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 11
서장. 남명학을 오해와 소외에서 바로잡자 ... 55
1. 조식의 사람됨에 대한 재인식 ... 55
1) 박대정심한 학문 범위 ... 55
2) 박문약례와 자득지학 ... 57
3) 군경민귀 사상의 고취 ... 58
4) 강의독행의 '경의' 정신 ... 59
5) 출처대의의 수범 - 선비의 전형 ... 61
6) 실천유학의 대교육가 ... 66
2. 조식이 폄억된 몇 가지 원인 ... 68
1) 조정으로부터의 경원 ... 69
2) 정인홍의 실각과 학파 간의 대립 ... 70
3) 문집산정으로 진면목의 상실 ... 71
4) 신도비 시비로 인한 유림과의 이반 ... 73
3. 조식의 정신이 지성에게 주는 교훈 ... 75
1) 진리와 도의 편에 서는 지성 ... 75
2) 자아세계가 확립된 지성 ... 76
3) 역사문화의 주체적 지성 ... 78
4) 만품을 굽어보는 고고탁절한 기상 ... 79
제1장. 조식의 출처관, 그 배경과 저의 ... 81
1. 벼슬길의 속성을 직시하고 택한 처사의 길 ... 81
2. 끝내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은 저의 ... 83
제2장. 남명 조식의 생애와 학문 정신 ... 89
1. 처사로 곧게 살아간 생애 ... 89
2. '정신 수양'에 주력하고 '정의를 실천'하는 학문 ... 94
3. 고매하고 우국애민한 선비 정신 ... 97
4. 사림과 나라에 끼친 영향과 공적 ... 99
1) 처사상의 확립 ... 100
2) 선비 존중의 가치관 조성 ... 102
3) 영재 교육과 국난 극복 ... 104
5. 남명의 상소문 ... 109
1) 「단성소」 ... 109
2) 「단성소」를 둘러싸고 일어난 조정의 논란 ... 110
3) 선조에게 올린 마지막 건의 ... 112
6. 국왕이 보낸 제문 및 선비우대정책 ... 116
1) 사제문 ... 116
2) 선비우대정책 ... 118
7. 제현들의 찬술 - 남명 학덕의 대요 ... 119
8. 문묘종사보다 우뚝 선 처사상 ... 124
제3장. 남명 조식 성리학의 특징 Ⅰ - 자득과 실천 ... 125
1. 조식의 성리학관과 시대의식 및 자기출로 모색 ... 125
1) 조식의 성리학관 ... 125
2) 조식의 시대 의식 ... 130
3) 조식의 학문 방법과 그가 얻은 경지와 지킨 것 ... 138
2. 남명학의 기조 - 『학기유편』과 「학기도」 ... 148
1) 이정합집본과 중간본의 범례와 발문 ... 148
2) 도의 통체를 논하다 ... 151
제4장. 남명 조식 성리학의 특징 Ⅱ - 학문의 과정과 방법 ... 193
1. 위학지요: 학문의 과정과 방법 ... 194
1) 「소학대학도」 ... 194
2) 「박문약례도」 ... 199
3) 「지언양기도」 ... 204
4) 「심위엄사도」 ... 211
5) 「기도」 ... 215
2. 조식의 「학기도」의 도의 단위와 명칭 정리 ... 219
1) 『학기』와 「학기도」의 요점 ... 219
2) 「학기도」 및 도명 대비표 ... 222
3) '남명성학도'의 호칭과 '남명성학십도'의 선택 가능 문제 ... 223
제5장. 남명학의 요체 - '경의' ... 227
1. 들어가는 말 ... 227
1) 조식의 성리학 특징 ... 227
2) 남명학의 요체 - '경의' ... 231
3) '경'ㆍ'의'의 글자 의미와 연원 맥락 ... 235
2. '경'과 '의'의 연원 맥락 ... 240
1) '경의 변천 과정 ... 240
2) '의'의 변천 과정 ... 249
3. 송대 성리학의 함양 공부 - '경'과 '의' ... 260
1) '경의' 정신의 몰락과 재기 ... 260
2) 도교와 불교의 영향과 주정 경향 ... 261
3) 정호와 정이 형제의 유가 본위의 '경의'설 ... 264
4. 조식의 '경의'관과 그 실천 ... 280
1) 조식의 학문 방법 특징 ... 280
2) 여러 학파의 '경의'설의 수집과 정리 ... 283
3) 조식의 '경도'와 '경의명' ... 288
제6장. 「신명사도ㆍ명」의 새로운 해석 ... 301
1. 들어가는 말 ... 301
2. 「신명사도ㆍ명」의 고증 문제 ... 303
3. 「신명사도ㆍ명」의 문자 정리 ... 309
1) 명문의 부주 문제 ... 309
2) 「신명사도」의 몇 가지 의문 ... 311
3) 「신명사도ㆍ명」의 정리 ... 314
4. 「신명사도ㆍ명」에 대한 필자의 해석 ... 319
1) 종래 연구에 대한 필자의 견해 ... 319
2) 「신명사도ㆍ명」을 가장 간명직절하게 이해하는 길 ... 320
3) 조식의 학문 수양 방향과 자세 ... 322
4) 남명학의 학문 과정과 방법의 특징 ... 325
5. 「신명사도ㆍ명」과 조식의 일상과의 대비 ... 327
1) 「행장」에 나타난 조식의 일상 모습 ... 328
2) 선대 유학자들의 「신명사명」 약해 ... 329
3) 「신명사명」에 대한 필자의 해석 ... 331
6. 맺음말 ... 335
제7장. 시문을 통해 본 조식의 사상 ... 339
1. 조식 시문의 특징 ... 339
2. 영지(詠志) - 고고탁절한 기상과 비천민인의 정조 ... 345
3. 영회(詠懷) - 청고이불일한 흉회와 격탁위양청하는 처세 ... 359
4. 영사(詠史) - 역사교훈에 입각한 현실 직시와 미래에의 대비 ... 369
제8장. 기축옥사의 시말과 그 교훈 ... 379
1. 기축옥사의 사실 구명과 재평가 ... 379
2. 기축옥사가 일어난 원인 Ⅰ ... 385
1) 신사무옥: 안처겸의 옥 ... 385
2) 송익필 가문의 환천 ... 387
3) 정여립과 송익필의 대립 및 이발과 정철의 반감 ... 389
4) 최영경과 정철의 사혐 ... 390
3. 기축옥사가 일어난 원인 Ⅱ ... 392
1) 동서분당과 양전론자 이이의 죽음 ... 392
2) 정여립의 배사부동(背師附東)과 대동계 ... 396
4. 기축옥사의 시말 ... 400
1) 역모의 고변에서 국문의 성립까지 ... 400
2) 정여립 도피 사건에 대한 의혹 ... 403
3) 기축옥사의 전개 과정 ... 405
5. 기축옥사를 일으킨 저의: 이발 가문의 단멸 ... 407
6. 기축옥사의 사화로의 전변: 최영경의 무옥과 사림의 반발 ... 412
7. 기축옥사의 반전 ... 419
1) 정철의 실각과 동인의 반격 ... 419
2) 최영경의 신원 ... 421
3) 호남육현의 신원 ... 422
8. 기축옥사가 남긴 과제 ... 425
1) 정여립의 사상 ... 425
2) 정개청의 이념 ... 427
제9장. 묘갈문과 신도비문 ... 429
1. 「묘갈문」: 대곡 성운 ... 429
1) 비문을 번역하게 된 연유 ... 429
2) 각 판본 간의 증삭한 문제와 역자의 입장 ... 430
3) 각 판본의 대교 검토 ... 432
4) 「묘갈문」 역문 ... 437
2. 「신도비문」: 우암 송시열 ... 443
1) 비문을 번역하게 된 연유와 역문의 저본 ... 443
2) 「신도비문」 역문 ... 447
종장. 남명학과 21세기 유교의 부흥 ... 453
1. 한국 유교의 과거와 현재 ... 453
1) 유교의 어제와 오늘 ... 453
2) 공자의 수난과 유교의 반기 ... 455
2. 조식의 실천유학의 특징: 신유학과 원유학의 접목 ... 457
1) 주자학자이기보다는 공자학자였던 조식 ... 457
2) 조식의 유학(성리학)과 유교(공맹학)의 상호 보완 ... 460
3. 공자학의 부흥과 유교의 역동화 ... 463
1) 공자학의 기조: 박학이무방, 온고이지신 ... 463
2) 공자학의 위축과 『논어』의 한계 ... 466
3) 공자학의 원형 ... 470
4. 유교 복원의 삼대축: 제사문화ㆍ가정윤리ㆍ도덕교육 ... 472
1) 제사 문화의 새로운 복원 ... 473
2) 가정윤리의 단위 공능 회복 ... 476
3) 도덕교육 확립의 조기화와 정교 ... 479
부록 1. 남명 조식의 사적 ... 485
부록 2. 남명의 교유인과 문인ㆍ사숙인 ... 497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