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 11
제1장 農巖 思想의 형성배경 ... 25
1. 정치적 상황 ... 25
2. 사상계의 동향 ... 28
1) 송시열에 대한 지지와 주자학의 강화 ... 29
2) 서울ㆍ경기지역 학풍의 영향 ... 39
3. 農巖의 生涯와 著作 ... 48
제2장 退ㆍ栗 四端七情論의 綜合的 省察 ... 65
1. 退溪說의 비판적 수용 ... 66
1) 退溪에 대한 尊崇의 태도 ... 66
2) 理發의 否定과 主理의 含意 ... 70
2. 栗谷說의 계승 및 보완 ... 84
1) 四端ㆍ七情의 연관과 다양성: '理氣經緯說' ... 84
2) 氣의 결정적 측면에 대한 懷疑: '理氣勝負論' ... 89
3. 農巖 四七論의 特徵과 意義 ... 97
제3장 本性의 普遍性과 具現 可能性 ... 109
1. 荀子 및 佛敎의 본성에 관한 비판적 성찰 ... 110
1) 荀子의 '認氣爲性'에 대한 비판 ... 110
2) 佛敎의 '認心爲性'에 대한 비판 ... 115
2. 人性과 物性의 동일성 여부 ... 123
1) 農巖 初年의 人物性異論 ... 123
2) 洛學내부의 비판적 논의 ... 131
3. 본성의 동일성과 具現 차이 ... 137
1) 朴世堂의 人ㆍ物 분리에 대한 비판 ... 137
2) 본성의 구현여부에 따를 人ㆍ物의 차이 ... 151
제4장 未發과 知覺論議를 통한 心의 강조 ... 163
1. 未發의 實在와 그 의미 ... 164
1) 未發의 實在 ... 164
2) 未發의 두 측면: '境'과 '心' ... 170
2. 未發공부와 聖ㆍ凡의 동일성 ... 177
1) 未發工未와 敬 ... 177
2) 聖ㆍ凡의 동일과 貝現의 차이 ... 188
3. 知覺論議와 卽心指性의 心性觀 ... 193
1) 知覺論議의 발단과 전개 ... 195
2) 智와 知覺의 구분과 연계 ... 203
3) 心의 知覺과 卽心指性의 含意 ... 214
제5장 農巖思想의 비판과 계승 ... 229
1. 南塘 韓元震의 批判的 見解 ... 230
1) 農巖의 四端七情說에 대한 비판 ... 230
2) 知覺과 智의 분리에 대한 반론 ... 235
2. 巍巖 李柬의 變容的 側面 ... 242
1) 本心의 보존과 구현노력 ... 244
2) 心性一致의 극단적 전개 ... 253
3. 洛學系列의 農巖思想 繼承 ... 261
1) 陶菴 李縡의 心說論議 ... 262
2) 美湖 金元行의 心과 明德論議 ... 278
결론 ... 299
참고문헌 ... 311
색인 ... 319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