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3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3
2.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 5
3. 주요 문제의식과 인터뷰의 틀 ... 9
1)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유형 ... 10
2) 제3국에서의 경험 ... 10
3) 남한에서 정착과정 ... 10
4) 인간관계와 네트워크 ... 11
5) 교육 ... 11
6) 지적인 발달(학습의 경로) ... 11
7) 사회생활 ... 12
8) 정체성과 자신감의 변화 ... 12
9) 앞으로의 구상과 전망 ... 12
4. 중복연구의 폐해와 제언 ... 13
Ⅱ.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논의 ... 19
1. 북한이탈 청소년의 개념과 현황 ... 19
1) 북한이탈 청소년의 정의 ... 19
2) 북한이탈 청소년 현황 ... 21
2. 선행연구 검토 ... 24
1) 북한이탈주민과 북한이탈 청소년에 대한 선행연구 ... 24
3. 국가 간 이주민으로서 북한이탈주민의 특성 ... 30
1) 낮은 언어장벽 ... 31
2) 북한 미디어 문화와의 단절 ... 32
3) 민족적 동질성에 대한 인식 ... 33
4) 중간 기착지에서의 생활경험 ... 33
4. 이주 청소년에 대한 이론적 논의 ... 34
Ⅲ. 북한이탈 청소년의 경험과 진로기획 ... 41
1. 이주배경과 그 과정 ... 41
1) 북한사회와 이탈동기 ... 41
2) 중간기착지에서의 경험 ... 44
2. 남한사회에의 초기적응 ... 46
1) 문화적 이질감과 한국인들의 인식 ... 46
2) 가족관계의 변화 ... 49
3) 북한이탈 청소년 연결망 및 남한 사람들과의 교류 ... 51
3. 학교교육과 일 경험 ... 56
1) 북한 및 중간기착지에서의 교육과 노동경험 ... 56
2) 남한에서의 학교생활과 대학진학 ... 59
3) 남한에서의 일 경험 ... 62
4. 집단정체성과 '우리'의 범주 ... 64
5.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진로기획 ... 73
Ⅳ. 진로탐색 인문학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 81
1. 왜 인문학인가? ... 81
1) 사람됨의 탐구와 자아의 성찰 ... 81
2) 텍스트에 대한 이해력 증진 ... 82
3) 세계에 대한 입체적인 안목 형성 ... 83
2. 진로탐색 인문학 프로그램의 실행 ... 85
1) 프로그램의 세팅 ... 85
2) 프로그램의 운영 ... 87
3) 피드백과 방향의 전환 ... 89
3.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 91
1) 인문학 공부를 통해 드러난 것 ... 91
2) 관심과 참여를 북돋은 계기들 ... 92
4. 진로탐색과 인문학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 ... 93
1) 진로와 관련지어 동기부여하기 ... 93
2) 정서가 교감되는 규모와 분위기 조성 ... 94
3) 예술 프로젝트와의 연계 ... 95
4) 목표 설정과 성취의 경험 ... 96
5. 진로탐색 인문학 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한 체크 리스트 ... 98
1) 기회 단계의 점검 사항들 ... 98
2) 목표 달성의 지표 ... 98
Ⅴ. 북한 이탈 청소년 진로지원 정책 제안 ... 103
1. 성장을 지원하는 기반의 구축 ... 103
2. 진로 관련 정보의 체계적 제공 ... 105
3. 맞춤형 학습의 다양한 경로 개발 ... 106
4. 사회적 기업과 멘토링 시스템 ... 107
Ⅵ. 결론 ... 111
참고문헌 ... 117
부록 ... 123
1. 북한이탈 청소년 인터뷰(사례) ... 123
2. 진로탐색 인문학 프로그램 진행(사례) ... 142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