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도입 제1장 학습: 추측에서 과학으로 ... 17 1. 초점: 인간, 학교, 학습 잠재력 ... 20 2. 학습에 관한 과학의 발전 ... 21 이해를 통한 학습 ... 24 선행지식 ... 26 적극적 학습 ... 29 교육에 대한 함의 ... 31 진화하는 과학 ... 31 핵심 연구 발견 ... 32 교수에 대한 시사점 ... 39 무질서에 질서를 부여하기 ... 42 교실환경 설계하기 ... 44 설계 틀을 성인학습에 적용하기 ... 49 제2부 학습자와 학습 제2장 전문가와 초보자는 어떻게 다른가 ... 59 1. 의미 있는 정보패턴 ... 60 2. 지식의 조직화 ... 65 3. 맥락과 지식에 대한 접근 ... 73 4. 유창한 인출 ... 75 5. 전문가와 교수 ... 76 6. 적응적 전문성 ... 78 7. 결론 ... 81 제3장 학습과 전이 ... 91 1. 초기학습을 촉진하는 요소 ... 95 이해 대 암기 ... 96 학습 시간 ... 98 과제에 대한 시간을 넘어서 ... 99 학습동기 ... 102 2. 전이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인 ... 103 맥락 ... 103 문제 표상 ... 106 학습과 전이조건 사이의 관련성 ... 107 전이의 능동적 접근 대 수동적 접근 ... 108 전이와 메타인지 ... 109 3. 선행학습으로부터 전이 ... 111 기존 지식의 활용 ... 113 개념 변화에 대한 이해 ... 113 전이와 문화적 관례 ... 115 4. 학교와 일상생활에서의 전이 ... 117 5. 요약과 결론 ... 121 제4장 아동의 학습 ... 133 1. 영아의 능력 ... 133 이론 ... 133 방법론적 진보 ... 137 2. 특별한 영역의 초기 능력 ... 139 물리학 개념 ... 139 생물학적 인과성 ... 144 초기 수 개념 ... 146 언어에 관한 초기 관심 ... 149 3. 학습과 메타인지 전략 ... 152 능력, 전략, 지식과 메타인지의 중요성 ... 153 다중 전략과 전략의 선택 ... 157 다중지능이론 ... 160 4. 아동의 지능과 학습에 관한 견해: 학습과 이해 동기 ... 160 자기주도적 학습과 타인주도적 학습 ... 161 5. 아동의 학습 지도 ... 162 읽기 학습과 이야기 학습 ... 165 의사소통에서 문화 차이 ... 169 6. 결론 ... 174 제5장 마음과 두뇌 ... 187 1. 뇌: 학습의 기초 ... 189 기본적인 사실 ... 189 뇌 배선 ... 191 2. 경험과 환경이 두뇌발달에 미치는 영향 ... 192 단순한 신경활동만으로 뇌가 변화되는가 아니면 학습이 필요한가? ... 194 국부적인 변화 ... 195 3. 뇌 발달에서 교수 효과 ... 195 언어와 두뇌발달 ... 196 교수가 두뇌발달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예시 ... 197 4. 기억과 두뇌과정 ... 198 5. 결론 ... 201 제3부 교사와 교수 제6장 학습환경 설계 ... 209 1. 교육목표의 변화 ... 210 2. 학습자중심 환경 ... 213 3. 지식중심 환경 ... 216 4. 평가중심 환경 ... 221 형성평가와 피드백 ... 222 이해 수준을 평가하는 방법 ... 224 평가의 이론적 틀 ... 226 5. 공동체중심 환경 ... 228 학급과 학교 공동체 ... 228 좀 더 넓은 공동체와의 연계 ... 231 6. 텔레비전 ... 234 다양한 종류의 프로그램 시청하기 ... 234 신념과 태도의 효과 ... 235 7. 서로 다른 관점의 정렬의 중요성 ... 236 8. 결론 ... 238 제7장 효과적인 교수: 역사, 수학, 과학 과목에서의 예시 ... 249 1. 역사 ... 253 사실을 넘어서 ... 253 서로 다른 교사의 서로 다른 역사적 관점 ... 254 뛰어난 역사교사에 대한 연구 ... 256 증거에 대해 논쟁하기 ... 258 결론 ... 261 2. 수학 ... 262 의미 있게 곱셈하기 ... 263 음수의 이해 ... 266 안내된 토론 ... 268 모델 기반 추론 ... 270 결론 ... 271 3. 과학 ... 272 개념적 변화 ... 279 개인지도로서의 교수 ... 281 대규모 수업에서의 상호 작용적 수업 ... 283 모든 아동을 위한 과학 ... 285 개념적 지식 ... 288 과학적 사고 ... 289 결론 ... 291 4. 결론 ... 292 제8장 교사 학습 ... 301 1. 현직교사를 위한 학습기회 ... 302 2. 학습기회의 특성 ... 304 학습자중심 환경 ... 305 지식중심 환경 ... 307 평가중심 환경 ... 309 공동체중심 환경 ... 311 3. 현장연구 ... 314 4. 예비교사교육 ... 316 5. 결론 ... 320 제9장 학습을 지원하는 테크놀로지 ... 327 1. 새로운 교육과정 ... 329 2. 발판화와 도구 ... 336 3. 피드백, 반성적 성찰, 수정 ... 342 4. 학급과 공동체 연결하기 ... 351 5. 교사의 학습 ... 353 6. 결론 ... 358 제4부 향후 학습연구의 방향 제10장 결론 ... 371 1. 학습자와 학습 ... 372 발달과 학습능력 ... 372 학습의 전이 ... 374 유능하고 전문적인 수행 ... 377 결론 ... 378 2. 교사와 교수 ... 380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교수 ... 380 우수한 교사 ... 383 결론 ... 384 3. 학습환경 ... 385 테크놀로지라는 도구 ... 385 학습을 지원하는 평가 ... 386 학습과 공동체와의 유대 ... 388 결론 ... 390 제11장 향후 연구의 단계 ... 393 1. 중요한 주제 ... 396 2. 연구와 교육자료의 개발 ... 400 교육 실제 현황 조사 ... 401 새로운 교육자료 개발과 검토를 통한 지식 기반 확장 ... 403 핵심 연구 결과의 검토와 발전을 통한 지식 기반 확장 ... 408 교육자료 개발에 학습원리를 적용할 때, 학습원리를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도구 개발 ... 412 3.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교육에 대한 연구 ... 413 이 책에서 제시하는 관점으로 현재의 교육 실제를 살펴보기 ... 414 핵심 연구 결과의 정교화와 개발을 통한 지식 기반 확장 ... 417 교사교육에서 학습원리에 대한 효과적인 의사소통 도구 개발 ... 419 4. 교육정책 연구 ... 422 주(州)별 기준과 평가 ... 423 교육구별 정책 연구 ... 426 정책입안자에게 학습원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도구 개발 ... 427 5. 여론과 대중매체 ... 428 6. 학습과학을 넘어서 ... 430 7. 연구 지식에 대한 소통 ... 437 8. 결론 ... 439 찾아보기 ... 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