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경험적 가족치료 ... 13
1. 주요 인물 ... 18
1) 칼 위터커 ... 19
2) 버지니아 사티어 ... 21
3) 월터 켐플러 ... 23
4) 프레드 덜, 바니 덜, 데이비드 캔터 ... 24
2. 주요 개념 및 치료목표 ... 26
3. 치료기법 ... 29
1) 위터커의 기법 ... 30
2) 켐플러의 기법 ... 33
3) 덜과 캔터의 기법 ... 34
4. 치료이론 및 결과의 평가 ... 36
5. 경험적 가족치료에 대한 이해 ... 38
제2장 사티어 모델의 개념 및 가정 ... 57
1. 사티어 성장모델의 개념 ... 59
1) 성장모델의 개념 ... 59
2) 세상과 인간에 대한 개념 ... 60
2. 사티어의 치료적 신념과 가정 ... 67
1) 인간에 대한 신념과 가정 ... 68
2) 성장과 변화에 대한 신념과 가정 ... 68
3) 감정과 극복에 대한 신념과 가정 ... 69
4) 문제와 스트레스에 대한 신념과 가정 ... 69
5) 선택과 수용에 대한 신념과 가정 ... 69
6) 부모에 대한 신념과 가정 ... 70
3. 역기능에 대한 관점 ... 70
1) 자아존중감 ... 71
2) 의사소통 및 대처유형 ... 72
3) 가족규칙 ... 84
4. 거시적 목적과 구체적 목표 ... 86
제3장 변화의 변형과정 ... 89
1. 변화의 개념 ... 91
2. 치료적 변형의 순환적 단계 ... 92
1) 〈1단계〉 정체상태: 폐쇄체계 ... 93
2) 〈2단계〉 외부요인의 도입 ... 94
3) 〈3단계〉 혼돈: 체계의 개방 ... 97
4) 〈4단계〉 변형: 존재의 변화 ... 100
5) 〈5단계〉 통합 ... 101
6) 〈6단계〉 실습: 변화의 실행 ... 101
7) 〈7단계〉 새로운 상태: 건강함과 일치성의 단계 ... 102
3. 치료적 변형의 양상 ... 104
1) 초기 ... 105
2) 중기 ... 112
3) 말기 ... 119
제4장 영향의 원인 탐색과 개입수단 ... 123
1. 원가족 도표 ... 125
1) 〈1단계〉 원가족 도표 그리는 방법 ... 126
2) 〈2단계〉 과거에 느꼈던 가족의 모습 그리기 ... 126
3) 〈3단계〉 원가족 도표의 탐색 ... 128
2. 가족생활 연대기, 영향권, 나의 영향권 이해, 나의 생활사 ... 132
1) 가족생활 연대기 ... 132
2) 영향권 ... 135
3) 나의 영향권 이해 ... 136
4) 나의 생활사 ... 139
3. 충족되지 못한 기대 ... 140
4. 자아존중감 ... 146
5. 의사소통 및 대처유형 ... 151
1) 의사소통 및 대처유형의 변형 ... 152
2) 일치적 의사소통 및 대처유형 ... 155
6. 가족규칙 ... 159
7. 가족조각 ... 165
8. 은유 ... 173
9. 명상 ... 176
제5장 치료적 개입 및 과정 ... 183
1. 치료계획 ... 186
2. 개인의 빙산 탐색과 작업 ... 187
3. 원가족 삼인군 치료 ... 196
1) 원가족 삼인군 ... 196
2) 치료과정 ... 200
3) 국외 사례 ... 202
4) 한국 사례 ... 207
4. 의사소통의 내적 과정 ... 230
1) 준비과정 ... 232
2) 치료과정 ... 233
3) 토론 ... 234
4) 개인치료에의 적용 ... 234
5. 내적 부분들의 잔치: 자원의 통합 ... 234
1) 개념적 틀 ... 235
2) 집단치료의 과정 ... 236
3) 개인치료의 과정 ... 240
6. 만다라 ... 242
1) 개념 정의 ... 242
2) 구성요소 ... 243
3) 치료과정 ... 247
7. 생각과 느낌 표현하기 ... 249
8. 가족재구성 ... 254
1) 철학적 배경 ... 255
2) 치료목적 ... 255
3) 치료과정 ... 256
4) 변화의 수준 ... 260
5) 사례 ... 262
6) 가족재구성 치료의 유용성과 한계 ... 271
제6장 한국가족의 문제 연구 ... 275
1. 한국가족의 문제 연구 ... 277
1) 학문적 연구에서의 한국가족문제 ... 277
2) 임상 실제에서의 한국가족문제 ... 287
3) 학문적 연구와 임상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한국가족문제 ... 298
2. 사티어 모델 연구 ... 302
1) 의사소통과 관련된 연구 ... 303
2) 집단상담과 관련된 연구 ... 311
3) 특정 기법 및 사례 연구 ... 317
4) 다른 모델과의 비교 연구 ... 320
3. 평가도구 ... 325
1) 자아존중감 검사 ... 326
2) 자아존중감 척도 ... 328
3) 의사소통유형 척도 ... 329
4) 일치성 척도 ... 335
5)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질문지 ... 340
6) 부모의 원가족 경험 척도 ... 343
7) 가족규칙 척도 ... 347
제7장 사티어 가족치료의 실제 ... 349
부록 : 명상 ... 465
참고문헌 ... 507
찾아보기 ... 525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