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제1부 지역사회복지 이론의 이해
CHAPTER 01 지역사회복지에 관한 이해 ... 23
1. 지역사회와 지역사회조직 ... 23
1) 공동사회와 이익사회 ... 23
2) 사회복지 패러다임의 변화 ... 24
2. 지역사회복지 관련 주요 용어 ... 27
1) 지역사회 ... 27
2) 조직 ... 28
3) 지역사회조직 ... 29
4) 지역사회사업 ... 31
5) 지역사회보호 ... 32
6) 지역사회 만들기 ... 32
7) 지역사회개발 ... 33
8) 지역사회실천 ... 34
9) 관련 개념들의 관계 ... 35
3. 지역사회복지의 개념 ... 35
1) 지역사회복지 용어의 등장 배경 ... 35
2) 지역사회복지의 정의 ... 36
3) 지역사회복지의 영역 ... 37
4) 시설복지와 재가복지 ... 38
5) 지방자치제와 지역사회복지 ... 40
6) 인보관과 인보정신 ... 41
4. 지역사회복지 관련 주요 개념과 이론 ... 41
1)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긍정론과 부정론 ... 41
2) 재가복지론 ... 43
3) 자선조직화 운동 ... 44
4) 인보관 운동 ... 46
5) 지역사회 중심 재활 이론 ... 47
6) 가상공동체 이론 ... 49
7) 지역사회기반 조직이론 ... 50
8) 지역화폐운동 ... 52
5. 지역사회복지의 가치 ... 55
1) 지역사회 맥락 ... 55
2) 조직과 단체 맥락 ... 56
3) 지역사회 주민 맥락 ... 57
CHAPTER 02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 59
1. 한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 59
1) 근대 이전의 지역사회복지 ... 59
2) 인보관 운동을 중심으로 한 근대화 시기 ... 61
3) 지역사회개발사업 ... 62
4) 지역 중심의 서비스 제공 확대 ... 63
5) 지역사회복지의 새로운 변화 : 현재 ... 64
2. 미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 65
1) 자선조직협회 ... 65
2) 미국 최초의 인보관 : 헐 하우스 ... 66
3) 대공황 이후 지역사회복지의 전환 ... 68
4) '빈곤과의 전쟁' 이후 지역사회복지 발달 ... 69
3. 영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 70
1) 자선조직협회 ... 70
2) 세계 최초의 인보관 : 토인비 홀 ... 71
3) 20세기 지역사회보호의 발달 과정 ... 72
CHAPTER 03 지방자치제와 지역사회복지 ... 79
1. 지방자치제의 개념 ... 79
1) 지방자치제의 개념과 본질 ... 79
2) 지방자치제의 가치 ... 80
2. 한국 지방자치제의 발전 과정 ... 81
1) 지방자치제의 제1시기 ... 82
2) 지방자치제의 제2시기 ... 82
3) 지방자치제의 제3시기 ... 83
3. 지방자치제 실시와 지역사회복지 ... 83
4. 지방자치제의 사회복지 성격 ... 86
1) 지방정부의 지역사회복지 방향 ... 86
2) 지방분권의 긍정적 측면 ... 87
5. 지방자치제의 발전과 로컬 거버넌스 ... 88
1) 로컬 거버넌스의 개념 ... 89
2) 참여정부의 분권화 방향 ... 90
3) 지역사회 사회복지조직들의 정치 역량 강화 ... 91
6. 사회복지 재정분권 ... 92
1) 국조보조사업의 지방이양 ... 92
2) 국고보조사업의 지방이양에 따른 과제 ... 93
제2부 지역사회복지의 실천모델과 기술
CHAPTER 04 지역사회복지의 실천 모형 ... 99
1. 영국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형 ... 99
1) 탈시설화 모형 ... 100
2) 지역사회보호 모형 ... 100
3) 민ㆍ관 협동 지역사회복지서비스 모형 ... 101
2. 미국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형 ... 102
1) 로스만의 세 모형 ... 102
2) 와일과 갬블의 8모형 ... 111
3. 일본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형 ... 116
1) 재택복지서비스 모형 ... 117
2) 주민참가 모형 ... 117
3) 지역복지계획 모형 ... 118
4. 선진국 실천 모형의 시사점 ... 119
5. 한국의 지역사회실천 모형 ... 119
1) 지역사회 자원개발 모형 ... 119
2) 재가복지서비스 모형 ... 120
CHAPTER 05 지역사회복지의 실천 원칙과 과정 ... 123
1. 지역사회복지의 실천 원칙 ... 123
1) 지역사회 갈등 해결을 위해 추진위원회를 구성하는 원칙 ... 123
2) 지역사회의 갈등은 집약되고 공유되어야 하는 원칙 ... 123
3) 지역사회 내 풀뿌리 지도자를 발굴하고 참여시키는 원칙 ... 124
4) 공통의 목표를 수립하고 운영 방법을 설정하는 원칙 ... 124
5) 지역주민을 결속시킬 수 있는 이벤트를 개발하는 원칙 ... 124
6)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개발하고 유지하는 원칙 ... 124
7) 모임 참여자들을 지지하고 역량을 강화하는 원칙 ... 125
8) 합리적인 절차를 준수하고 리더십을 개발하는 원칙 ... 125
9) 유능한 지도자를 발굴하고 육성하는 원칙 ... 125
10) 지역사회에서 인정과 신용을 얻는 원칙 ... 126
2. 지역사회 추진위원회의 구성 방법의 과제와 전망 ... 126
1) 지리적 인물 중심의 위원회 ... 126
2) 기능적 인물 중심의 위원회 ... 127
3) 연고를 중심으로 한 위원회 ... 127
4) 시사점 ... 128
3. 지역사회복지의 실천 과정 ... 129
1) 지역사회의 사정 단계 ... 129
2) 지역사회의 욕구 파악 단계 ... 131
3) 실천 전략의 계획 단계 ... 132
4) 실천 전략의 추진 단계 ... 134
5) 평가 및 재사정 단계 ... 135
4. 지역사회 조직의 실천 과정 모델 ... 135
1) 문제의 파악 ... 136
2) 정책 및 프로그램의 개발 ... 136
3) 프로그램의 전개 ... 137
4) 활동의 평가 ... 137
CHAPTER 06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실천기술 ... 139
1. 사회복지사의 역할 ... 139
1) 지역사회개발 모형에서의 역할 ... 139
2) 사회계획 모형에서의 역할 ... 144
3) 사회행동 모형에서의 역할 ... 147
2. 사회복지사의 실천기술 ... 149
1) 옹호 기술 ... 149
2) 연계 기술 ... 151
3) 조직화 기술 ... 153
4) 자원개발/동원 기술 ... 158
5) 임파워먼트 기술 ... 161
CHAPTER 07 지역사회복지계획의 방법 ... 165
1. 지역복지계획의 필요성 ... 165
1) 지역복지계획 추진의 필요성 ... 165
2) 지역복지계획의 주요 요소 ... 165
2. 지역복지계획의 이념 ... 166
1) 기본 인권의 존중 ... 166
2)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연대 ... 167
3) 지역 특성의 중시 ... 167
4) 민ㆍ관 협동과 주민 참여 ... 167
3. 지역복지계획과 주민 참여 ... 169
1) 주민 참여 ... 169
2) 더불어 사는 사회 만들기 ... 169
3) 남녀노소의 적극적인 참여의 보장 ... 169
4) 지역복지문화의 창조 ... 170
4. 지역복지계획의 기본 목표 ... 170
1) 생활문제 극복을 위한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 ... 170
2) 지역주민 주체의 지역복지서비스 실현 ... 170
3) 종합적인 서비스 지원체계의 확립 ... 171
4) 생활 관련 분야와의 연계 ... 171
5. 기초자치단체의 지역복지계획 ... 172
1) 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 ... 172
2) 지역 내 사회복지서비스의 적절한 이용을 촉진하는 사항 ... 172
3) 지역의 사회복지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의 발전에 관한 사항 ... 173
4) 지역복지 활동에 주민 참여를 촉진하는 사항 ... 173
5) 지역복지계획 수립의 체제와 과정 ... 174
6. 지역복지계획의 실천과 과제 ... 176
1) 지역복지계획의 실천 단계 ... 176
2) 지역복지계획의 과제 ... 178
7. 우리나라 지역복지계획의 시사점 ... 179
CHAPTER 08 지역사회자원 개발과 후원자 개발 ... 181
1. 모금과 마케팅 ... 181
2. 모금 기술의 단계 ... 182
1) 구걸 단계 ... 182
2) 수금 단계 ... 182
3) 캠페인 단계 ... 182
4) 마케팅 단계 ... 182
3. 마케팅 전략 ... 183
1) 소명헌장 ... 184
2) 기관의 목적과 목표 ... 184
3) 마케팅 조사 ... 185
4) 외부 환경의 조사와 자원의 분석 ... 185
5) 마케팅 목적과 목표 ... 185
6) 전략적 마케팅 계획 ... 186
7) 실행 계획 ... 186
8) 평가 작업 ... 187
4. 모금의 전략과 방법 ... 187
1) 시장 분석 ... 187
2) 모금 목표 작성 ... 191
3) 모금 홍보와 광고 ... 193
4) 모금 방법 ... 199
5. 모금 조직과 관리 ... 210
1) 효과적인 모금 조직의 구성 ... 210
2) 모금 전문 직원 ... 212
3) 모금 담당 자원봉사자 활용 ... 213
6. 모금 비용 ... 216
7. 후원자 개발 ... 218
1) 후원자 사업의 유래 ... 218
2) 후원자 사업의 장점 ... 219
3) 후원사업 ... 221
4) 후원자 관리 방법 ... 224
5) 후원자 관리의 필수 요소 ... 226
6) 후원자 관리의 유의점 ... 228
7) 기부의 동기 ... 230
제3부 지역사회복지의 추진체계와 실천영역
CHAPTER 09 지역사회복지관 ... 237
1. 사회복지관의 정의 및 역할 ... 239
2. 사회복지관의 모델 ... 241
1) 사회복지관의 경영 모델 ... 242
2) 사회복지관의 지역 모델 ... 243
3) 사회복지관의 프로그램 모델 ... 244
3. 사회복지관의 발달과정 ... 246
1) 한국전쟁과 구호사업 ... 246
2) 1970년대의 사회복지관 사업 ... 247
3) 1980년대 지역사회복지관사업의 쟁점 ... 249
4) 1990년대 이후 지역사회복지관사업의 쟁점 ... 250
4. 사회복지관 사업 ... 259
1) 가족복지사업 ... 260
2) 지역사회보호사업 ... 260
3) 지역사회조직사업 ... 261
4) 교육ㆍ문화사업 ... 262
5) 자활사업 ... 263
5. 사회복지관사업의 운영 ... 263
1) 시설종사자 정년제의 실시 ... 264
2) 후원금 사용 비율 기준 ... 264
3) 유사명칭 사용 지도 감독 ... 265
CHAPTER 10 재가복지센터 ... 267
1. 재가복지의 도입 배경 및 개념 ... 267
1) 재가복지의 도입 배경 ... 267
2) 재가복지의 개념 ... 268
2. 시설복지와 재가복지 ... 272
1) 탈시설화 논쟁 ... 272
2) 생활시설의 시설병 ... 274
3) 생활시설의 사회화 ... 275
3. 재가복지의 등장 배경 ... 276
1) 재가복지의 등장과 사회적 배경 ... 276
2) 재가복지서비스의 유의점 ... 278
4. 재가복지의 3대 핵심 사업 ... 279
1) 주간보호사업 ... 279
2) 단기보호사업 ... 281
3) 가정봉사원 파견사업 ... 281
5. 재가복지봉사센터의 기능과 기본 원칙 ... 283
1) 재가복지봉사센터의 기능 및 역할 ... 283
2) 재가복지봉사센터의 기본 원칙 ... 284
6. 재가복지봉사센터의 구성 요건 ... 284
1) 재가복지봉사센터와 운영 주체 ... 284
2) 재가복지봉사센터와 전문 인력 ... 285
3) 재가복지봉사센터와 재정 ... 286
4) 재가복지봉사센터와 프로그램 ... 287
7. 재가복지 전문 인력의 윤리와 역할 ... 289
1) 재가복지사업 전문 인력의 윤리 ... 289
2) 사회복지사의 역할 ... 290
CHAPTER 11 사회복지협의회와 지역사회복지협의체 ... 293
1. 사회복지협의회의 기능 ... 293
2. 사회복지협의회의 이론적 배경 ... 294
1) 지역사회조직과 사회복지행정 ... 294
2) 사회복지협의회의 정의 ... 295
3) 사회복지협의회의 기본 사항 ... 296
4) 사회복지협의회의 성격 ... 297
5) 사회복지협의회의 기능 ... 298
3. 한국사회복지협의회의 조직 ... 300
4. 지방사회복지협의회의 조직 ... 301
1) 지방사회복지협의회의 조직화 현황 ... 301
2) 사회복지사업법과의 관계 ... 301
3) 기초단체 사회복지협의회의 조직화 현황 ... 302
4) 사회복지협의회와 공동모금회의 관계 ... 303
5) 사회복지협의회와 재정문제 ... 304
6) 지방사회복지협의회의 역할 ... 304
7) 지방사회복지협의회의 활성화 방안 ... 304
5.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창립 사례 ... 305
1) 원주시사회복지협의회의 창립 배경 ... 305
2)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구성 현황 ... 306
3) 참여 단체 ... 306
4) 운영위원회ㆍ사무국 ... 307
5) 사업 계획 ... 308
6.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신설 ... 308
1)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출현 배경 ... 309
2)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기능과 유형 ... 312
CHAPTER 12 사회복지공동모금회 ... 315
1. 공동모금의 도입 배경 ... 315
2. 공동모금의 필요성과 발전 과정 ... 316
1) 공동모금의 필요성 ... 316
2) 미국 공동모금의 발전 과정 ... 318
3) 일본 공동모금의 발전 과정 ... 319
4) 우리나라 공동모금의 발전 과정 ... 321
3. 공동모금의 주요 기능과 전략 ... 328
1) 모금의 기능 ... 328
2) 배분의 기능 ... 331
4. 공동모금의 활성화 방안 ... 338
CHAPTER 13 자원봉사의 실천 ... 343
1. 자원봉사의 도입 배경 ... 343
1) 산업화 사회와 사회문제의 발생 ... 343
2) 사회복지기관ㆍ시설의 인력과 재정의 부족 ... 344
3)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에게 기회제공 ... 345
4) 사회환경적인 측면 ... 345
5) 민간단체의 활성화 ... 346
2. 사회복지와 자원봉사 ... 347
3. 사회복지기관ㆍ시설의 인력구조 ... 348
4. 자원봉사의 정의 ... 349
1) 우리나라 자원봉사의 유래 ... 349
2) 자원봉사의 정의 ... 350
5. 자원봉사의 발전과정 ... 354
1) 1960년대까지의 자원봉사활동 ... 354
2) 1970년대 이후 자원봉사활동 ... 355
6. 자원봉사활동의 특성 ... 357
1) 자발성 ... 357
2) 복지성(공익성) ... 357
3) 무급성 ... 358
4) 지속성 ... 359
5) 이타성 ... 359
6) 자아실현성 ... 359
7) 학습성 ... 360
8) 헌신성 ... 360
9) 협동성 ... 360
10) 전문성 ... 361
7. 비정부기구(NGO)와 자원봉사 ... 362
1) NGO의 등장배경 ... 363
2) 한국 NGO의 현황 ... 363
3) NGO와 NPO ... 365
CHAPTER 14 사례관리 ... 367
1. 케어와 사례관리 ... 367
2. 사례관리의 등장 배경 ... 368
1) 탈시설화의 영향 ... 369
2) 서비스 전달의 지방분권화 ... 370
3) 복합적 욕구를 가진 대상자의 증가 ... 370
4) 단편적 기존 서비스 ... 371
5) 사회적 지원체계의 확대 ... 371
6) 비용 억제의 필요성 ... 372
3. 재가복지와 사례관리 접근 방법 ... 372
1) 사례관리의 구성 요소 ... 372
2) 사례관리와 자원봉사 관리자와의 관계 ... 376
4. 사례관리와 사회자원 ... 378
1) 사회자원 동원의 필요성 ... 378
2) 사회자원의 종류와 특성 ... 379
3) 사회자원의 개발과 확보 ... 380
5. 사례관리의 적용 가능성 ... 383
1) 우리나라 재가복지와 사례관리 ... 384
2)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서의 적용 가능성 ... 385
3) 사회복지관에서의 활용 가능성 ... 386
4) 방문간호사제도의 적용 가능성 ... 387
5) 유급가정봉사원제도의 적용 가능성 ... 388
CHAPTER 15 지역사회복지기관 평가 ... 389
1. 사회복지사업 평가 도입의 배경 ... 389
2. 초기 사회복지사업의 평가 ... 391
1) 한국복지재단의 전국 사회복지관 사업 평가 ... 391
2) 한국봉사회의 북부종합사회복지관 사업 평가 ... 391
3)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 사업 평가 ... 391
4) 한림대 부설 신림종합복지관 사업 평가 ... 391
5) 한국선명회의 지역개발사업 평가 ... 392
3. 사회복지사업 평가의 이론적 배경 ... 392
1) 평가의 목적 및 종류 ... 392
2) 사회복지기관 평가의 기본 원리 ... 396
3) 사회복지관 평가의 기본 원칙과 방향 ... 398
4) 평가 계획의 4단계 ... 399
참고문헌 ... 409
찾아보기 ... 421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