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 3 1부 근대시의 지향 한국 근대시의 양식론적 접근 ... 17 1. 시대와 양식 ... 17 2. 문학사에서의 양식적 접근 ... 19 3. 근대시론의 형성과 인식 ... 25 4. 근대시의 정신 분석 ... 33 5. 부정-근대시의 기반 ... 39 김영랑 시의 계보 1 : 고월 이장희를 중심으로 ... 42 1. 시와 인식 ... 42 2. 상징의 맥락 ... 44 3. 푸른 고양이 ... 54 4. 성과와 그 의미 ... 62 김영랑 시의 계보 2 ... 63 1. 찬란한 슬픔의 봄 ... 63 2. 내면적 자아의 지향-푸른, 하늘, 바다의 의미를 중심으로 ... 66 3. 모란의 행방 ... 76 4. 삶과 시의 일치 ... 86 미당 서정주의 시사적 위상 : 그의 시론을 중심으로 ... 88 1. 시와 산문적 진술 ... 88 2. 생명과 예지의 시 ... 90 3. 시적 언어와 표현의 관계 ... 95 4. 순수시의 자기 완성 ... 103 5. 시적 자아의 효용화 ... 109 2부 언어 의식의 확장과 변주 조선어 인식과 문학어의 상상 : 가람 이병기를 중심으로 ... 113 1. 대상으로서의 조선어 ... 113 2. 말과 글의 균열 ... 117 3. 대리보충으로서의 시조 ... 126 4. 혁신의 관점과 전통의 실용화 ... 134 5. 언어의 근대성을 찾아서 ... 143 정지용과 번역 ... 145 1. 번역의 역할 ... 145 2. 서구시의 번역과 그 전개 과정 ... 147 3. 상상력과 영원성의 갈등 ... 161 4. 번역시와 근대의 정신 ... 169 5. 함부로 쏜 화살의 궤적 ... 178 조지훈 시론 연구 : 『詩의 原理』를 중심으로 ... 180 1. 새로운 시론의 요청 ... 180 2. 조지훈 시론의 배경 ... 184 3. 조지훈 시론의 특성과 체계 ... 198 4. 시의 전기(轉機) ... 209 모더니티의 개인적 자각과 실현 : 김춘수론 ... 212 1. 시와 이미지 ... 212 2. 비유적 심상과 서술적 심상 ... 213 3. 허무의 초극과 이미지의 소멸 ... 216 4. 처용을 찾아가는 길 ... 223 5. 경험과 인식 ... 230 3부 김수영에 대한 네 개의 글 시와 운명 ... 235 1. 김수영, 사후 30년 ... 235 2. 쾌락과 운명 ... 238 3. 삶의 환유적 해석 ... 244 4. 시작 과정과 언어의 문제 ... 251 5. 세계 내의 고독 ... 259 현대를 넘어서는 새로운 시의 요청과 그 자세 ... 261 1. 상이한 것과 동일한 것 ... 261 2. 현대의 양심과 현실성 264 3. 시의 유보- 대지와 세계의 긴장 ... 273 4. 사랑과 생명 ... 281 5. 침묵과 영원 ... 285 영원성의 시적 표현 : 김수영의 「풀」을 중심으로 ... 289 1. 글을 시작하며 ... 289 2. 「풀」의 해석 ... 292 3. ‘풀’의 의미 ... 296 4. 인식의 상대성과 시적 표현 ... 305 김수영 지우기 : 탈식민주의 논의와 관련하여 ... 310 1. 문제제기 ... 310 2. 사랑과 죽음, 혹은 해체론적 접근 ... 312 3. 신비평과 탈식민-테이트와 에머슨을 중심으로 ... 318 4. 환유와 진공의 언어 ... 328 5. 환영을 넘어서 ... 335 4부 현대성과 현실성의 모색 1950년대 모더니즘 시론의 시사적 이해 ... 339 1. 새로운 시를 찾아서 ... 339 2. 1950년대 모더니즘 시론의 출발점 ... 342 3. 현대시에서의 언어와 이미지 ... 348 4. 현대시와 시대정신 ... 354 5. 모더니즘의 비판 ... 359 6. 전후 모더니즘의 공과 ... 363 1960년대 참여문학론의 도정 : 『비평작업』ㆍ『청맥』ㆍ『한양』을 중심으로 ... 368 1. 참여문학의 기원을 찾아서 ... 368 2. 신세대 비평가의 역사의식과 참여문학 ... 371 3. 일본에서 간행된 『한양』 ... 379 4. 현실과 영향 ... 387 1960년대 순수비평의 의미와 한계 : 순수ㆍ참여 논쟁을 중심으로 ... 389 1. 분열된 순수 ... 389 2. 순수ㆍ참여 논쟁의 조건과 전개 양상 ... 391 3. 작가와 사회-실존주의 수용의 한 예 ... 396 4. 폐허의식과 저항 그리고 현실 ... 403 5. 참여의 순수성을 넘어서 ... 413 5부 박애의 사상을 찾아서 사랑의 변주곡 : 1970년대 여성 시인 연구 ... 417 1. 여성 시인의 탄생 ... 417 2. 허무와 빈자의 꿈-강은교의 시 ... 421 3. 변화하는 의식과 성장의 기록-고정희와 최승자의 시 ... 431 4. 사랑의 끝없는 변주 ... 441 박애의 사상 : 1980년대 노동시에 대하여 ... 444 1. 망각에 대하여 ... 444 2. 노동자 시인의 출현 ... 446 3. 저 평등의 땅에 ... 456 4. 노동시 이후 ... 463 5. 박애의 사상 ... 470 이미지로의 귀환과 시간의 횡단성 : 김지하의 「중심의 괴로움」과 「화개」를 중심으로 ... 472 1. 새로운 세기의 문턱에서 ... 472 2. 다중심의 논리와 틈 혹은 여백의 시학 ... 475 3. 쓸쓸한 자유인의 초상 ... 484 4. 그리고 더불어 살기 ... 4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