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제1장 : 한시(漢詩)와 시조(詩調)의 수사법(修辭法) ; 번안법(飜案法)을 중심으로 ... 3
1. 한시와 시조의 교섭 ... 3
2. 한시와 번안법 ... 6
3. 시조의 번안법 활용 ... 12
4. 맺음말 ... 26
제2장 : 한시(漢詩)와 시조(詩調) 의상(意象)의 유형적 특질 ; 착각(錯覺) 모티브를 중심으로 ... 28
1. 서정시 모티브의 유형성 ... 28
2. 착각 모티브의 기법 ... 30
3. 한국 한시의 착각 모티브 ... 36
4. 시조의 착각 모티브 ... 44
제3장 : 한국 한시의 죽음 소재 ; 조선후기 만시(輓詩)의 예술성과 인간미 ... 49
1. 만시(輓詩)의 사회적 기능과 문학성 ... 49
2. 만시의 특징과 대상 ... 55
3. 명사(名士)를 애도한 만시 ... 59
4. 가족을 애도한 만시 ... 67
5. 지우(知友)의 애도와 회인시(懷人詩) ... 79
제4장 : 한국 악부시의 장르적 성격 ... 85
1. 한국 한시의 장르와 악부시 ... 85
2. 한국 악부시의 개념과 장르적 성격에 대한 논의 ... 87
3. 우리 악부의 3층위 ... 91
4. 악부의 형식 ... 98
5. 우리 고유 시가와 악부시 ... 100
제2부
제1장 : 고려인의 서정과 정지상(鄭知常)의 한시 ... 111
1. 대동강의 시인 ... 111
2. 다정다감한 청년시인과 이별 ... 113
3. 궁정시인 ... 120
4. 여행과 고음(苦吟) ... 128
5. 김부식과 정지상 ... 134
제2장 : 조선 전기 지성인의 자화상, 남효온(南孝溫)의 한시 ... 140
1. 머리말 ... 140
2. 의분(義憤)과 일탈(逸脫)의 삶 ... 142
3. 옛 지성인에 대한 평가 ... 148
4. 우울한 내면과 세상 응시 ... 153
5. 현실과의 불화와 암담한 비애 ... 159
6. 절망적 현실과 상상속의 위안 ... 169
제3장 : 박제가(朴齊家) 시의 사물·인간·사회 ... 174
1. 머리말 ... 174
2. 시의 조건과 사물의 생동감 ... 175
3. 고독한 혁신주의자와 지성(知性)의 발견 ... 185
4. 사회에 대한 자각과 시의 변모 ... 193
5. 맺음말 ... 201
제4장 : 서얼 시인의 계보와 시의 사적 전개 ; 18세기 참신(斬新)한 시풍의 형성과 관련하여 ... 203
1. 서얼 신분과 그 시적 변용 ... 203
2. 18세기 이전 서얼 시인의 양상 ... 207
3. 18세기 서얼 시단의 형성 ... 212
4. 18세기 시의 새로운 경향과 서얼 시인의 역할 ... 221
5. 맺음말 ... 230
제3부
제1장 : 한국 한시의 텍스트 비평 ; 작가 오류를 중심으로 ... 235
1. 한국 한시의 존재와 텍스트 비평 ... 235
2. 조선시대 학자의 텍스트 비평 ... 240
3. 한시 텍스트 형성의 과정 ... 243
4. 작가 오류의 사례 분석 ... 257
5. 한시에서의 텍스트 비평 ... 270
제2장 : 윤춘년(尹春年)의 성율론(聲律論)과 한시(漢詩)의 음악미(音樂美) ... 272
1. 머리말 ... 272
2. 윤춘년(尹春年)의 생애와 학술 ... 274
3. 시의 3요소 ... 281
4. 시의 소리의 지각과 내재율(內在律) ... 284
5. 성율의 시적 적용 ... 290
6. 비평사적 의의 ... 297
尹春年 聲律論藁 拾遺 ... 300
제3장 : 조선시대의 두보시주석(杜甫詩注釋) ; 이식(李植)의 『찬주두시택풍당비해(纂註杜詩澤風堂批解)』를 중심으로 ... 314
1. 한국의 두시(杜詩) 이해와 주석서 ... 314
2. 『두시비해(杜詩批解)』출현의 시학사적 배경과 과정 ... 321
3. 『두시비해(杜詩批解)』주석의 특징 ... 326
4. 맺음말 ... 349
제4장 : 중국시화(中國詩話)의 조선간본고(朝鮮刊本攷) ... 350
1. 머리말 ... 350
2. 조선에 수용된 중국시화(中國詩話) ... 352
3. 중국시화의 간행과 시단의 관련 양상 ... 356
4. 맺음말 ... 387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