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통신ㆍ방송의 융합과 BcN
1 개요 ... 18
2 통신과 방송의 융합 ... 22
2.1 통신과 방송의 융합범위 ... 22
2.2 통신과 방송의 융합서비스 ... 23
2.3 통신ㆍ방송 융합서비스의 특징 ... 27
2.4 광대역통합망의 필요성 ... 29
3 광대역통합망의 구조와 기술 ... 32
3.1 BcN의 개요 ... 32
3.2 BcN의 기본구조 ... 33
3.3 BcN의 인프라 구조 ... 36
3.4 BcN에 필요한 기술과 특성 ... 38
4 광대역통합망의 표준모델 ... 40
4.1 BcN 표준모델의 필요성 ... 40
4.2 BcN 표준모델의 4계층 ... 40
5 광대역통합망의 발전 전략과 서비스 ... 47
5.1 BcN의 발전 전략 ... 47
5.2 BcN의 추진 체계 ... 49
5.3 대표적인 BcN 서비스 ... 50
5.4 BcN 서비스의 품질 ... 57
5.5 BcN 서비스의 비전 ... 61
6 차세대 통신망의 표준화 ... 63
6.1 NGN ... 63
6.2 AII IP 네트워크 ... 65
7 통신과 방송의 융합 과제 ... 69
8 외국의 통신ㆍ방송 융합 ... 71
제2장 BcN을 위한 신기술
1 IP 네트워크의 멀티미디어 전송 ... 76
1.1 개요 ... 76
1.2 인터넷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 77
1.3 IMS의 구조와 기술 ... 78
1.4 IMS 기반의 통합망 ... 82
1.5 IMS의 서비스 제어 ... 83
2 BcN을 위한 IP 멀티캐스팅 ... 86
2.1 개요 ... 86
2.2 멀티캐스트의 필요성 ... 86
2.3 IP 멀티캐스트의 구조와 기술 ... 87
2.4 BcN 방송과 멀티캐스트 ... 90
2.5 멀티캐스트 주소와 라우팅 ... 91
2.6 멀티캐스트의 전송품질 ... 94
2.7 통합망의 멀티캐스트 ... 96
3 차세대 인터넷주소 표준(IPv6) ... 99
3.1 개요 ... 99
3.2 IPv6의 필요성 ... 101
3.3 고정망의 IPv6 ... 103
3.4 이동망의 IPv6 ... 104
3.5 DP 이동망의 IPv6 ... 107
3.6 HMIPv6와 FMIPv6 ... 109
3.7 IPv4/IPv6 변환 ... 112
3.8 터널링 전환기술 ... 114
4 BcN의 비디오 압축 ... 117
4.1 개요 ... 117
4.2 MPEG2 압축기술 ... 120
4.3 MPEG2의 특성 ... 124
4.4 MPEG4 압축기술 ... 125
4.5 H.264 압축기술 ... 127
4.6 H.264/AVC 압축기술 ... 128
4.7 H.264의 움직임 예측 방식 ... 132
4.8 디지털TV의 압축 전송 ... 135
4.9 인터넷상의 비디오 압축 전송 ... 138
5 BcN의 콘텐츠 서비스 ... 143
5.1 개요 ... 143
5.2 통신과 방송의 융합 콘텐츠 ... 144
5.3 콘텐츠 적응기술 ... 147
5.4 콘텐츠 적응시스템 ... 151
5.5 콘텐츠 적응엔진 ... 153
5.6 모달리티 변환 ... 154
5.7 UMA 기술 ... 155
5.8 UCA 기술 ... 156
6 차세대 웹 ... 160
6.1 Web 2.0의 개요 ... 160
6.2 Web 2.0의 특징 ... 162
7 P2P 네트워크 ... 165
7.1 개요 ... 165
7.2 P2P 네트워크 기술 ... 166
7.3 P2P 서비스 ... 167
7.4 P2P 기술의 표준화 ... 170
제3장 BcN의 서비스 제어와 전달망
1 BcN 서비스와 제어계층 ... 176
1.1 개요 ... 176
1.2 서비스와 제어계층의 주요 기능 ... 177
1.3 제1단계 서비스 제어 구조 ... 179
1.4 제2단계 서비스 제어 구조 ... 182
1.5 제3단계 서비스 제어 구조 ... 184
2 BcN 전달망 계층 ... 185
2.1 개요 ... 185
2.2 전달망 계층의 주요 기능 186
2.3 제1단계 전달망 ... 188
2.4 제2단계 전달망 ... 190
2.5 제3단계 전달망 ... 192
3 BcN 전달망의 특성 ... 194
4 인터넷기간망의 광대역화 ... 196
제4장 BcN을 위한 유선 액세스망
1 통신을 위한 유선 액세스망 ... 200
2 BcN을 위한 유선가입자망의 발전 모형 ... 206
2.1 개요 ... 206
2.2 제1단계 유선가입자망 ... 206
2.3 제2단계 유선가입자망 ... 210
2.4 제3단계 유선가입자망 ... 212
3 FTTH망 기반의 통신과 방송의 융합 ... 214
3.1 개요 ... 214
3.2 AON 방식과 기술 ... 215
3.3 PON 방식과 기술 ... 217
3.4 FTTH 서비스 ... 221
4 FTTH망의 전원공급 ... 225
4.1 개요 ... 225
4.2 단독주택과 가정의 전원공급 ... 226
4.3 허브 전원공급과 네트워크 전원공급 ... 229
4.4 공동주택과 빌딩의 전원공급 ... 230
5 차세대 광가입자망 ... 232
5.1 개요 ... 232
5.2 광CDMA의 전송방식 ... 235
5.3 광CDMA의 부호 구조 ... 240
5.4 광CDMA의 잡음 ... 243
5.5 광CDMA의 광소자 ... 245
5.6 광CDMA의 기술개발 ... 246
제5장 TDM-PON과 WDM-PON
1 TDM-PON 방식 ... 252
1.1 개요 ... 252
1.2 TDM-PON의 구성과 기술 ... 254
1.3 TDM-PON의 표준화 ... 256
1.4 TDM-PON의 고속화 ... 258
2 EPON 기반의 광가입자망 ... 260
2.1 EPON의 구조와 신호 전송 ... 260
2.2 EPON의 대역할당 ... 262
2.3 EPON의 MPCP ... 265
2.4 EPON의 계층과 프레임 구조 ... 268
2.5 EPON의 물리계층 ... 271
2.6 EPON의 표준화 ... 273
2.7 EPON의 기술개발 ... 275
3 GPON 기반의 광가입자망 ... 278
3.1 개요 ... 278
3.2 GPON의 구성과 신호 전송 ... 278
3.3 GPON의 프레임과 계층 구조 ... 279
3.4 GPON의 물리계층 ... 282
3.5 GPON의 대역할당 ... 285
3.6 EPON과 GPON의 비교 ... 286
4 ATM-PON기반의 광 가입자망 ... 289
4.1 개요 ... 289
4.2 ATM-PON의 구조 ... 290
4.3 ATM-PON의 신호 전송 ... 292
5 WDM-PON 기반의 광 가입자망 ... 294
5.1 개요 ... 294
5.2 WDM-PON의 구조와 신호 전송 ... 295
5.3 AWG 기반의 WDM-PON ... 298
5.4 WDM-PON의 기술적 특징과 과제 ... 300
5.5 WDM-PON의 구조별 전송 특성 ... 303
5.6 WDM-PON의 기술개발 ... 308
6 WDM-PON용 광원 ... 311
6.1 개요 ... 311
6.2 ONT 광원 ... 311
6.3 OLT 광원 ... 313
6.4 ONT의 광변조방식 ... 315
6.5 파장 무의존 ONT ... 316
7 FTTH-PON용 광분배기 ... 319
7.1 개요 ... 319
7.2 광섬유 커플러 ... 320
7.3 평판형 광분배기 ... 322
7.4 광분배기의 특성 ... 327
8 PON 기술의 발전 방향 ... 330
8.1 TDM-PON의 발전 과정 ... 330
8.2 이더넷의 발전 과정 ... 331
8.3 PON 기술의 전망 ... 332
제6장 유선 LAN
1 이더넷 ... 338
2 기가비트 이더넷 ... 340
3 이더넷의 프로토콜 ... 342
3.1 부호화 계층 ... 342
3.2 물리매체 계층 ... 343
4 동기식 이더넷 ... 344
4.1 개요 ... 344
4.2 프레임 전송방식 ... 345
4.3 동기식 이더넷의 과제 ... 347
4.4 동기식 이더넷의 응용 ... 348
5 이더넷 WAN ... 352
5.1 개요 ... 352
5.2 이더넷 WAN의 기술 과제 ... 353
5.3 장거리 전송 ... 354
5.4 L2 계층 서비스 ... 356
6 이더넷 브리지 ... 358
6.1 Provider Bridge ... 358
6.2 Provider Backbone Bridge ... 359
6.3 PB와 PBB망의 구성 ... 360
7 이더넷의 과제 ... 364
제7장 BcN을 위한 디지털TV와 IPTV
1 방송을 위한 액세스망 ... 370
2 BcN을 위한 방송 액세스망의 발전 모형 ... 373
2.1 제1단계 방송가입자망 ... 373
2.2 제2단계 방송가입자망 ... 377
2.3 제3단계 방송가입자망 ... 380
3 BcN의 디지털TV 전송 ... 383
3.1 개요 ... 383
3.2 디지털TV의 통신과 방송의 융합 ... 384
3.3 디지털TV의 표준방식과 표준화면 ... 385
3.4 디지털TV의 신호 전송 ... 389
3.5 디지털TV의 영상수신 ... 393
3.6 디지털TV의 특성 ... 396
4 BcN의 IPTV 전송 ... 399
4.1 개요 ... 399
4.2 IPTV 기술과 특성 ... 400
4.3 IPTV 서비스 시스템 ... 403
4.4 IPTV를 위한 네트워크 ... 406
4.5 IPTV 구조와 소프트웨어 ... 410
4.6 IPTV 서비스 ... 414
4.7 IPTV의 표준화와 상용화 과제 ... 415
5 지상파DMB와 위성DMB ... 420
5.1 개요 ... 420
5.2 지상파DMB의 전송방식 ... 423
5.3 지상파DMB 시스템 ... 432
5.4 위성DMB의 전송방식 ... 433
5.5 위성DMB 시스템 ... 435
제8장 CATV망 기반의 통신과 방송의 융합
1 개요 ... 440
2 CATV망의 구성과 기술 ... 441
2.1 CATV망의 기본구조 ... 441
2.2 HFC망의 전송시스템 ... 444
2.3 HFC망의 장단점 ... 445
3 CATV망의 주파수 대역 ... 447
4 디지털 CATV 시스템 ... 449
4.1 오픈케이블 ... 449
4.2 DOCSIS ... 451
4.3 DCAS ... 454
4.4 패킷케이블과 패킷홈 ... 459
5 기가급 CATV 시스템 ... 461
5.1 개요 ... 461
5.2 UWB 기술 ... 462
5.3 SDM 기술 ... 462
5.4 주파수 대역의 확장 ... 464
6 케이블 BcN으로 진화 ... 466
6.1 케이블 BcN의 과제 ... 466
6.2 케이블 BcN을 위한 기술 ... 468
6.3 케이블 BcN을 위한 컨소시엄 ... 471
6.4 케이블 BcN의 서비스 목표 ... 472
7 차세대 케이블TV망 ... 474
7.1 개요 ... 474
7.2 NGNA의 기본구조 ... 475
7.3 NGNA의 비디오 서비스 ... 476
8 국내외 케이블TV 방송 ... 479
제9장 BcN의 정보보호
1 개요 ... 484
2 인터넷의 정보보호 ... 485
2.1 방화벽 ... 485
2.2 SSL과 IPsec ... 486
3 BcN의 정보보호 ... 489
3.1 개요 ... 489
3.2 BcN 인프라의 보안 특성 ... 491
3.3 BcN의 보안체계 ... 493
3.4 BcN의 보안 유형 ... 495
3.5 BcN의 계층별 보안위협 ... 501
3.6 BcN의 연동에 따른 보안위협 ... 502
3.7 BcN 연동에 따른 보안대책 ... 507
3.8 BcN의 보안기술 ... 512
3.9 BcN 보안의 표준화 ... 518
4 MPLS 교환의 정보보호 ... 521
4.1 MPLS 통신망 ... 521
4.2 MPLS의 보안위협 ... 522
4.3 MPLS VPN의 보안 ... 524
5 IPv6 네트워크의 정보보호 ... 528
5.1 유선망과 이동망의 보안 ... 528
5.2 IPv6 패킷의 보안 ... 529
6 IPv4/IPv6 공존 네트워크의 정보보호 ... 534
6.1 DSTM ... 534
6.2 Teredo ... 536
6.3 ISATAP ... 537
6.4 6to4와 6in4 ... 538
6.5 터널 브로커 ... 540
7 암호화와 전자서명 ... 542
7.1 암호문 ... 542
7.2 인증과 전자서명 ... 543
제10장 BcN의 QoS와 운용관리
1 개요 ... 548
1.1 QoS ... 548
1.2 BcN의 QoS 요구사항 ... 549
1.3 품질 수준 보장을 위한 자원제어기술 ... 552
2 BcN의 QoS 제어기술 ... 554
2.1 스케줄링 메커니즘 ... 554
2.2 자원 예약 프로토콜 ... 556
2.3 MPLS 교환기술 ... 557
2.4 서비스 수준 협약(SLA) ... 561
3 QoS형 차등서비스 ... 562
3.1 개요 ... 562
3.2 차등서비스 유형 ... 563
3.3 차등서비스 구조 ... 564
4 BcN의 구간별 QoS ... 568
4.1 가입자망 구간의 QoS ... 568
4.2 중계망 구간의 QoS ... 569
4.3 NGN의 QoS ... 571
5 BcN의 망간 상호연동 QoS ... 574
5.1 QoS 관리 구조 ... 574
5.2 QoS 보장형 네트워킹 ... 576
5.3 도메인 간 네트워킹의 기능 ... 579
6 BcN의 운용관리와 자동절체 ... 582
6.1 개요 ... 582
6.2 BcN의 운용관리와 유지보수 ... 583
6.3 BcN의 자동보호절체 ... 586
7 BcN의 트래픽 측정과 관리 ... 595
7.1 IP망의 트래픽 엔지니어링 ... 595
7.2 도메인 간 트래픽 엔지니어링 ... 597
7.3 IPv6의 트래픽 모니터링 ... 599
7.4 BcN의 실시간 트래픽 관리 ... 60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