 개념의 변화 ... 45
Binet와 지능검사의 발전 ... 46
집단검사의 발달 ... 48
성격검사의 발달 ... 49
제3장 심리검사의 제작절차 ... 55
제작목적의 설정 ... 58
검사내용의 정의 ... 59
검사방법의 결정 ... 59
척도화 방법 ... 60
문항작성 ... 75
문항작성을 위한 접근방법 ... 76
문항형식 ... 80
예비조사 ... 81
문항분석 ... 81
규준기준평가에서 문항분석 ... 82
준거기준평가에서 문항양호도 분석 ... 89
문항반응이론에 의한 분석 ... 93
제4장 신뢰도와 타당도 ... 105
신뢰도 ... 105
검사-재검사 신뢰도 ... 106
동형검사 신뢰도 ... 107
반분신뢰도 ... 108
문항내적 합치도 ... 110
채점자 신뢰도 ... 111
신뢰도와 측정의 표준오차 ... 112
신뢰도계수들 간의 비교 ... 114
신뢰도 추정에 고려할 사항 ... 116
타당도 ... 118
내용타당도 ... 118
안면타당도 ... 121
준거타당도 ... 121
구인타당도 ... 124
제5장 규준 ... 127
규준 작성에 필요한 기초 통계 ... 128
규준의 종류 ... 133
발달 규준 ... 133
집단 내 규준 ... 136
전국규준 ... 141
특수규준 ... 142
전국 투묘규준 ... 142
고정참고집단 규준 ... 143
준거참고검사 ... 144
기대표 ... 145
제6장 심리검사의 실시, 채점 및 해석 ... 147
심리검사의 실시 ... 147
심리검사의 취급자격 ... 148
심리검사의 선택 ... 152
검사의 실시절차 ... 154
검사자와 수검자 변인 ... 161
심리검사의 채점: 일반적 절차 ... 173
채점의 절차와 내용 ... 173
채점의 오류를 줄이는 방법 ... 176
검사결과의 해석 ... 178
해석의 기본관점 ... 180
결과해석의 핵심내용 ... 182
통계학적인 해석방법 ... 185
측정오차를 고려한 해석 ... 186
제7장 지능이론과 지능검사 ... 191
지능이론과 구조 ... 191
지능의 정의 ... 192
지능의 모형 ... 195
개인용 지능검사 ... 203
초기의 Binet척도 ... 203
Terman의 Stanford-Binet척도 ... 206
Wechsler 지능검사 ... 212
K-ABC ... 231
제8장 인벤토리형 성격검사 ... 255
성격검사의 역사 ... 257
성격검사의 분류 ... 258
캘리포니아 성격검사(CPI) ... 262
MBTI검사 ... 267
욕구진단검사(EPPS) ... 272
성격차원검사(EPS) ... 274
성격요인검사(16PF) ... 277
NEO-PI ... 284
다면적 인성검사(MMPI) ... 291
성격평가질문지(PAI) ... 316
인벤토리형 성격검사의 특징과 문제점 ... 330
제9장 투사법검사 ... 335
투사법검사의 기본가정 ... 337
로르샤하검사 ... 338
로르샤하 검사의 발달 ... 338
잉크반점의 구성 ... 340
검사의 실시 ... 340
채점 ... 347
구조적 요약 ... 363
사례 ... 364
해석 ... 368
주제통각검사(TAT) ... 380
발달배경 ... 380
기본가정 ... 382
검사재료 ... 384
실시방법 ... 387
분석방법 ... 393
한 환자에 대한 TAT 반응내용과 해석 ... 407
문장완성검사(SCT) ... 419
Rotter 문장완성검사 ... 420
Sacks 문장완성검사 ... 421
인물화검사(DAP) ... 424
발달배경 및 이론 ... 424
실시방법 ... 428
해석 ... 429
사례 ... 438
Rosenzweing 그림좌절검사 ... 442
집-나무-인물검사(HTP) ... 444
제10장 신경심리검사 ... 447
신경심리검사의 발달 ... 448
신경심리검사의 목적 ... 451
대뇌피질과 행동 ... 453
기질적 기능장애 ... 459
신경심리검사의 시행 ... 469
신경심리검사 결과의 해석 ... 473
전산화 신경심리검사 ... 475
제11장 심리검사와 컴퓨터 ... 477
컴퓨터가 활용되는 영역 ... 478
컴퓨터화된 검사의 절차 ... 485
조정하는 검사의 특징 ... 490
컴퓨터 사용의 문제점 ... 493
제12장 검사의 사회적ㆍ윤리적 문제 ... 495
심리검사에 관한 윤리적 쟁점 ... 496
사용자의 자격요건 ... 496
검사발행업체의 책임의식 ... 497
사생활 보호 ... 498
비밀보장 ... 498
검사결과의 전달 ... 499
문화적 소수집단의 검사 ... 499
교육 및 심리검사에 관한 윤리강령(미국 표준서) ... 502
참고문헌 ... 521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