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 3 제1부 근대교육의 전파자 : 선교사와 식민지 권력 제1장 근대교육의 길목 ... 17 제2장 미국인 선교사 합동의 역사적 의미 ... 23 Ⅰ. 상반된 평가 ... 27 Ⅱ. 일제하 미국인 선교사들의 역할 ... 29 1. 한국에 관한 부정적 이미지의 형성과 유포 ... 29 2. 한국인들의 열등감 야기 ... 35 3. 혁명의식 말살과 현실순응적 사고 형성 ... 38 4. 친미세력의 양성 ... 44 Ⅲ. 역사적 평가 ... 46 제3장 근대 학제의 완성과정과 식민지 권력 ... 53 Ⅰ. 근대적 학제의 발달과 고등교육의 시도 ... 53 1. 근대적 학제의 발달 ... 53 2. 근대적 고등교육의 시도 ... 54 3. 고등교육의 제도화 지체요인 ... 59 Ⅱ. 이원적 고등교육 체제의 수립 ... 60 1. 전문학교 중심의 고등교육 ... 60 2. 민족대학 설립운동 ... 62 3. 식민지 제국대학의 설립 ... 65 4. 이원적 구조하의 전문학교 팽창 ... 74 Ⅲ. 전쟁과 고등교육의 변화 ... 76 1. 병력동원과 고등교육 ... 76 2. 자유로운 학문연구와 교육활동 억압 ... 79 3. 실용적 학문 중심의 고등교육 개편 ... 80 4. 고등교육 인구의 팽창 ... 81 5. 고등교육의 서울 집중 ... 83 6. 영향력 ... 83 Ⅳ. 편견의 극복을 위하여 ... 84 제2부 미국, 미국교육의 진실 제4장 점령의 명분 만들기 : 준비부족론 비판 ... 95 Ⅰ. '준비부족론 Ⅰ' 비판 ... 99 Ⅱ. '준비부족론 Ⅱ' 비판 ... 105 Ⅲ. 더 나은 제국주의는 없다 ... 116 제5장 진보주의 교육의 진실 : 진보주의 교육은 진보적인가? ... 121 Ⅰ. 아동중심사상으로서의 진보주의 교육 이상과 실제 ... 123 Ⅱ. 진보주의 교육의 보수적 성격 ... 129 Ⅲ. 진보주의 교육의 이념적 기초 ... 131 1. 우민관 ... 132 2. 사회적 효율성의 원칙 ... 134 3. 사회재건주의 교육사상의 배경과 문제점 ... 136 4. 전쟁과 진보주의 교육자들 ... 140 5. 전후 세계질서의 모색과 진보주의 교육자들 ... 143 Ⅳ. 우리 교육에 주는 시사점 ... 144 제3부 미군정의 교육정책과 우리 민족의 대응 제6장 해방 전후의 여론과 교육 구상 ... 151 Ⅰ. 해방 직전의 여론과 미국의 대한정책 구상 ... 155 Ⅱ. 해방 직후의 여론과 교육 ... 159 1. 군정에 대한 여론 ... 159 2. 교육에 대한 여론 ... 161 Ⅲ. 미군정 후기의 여론과 교육 ... 163 제7장 미군정의 교육정책 ... 169 Ⅰ. 점령의 배경과 미군정의 성격 ... 171 Ⅱ. 미군정의 교육정책 목표 ... 173 Ⅲ. 교육정책의 결정 및 집행 기구 ... 177 Ⅳ. 주요한 교육정책 ... 180 1. 미군정 전기의 주요 교육정책 ... 181 2. 미군정 후기의 주요 교육정책 ... 184 Ⅴ. 평가 ... 186 제8장 우리 민족의 교육민주화운동 ... 189 Ⅰ. 진보적 민주주의 교육론 ... 191 1. 식민지교육론 : 과거교육을 어떻게 볼 것인가? ... 193 2. 교육이념론 : 미래교육의 방향은 어떠해야 하나? ... 196 3. 교육개혁론 : 현실교육을 어떻게 변혁해야 하나? ... 198 4. 진보적 민주주의 교육운동과 미군정 교육정책의 갈등 ... 203 5. 교육사적 의미 ... 208 Ⅱ. 새 교육론 ... 209 1. 교육이념 ... 210 2. 교육개혁론 ... 212 3. 새 교육의 실천과 그 영향 ... 217 Ⅲ. 민주주의 민족교육론 ... 220 1. 교육이념론 ... 221 2. 교육개혁론 ... 224 3. 민족주의 교육운동과 그 한계 ... 227 Ⅳ. 일제 교육 잔재의 청산 노력 ... 228 Ⅴ. 역사적 의미 ... 230 제9장 미국의 교육사절단 ... 237 Ⅰ. 사절단의 필요성 ... 238 Ⅱ. 사절단의 기획과 파견과정 ... 240 1. 사절단 파견계획의 제안자 ... 240 2. 한국교육위원단의 미국 방문 ... 241 3. 미국교육사절단의 독일 파견 ... 242 4. 한국교육의 혼란 ... 243 Ⅲ. 사절단의 구성 ... 243 1. 사절단 구성의 주도권 ... 243 2. 선발의 기준 ... 246 3. 사절단의 규모 ... 248 Ⅳ. 사절단의 활동 ... 249 1. USEMJ의 활동 ... 249 2. AEISMK의 활동 ... 250 Ⅴ. 최종 보고서 ... 251 Ⅵ. 사절단의 영향 ... 253 제4부 미군정기의 교육실태 제10장 해방 전후 초등교육의 변화 ... 257 Ⅰ. 해방공간의 초등교육 상황 ... 258 1. 해방과 학교 ... 258 2. 교육개혁 움직임 ... 259 3. 개학 ... 260 4. 초등교육계의 현안과제 ... 261 Ⅱ. 초등교육제도의 변화 ... 263 1. 학제개편 ... 263 2. 의무교육의 제도화 노력 ... 264 3. 교육과정 개편 ... 267 Ⅲ. 초등교육 인구의 팽창과 교육적 과제 ... 271 1. 일제 후반기의 초등교육 인구 추이 ... 271 2. 해방 3년간의 초등교육 인구 변화 ... 272 3. 교원 부족 문제 ... 275 4. 교과서 부족 ... 278 5. 법정 교육재정의 부족 ... 283 Ⅳ. 교육사적 의미 ... 284 제11장 중등교육의 확대와 갈등 ... 291 Ⅰ. 중등학제 정비 ... 291 Ⅱ. 중등교육행정 ... 292 Ⅲ. 학내 갈등 ... 294 Ⅳ. 중등교육의 팽창 ... 296 Ⅴ. 교육과정 개편 ... 298 Ⅵ. 실업교육 ... 302 제12장 고등교육의 일원화과정과 갈등 ... 307 Ⅰ. 해방 당시 고등교육의 실태 ... 308 Ⅱ. 고등교육에 관한 임시 조치 ... 313 Ⅲ. 국대안의 추진과 반대운동 ... 319 1. 국대안의 배경 ... 319 2. 국대안의 주요 내용 ... 325 3. 국대안을 둘러싼 갈등 ... 326 4. 미국 대학의 한국 설립 계획 ... 328 5. 국대안 파동의 해결과정 ... 330 Ⅳ. 교원양성 교육 ... 332 Ⅴ. 역사적 의미 ... 337 제13장 교육재정의 실태 ... 341 Ⅰ. 미군정의 재정정책과 교육 ... 342 1. 화폐금융정책과 교육 ... 342 2. 예산정책과 교육 ... 344 3. 조세정책과 교육 ... 347 Ⅱ. 교육재정의 실태 ... 348 1. 중앙집권화의 문제점 ... 348 2. 법정 교육재원의 부족 ... 350 3. 비법정 교육재정의 과다 ... 352 4. 교육재정의 구성과 운영 ... 354 Ⅲ. 결론 ... 357 제14장 '주한미군사(HUSAFIK)'의 편찬과정과 내용 ... 361 Ⅰ. 편찬과정, 구성체계 및 집필 참여자 ... 362 1. 편찬과정 ... 362 2. 구성체계 ... 363 3. 집필 참여자 ... 365 Ⅱ. 활용된 자료 ... 367 Ⅲ. 서술의 원칙과 해석의 관점 ... 374 1. 서술의 원칙 ... 374 2. 미군정 교육정책의 성과에 대한 평가 ... 375 3. 미군정기 주요 교육 갈등에 대한 해석 ... 378 4. 서술상의 특성 ... 379 Ⅳ. 내용 분석 ... 380 1. 해방 이전 교육에 대한 이해 ... 380 2. 점령 초기의 교육정책 ... 383 3. 초등, 중등, 사범학교의 발전 ... 393 4. 실업교육의 성장 ... 399 5. 고등교육 ... 401 6. 특수과목 교육 ... 406 7. 교원양성 기구 ... 408 8. 해외 유학 ... 409 9. 영어연수소(American language Institute) ... 412 10. 학생 맹휴사태와 기타 소요들 ... 414 11. 대한민국으로의 이양 ... 422 제5부 교육전쟁의 시대 제15장 교육열을 통해 본 한국 현대교육 ... 431 Ⅰ. 교육열 과열화의 원인과 입시제도 ... 434 Ⅱ. 국가권력의 교육관여와 교육열 ... 437 1. 국가형성과정과 교육에 대한 사회적 수요 확장 ... 437 2. 국가권력의 입시관여와 교육열 ... 443 Ⅲ. 입시제도를 통한 배제와 교육열 ... 445 Ⅳ. 포용을 지향하며 ... 449 제10장 입시제도 60년을 통해 본 한국 현대교육 ... 453 Ⅰ. 중등학교 입시제도 개혁의 역사와 평가 ... 455 1. 중등학교 입시제도의 사회적 의미 ... 455 2. 중등학교 입시제도 개혁의 역사 ... 457 3. 중등학교 입시제도 개혁의 종합적 평가 ... 480 Ⅱ. 대학 입시제도 개혁의 역사와 평가 ... 482 1. 대학 입시제도의 결정 요인과 유형 ... 482 2. 대학 입시제도 개혁의 역사 ... 484 3. 대학 입시제도 개혁의 종합적 평가 ... 501 Ⅲ. 종합적 평가와 제언 ... 504 제17장 교육사학 50년을 통해 본 한국 현대교육 ... 511 Ⅰ. 교육사학의 탄생기(1945-1966) ... 513 Ⅱ. 교육사학의 계몽기 : 학회의 탄생과 양적 성장(1967-1980) ... 518 Ⅲ. 인접학문과의 교류를 통한 질적 발전 모색기(1981-2002) ... 524 Ⅳ. 21세기의 과제 ... 532 찾아보기 ... 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