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글 퇴계를 세상 밖으로, 그리고 21세기의 현실 속으로 ... 4 여는글 필자가 퇴계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된 이유, 그리고 이 책의 구성에 대하여 ... 11 제1부 법치주의의 시대, 조선시대를 읽어야 하는 이유 1장 조선시대와의 대화를 위하여 ... 26 2장 서구중심주의와 한국 정치인들의 식민성 ... 30 3장 한국 법학도들의 식민성 ... 37 21세기의 삼봉을 기다리며 ... 37 법학도와 인문정신 ... 39 한국 헌법학의 정체성 문제 ... 43 삼봉 정도전의 헌법정신 ... 47 4장 한국적 법정신을 위해 / 조선시대를 읽자 ... 49 원효의 교훈을 통해서 ... 49 한국적 헌법학을 위해 - 조선시대의 전통은 민주주의와 법치주의의 장애인가 ... 51 한국적 법철학을 위해 ... 56 제2부 퇴계의 시대 - 16세기 사화의 역사 1장 왜 16세기인가 ... 66 조선시대를 보는 관점의 문제 ... 66 조선왕조 5백년에서 16세기 역사의 중요성 ... 69 조선 성리학을 이해하기 위해 - 실증사학의 문제 ... 72 퇴계를 이해하기 위해 ... 77 2장 16세기 사화의 역사를 이해하기 위한 전제 /15세기의 양면성 ... 84 3장 사화의 역사, 그 전개 과정 ... 91 무오사화 ... 92 갑자사화 ... 94 기묘사화 ... 96 조광조의 등장 ... 96 기묘사람들과 개혁내용 ... 100 위훈삭제 사건 - 기묘사람들의 성공과 실패의 분수령 ... 105 을사사화 ... 110 4장 16세기 사화의 역사에서 성리학의 역할 ... 114 5장 훈척시대의 종말과 사림시대의 개막 ... 122 6장 동서분당, 그리고 그 후 성리학의 운명 ... 125 참고 조선 전기 훈구파 세력의 형성과정(도표와 그림을 통해서) ... 131 제3부 퇴계의 사상에 대한 새로운 이해 1장 21세기 퇴계의 부활을 위하여 ... 146 2장 사상과 현실의 관계 / 원효와 지눌과 수운, 그리고 퇴계 ... 150 3장 퇴계와 정암 조광조 ⑴ ... 154 4장 퇴계와 정암 조광조 ⑵ / 현량과 ... 164 5장 퇴계와 주자의 차이 ... 168 퇴계의 정체성을 문제삼는 이유 ... 168 퇴계와 주자의 차이⑴ - 12세기 남송과 16세기 조선의 차이 ... 171 퇴계와 주자의 차이⑵ - 사상은 흐른다 ... 177 퇴계와 주자의 차이⑶ - 심경부주(心經附註)의 문제 ... 181 퇴계의 독자성 - 정암 조광조를 통해서 ... 184 6장 퇴계의 정체성 문제 / 공자, 플라톤, 그람시를 통해서 ... 188 7장 퇴계 사상 제일의 특징, ‘理發說’에 대하여 ... 197 퇴계는 ‘주자학 최대의 이단’이라는 견해 ... 198 퇴계 理發說의 딜레마 ... 201 다른 견해 - 퇴계는 주자학(성리학)의 적통이다 ... 205 퇴계 理發說의 실천적 의미 - 16세기 역사 속에서 ... 208 理發 - 법관의 ‘판결’의 비유를 통해서 ... 210 8장 퇴계, 敬의 사상가 ... 212 퇴계 사상의 기본 구도 - 이론과 실천의 조화 ... 212 성리학에서 敬의 위치 ... 215 敬이란 무엇인가 ... 217 퇴계 敬사상의 실천적 의미 ... 225 여론 - 노무현정부의 과거청산 작업과 퇴계의 교훈 ... 229 9장 퇴계와 고봉 간의 사단칠정논변에 대한 새로운 이해 ... 232 사단칠정논변의 배경⑴ - 〈주자대전〉의 보급 ... 233 사단칠정논변의 배경⑵ - 16세기 사화(士禍)의 시대 ... 238 무엇에 대한 논쟁이었는가 ... 240 사단칠정논변의 쟁점 ... 244 논쟁의 발단 ... 244 쟁점 - 퇴계와 고봉의 차이를 중심으로 ... 247 사단칠정논변의 실천적 의미① - 퇴계의 경우 ... 252 사단칠정논변의 실천적 의미② - 고봉에서 율곡으로 ... 254 논쟁의 현대적 의미 ... 263 ‘공법과 사법’관계의 비유를 통해서 ... 264 다양성과 감성의 시대 - 퇴계의 한계, 고봉의 장점 ... 268 자본주의 시대와 퇴계 ... 270 10장 퇴계는 왜 양명학을 비판했는가 ... 272 퇴계의 모순 - 온건한 성품과 전투적 학풍 ... 272 16세기 역사와 양명학의 문제점 ... 275 어느 역사학자의 퇴계관에 대하여 ... 279 11장 주자학, 양명학 그리고 퇴계학 / 헌법의 비유를 통해서 ... 281 12장 오늘과 같은 ‘자유와 평등’의 시대에 퇴계는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 ... 288 제4부 퇴계의 현대적 의미 1장 21세기 퇴계의 부활을 위한 서론 ... 300 2장 건국 60주년(2008년) / 퇴계와 선진화 ... 304 3장 퇴계와 한류 / ‘대장금’에 대한 새로운 해석 ... 307 4장 퇴계와 과학 ... 311 열린 시각으로 퇴계를 보자 ... 311 16세기 누적된 시대의 병을 치료한 탁월한 의사 ... 316 실학과 퇴계 - 성호 이익과 다산 정약용을 통해서 ... 317 20세기 과학계 최고의 ‘도산사숙가’(陶山私淑家) - 무은재 김호길 ... 319 시대가 퇴계를 ㅜ른다 ... 328 5장 자본주의 시대의 퇴계 ... 341 퇴계학의 현대적 해석의 분수령 - 사단칠정론의 문제 ... 341 자본주의와 퇴계 - 헌법 제 119조의 경우 ... 344 퇴계와 삼성 ... 359 6장 퇴계와 법치주의 ... 367 왜 ‘사법(司法)의 철학’인가 ... 367 퇴계의 理發과 사법적극주의 ... 372 敬의 철학과 헌법 제103조의 ‘양심’ ... 379 「성학십도」의 법철학적 의미 - ‘성인’은 법관의 이념형 ... 391 각주 ... 408 주요 참고문헌ㆍ감사의 글 ... 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