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서문 ... 5 역자서문 ... 11 일러두기 ... 15 서론 ... 25 제1부 사회적 틀 제1장 이론적 틀 ... 39 개별적 모델들 ... 41 사회적 모델 ... 50 표준의 개발 ... 57 장애의 여성주의 모델 ... 60 낙인과 다른 흔적들 ... 61 요약 ... 63 생각과 토의를 위한 질문들 ... 64 제2장 장애관점의 역사적 변천 ... 65 식민시대와 건국 초기 ... 66 19세기 ... 67 20세기 전반 ... 72 20세기 후반 ... 78 요약 ... 84 생각과 토의를 위한 질문들 ... 85 제3장 미국에서의 장애인 인권 운동 ... 87 초기의 인권 운동 ... 88 최초의 옹호 조직 ... 89 인권 운동의 촉진 ... 89 에드 로버츠(Ed Roberts)와 자립생활센터 ... 93 장애인 인권 운동과 재활법 ... 96 여백을 향한 행군과 대중교통 접근권을 위한 미국장애인협회(ADAPT) ... 96 그 밖의 장애인 인권 운동 단체 ... 98 유니버설 디자인 운동 ... 98 요약 ... 99 생각과 토의를 위한 질문들 ... 100 제4장 장애 관련 법률 제정과 미국장애인법 ... 101 연방정부법들 ... 102 주정부법들 ... 109 판례법 ... 110 장애법들에 대한 추가정보 ... 110 요약 ... 111 생각과 토의를 위한 질문들 ... 111 제5장 장애 인구통계학 ... 113 인구통계학적 정보의 출처들 ... 114 1997년의 미국 장애인 ... 115 장애상태와 관련된 고용, 소득(1997년, 2001년) ... 124 인구조사국 자료(2001년 3월) ... 124 국민건강 2010 기저선 자료 ... 125 요약 ... 120 생각과 토의를 위한 질문들 ... 126 Part Ⅰ 요약 ... 127 Part Ⅰ 과제 ... 128 제2부 개인적인 틀 제6장 장애와 정체성 발달 ... 131 다면적 정체성 ... 132 적응 ... 134 맥켈프랑(Mackelprang)과 살스기버(Salsgiver)의 인간 생애주기에 따른 발달 개념 ... 135 학습된 사회적 역할로서의 장애 정체성 ... 141 장애인의 정체성에 있어서의 세력화와 정상화 ... 142 장애 정체성의 3가지 범주 ... 146 장애 정체성의 부인 ... 148 비주류로서의 장애 경험 ... 150 요약 ... 151 생각과 토의를 위한 질문들 ... 152 제7장 장애유형별 집단체계 ... 153 국가적 차원의 건강 인터뷰 조사: 활동 제한에 의한 분류 ... 155 장애 통계 센터: 원인이 되는 조건에 의한 분류 ... 156 제한 없는 접근: 학습과 근로 영역의 손상에 의한 분류 ... 157 학교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장애 분류 ... 159 특별활동에 있어서 스포츠 활동의 참여를 위한 장애 분류 ... 159 롤랜드(Holland)의 장애범주: 장애의 특성에 따른 정의 ... 160 61 의료 모델에서의 장애범주 ... 162 요약 ... 164 생각과 토의를 위한 질문들 ... 164 제8장 장애경험의 이해: 장애의 발생, 진행 그리고 결과 ... 165 장애 발생과 직후 ... 166 장애 진행 과정 ... 184 장애 결과 ... 190 요약 ... 193 생각과 토의를 위한 질문들 ... 193 제9장 장애경험의 이해: 생활 속의 제한과 선입관 ... 195 이동의 제한 ... 197 에너지(힘)의 수준에 따른 제한 ... 200 감각손상으로 인한 제한 ... 203 의사소통의 제한 ... 212 추리력과 정신 기능의 제한 ... 214 눈에 띄는 장애: 특별한 도전 ... 223 요약 ... 228 생각과 토의를 위한 질문들 ... 228 Part Ⅱ 요약 ... 229 Part Ⅱ 과제 ... 230 제3부 사회복지실천 기술 제10장 의사소통 기술 ... 235 감각기능에 손상을 입은 클라이언트와의 의사소통 ... 239 언어 기능에 손상을 입은 클라이언트와의 의사소통 ... 256 정신장애가 있는 클라이언트와의 의사소통 ... 260 발달장애 클라이언트와의 의사소통 ... 263 인지장애 클라이언트와의 의사소통 ... 266 이동이 자유롭지 못한 신체장애 클라이언트와의 의사소통 ... 270 요약 ... 272 생각과 토의를 위한 질문들 ... 273 제11장 신뢰관계의 구축 ... 275 신뢰 구축과 믿음의 결합 ... 278 공감과 동정 ... 286 장애와 관련한 속단 하지 않기 ... 290 인내심과 이해력의 향상 ... 293 불안과 불편 줄이기 ... 294 요약 ... 290 생각과 토의를 위한 질문들 ... 297 제12장 개인과 지역사회 사정 ... 299 생태체계적인 실천틀 ... 304 강점 관점 ... 312 스테파니의 강점들 ... 315 생물심리사회적 관점 ... 317 특정 장애에 대한 사정 ... 319 삶의 질을 설명하는 데에 대한 쟁점 ... 322 지역사회 욕구 사정 ... 326 요약 ... 329 생각과 토의를 위한 질문들 ... 330 제13장 사회복지실천 모델: 개인과 함께하는 실천 ... 331 위기개입 모델 ... 336 임파워먼트 모델 ... 342 옹호 모델 ... 346 사례관리 모델 ... 349 사회구조 모델, 다시 고려하기 ... 354 요약 ... 356 생각과 토의를 위한 질문들 ... 357 제14장 사회복지실천 모델: 지역사회 수준의 실천 ... 359 용어들에 대한 정의 ... 360 지역사회 욕구 사정 모델 ... 364 자조집단 모델 ... 367 임파워먼트 모델 ... 370 사회행동/기능적인 지역사회 모델 ... 373 요약 ... 377 생각과 토의를 위한 질문들 ... 378 제15장 사회복지실천 모델: 사회적ㆍ정치적 관심의 대상인 장애 ... 379 제휴-구축 모델 ... 381 정치적인 옹호 모델 ... 383 사회운동 모델 ... 388 요약 ... 392 생각과 토의를 위한 질문들 ... 393 Part Ⅲ 요약 ... 394 Part Ⅲ 과제 ... 395 제4부 장애인을 위한 자원과 지원 연계 제16장 공공 부문에서의 자원연계와 서비스에 대한 개요 ... 405 연방정부의 자원들 ... 406 주정부 자원 ... 411 지방정부 자원 ... 417 요약 ... 417 생각과 토의를 위한 질문들 ... 419 제17장 민간 부문에서의 자원연계와 서비스에 대한 개요 ... 421 특화된 민간 조직들 ... 422 장애영역을 포괄하는 서비스 조직들 ... 426 지역에 기반한 장애 서비스들 ... 427 요약 ... 428 생각과 토의를 위한 질문들 ... 428 제18장 건강보호의 공공과 민간 자원 ... 429 의료적 보호 ... 431 가정과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보호 ... 437 요양원 보호 ... 438 부수적인 의료보호 서비스들 ... 438 요약 ... 440 생각과 토의를 위한 질문들 ... 440 제19장 주택과 개인보호 차원에서의 공공과 민간 자원 ... 441 지역사회에서 생활하기 ... 442 재정적 보조 ... 444 활동보조서비스 ... 445 요약 ... 447 생각과 토의를 위한 질문들 ... 447 제20장 고용과 임금 보장에서의 공공과 민간 자원 ... 449 고용 ... 450 교육, 훈련과 재활 ... 457 소득지원 ... 460 요약 ... 463 생각과 토의를 위한 질문들 ... 465 제21장 사회적 지지와 레크리에이션 연계 ... 467 사회적 지지 연계망 ... 469 보호제공자와 가족 지지 ... 472 여가와 레크리에이션 활동 ... 474 요약 ... 478 생각과 토의를 위한 질문들 ... 479 제22장 이동, 접근, 보조공학 ... 481 비장애인 중심의 환경 내에서의 이동성 ... 483 적합한 생활 공간 ... 487 보조공학 ... 490 요약 ... 492 생각과 토의를 위한 질문들 ... 493 Part Ⅳ 요약 ... 494 Part Ⅳ 과제 ... 495 참고문헌 ... 497 찾아보기 ... 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