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교육의 기초
Ⅰ. 인간의 본질과 교육
1. 인간의 본질 ... 14
2. 교육의 개념 정의 방식 ... 14
3. 동ㆍ서양의 교육에 대한 이해 ... 15
4. 인간교육학 입장에서 교육의 이해 ... 19
5. 사상적 배경에 따른 교육의 개념 ... 19
6. 교육현상적 입장에서 교육의 개념정의 ... 21
7. 서술적 정의와 규범적 정의의 비교 ... 22
8. 교육에 대한 개념정의의 유형 ... 23
9. 교육을 성립시키는 조건 ... 24
10. 주물모형, 도토리모형, 만두모형 교육관 비교 / 정재걸 ... 26
11. 교육과 유사한 활동 ... 28
12. 페다고지와 안드라고지적 교육의 비교 ... 31
13. 교육과 교육학 ... 34
Ⅱ. 교육의 구조
1. 교육의 요소 ... 37
2. 교육의 효과와 한계 ... 39
3. 유전과 환경의 관계에 관한 연구 ... 42
4. 유전과 환경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 45
5. 교육환경(environment) ... 47
Ⅲ. 교육의 본질탐구로서의 교육
1. 교육이념, 교육목적, 교육목표 ... 52
2. 민주주의 교육의 목적 ... 55
3. 미국의 교육목적 ... 56
4. 우리나라 교육의 목적 ... 57
5. 신홍익인간과 교육 ... 58
6. 교육의 기능 ... 60
7. 교육의 역할 ... 63
Ⅳ. 교육의 양태
1. 형식적 교육과 비형식적 교육 ... 66
2. 학교교육 ... 66
3. 가정교육 ... 67
4. 사회교육 ... 71
5. 전인교육(全人敎育) ... 74
6. 노작교육(작업교육, 근로교육) ... 75
7. 자유교육 ... 77
8. 아동중심교육과 아동존중교육 ... 80
9. 특수교육(特殊敎育, special education) ... 80
10. 영재교육 ... 85
11. 평생교육 ... 93
12. 한국의 평생교육 운동 ... 103
13. 문해교육 ... 106
14. 열린교육 ... 109
15. 유아교육 ... 115
16. 조기교육 ... 119
17. 환경교육(environmental education) ... 119
18. 진로교육 ... 122
19. 통일교육 ... 125
20. 북한교육 ... 130
21. 21세기 교육 ... 131
Ⅴ. 대안적 교육
1. 대안학교의 개관 ... 134
2. 자율학교 ... 136
3. 독일의 발도로프 학교 ... 139
4. 미국의 대안학교 ... 141
5. 기타 국가의 대안학교 ... 145
2장 교사론
Ⅰ. 교직
1. 교직의 개념 ... 152
2. 교직문화(敎職文化) ... 153
3. 교직윤리와 교권 ... 154
Ⅱ. 교육권
1. 교육권의 의미 ... 158
2. 교육권의 내용 ... 159
3. 교사의 권리로서의 교권 ... 159
4. 유네스코의 교원의 지위에 관한 권고문 ... 159
Ⅲ. 교사와 교육애
1. 교원과 교육공무원 ... 162
2. 교사의 자질 ... 162
3. 교사의 특성과 학업성취 ... 167
4. 교사의 역할 ... 173
5. 교사의 지위 ... 179
6. 교육애(敎育愛) ... 183
Ⅳ. 교직관
1. 성직관 ... 184
2. 전문직관 ... 184
3. 노동직관 ... 186
3장 교육철학
Ⅰ. 교육철학의 성격
1. 철학의 의미 ... 192
2. 철학의 영역 ... 192
3. 진리에 대한 준거 ... 193
4. 교육철학의 의미와 기능 ... 194
5. 교육철학과 교육과학 ... 196
Ⅱ. 교육과 지식
1. 전통적 지식의 분류 ... 198
2. 쉐퍼(Scheffer)의 지식의 구분 ... 198
3. 앨런 캔트로의 지식의 개념 ... 200
4. 호스퍼스(J.Hospers)의 지식의 분류 ... 201
5. 노나카 이쿠지로의 지식창조 프로세스 모델 SECI ... 202
Ⅲ. 교육과정 기초로서의 지식
1. Phenix의 교육과정 기초로서의 지식 ... 204
2. Broudy의 교육과정 기초로서의 지식 ... 205
3. Peters의 Hirst의 지식의 형식 ... 206
Ⅳ. 동양철학의 발달
1. 노자(B.C.604?∼531)의 사상 ... 211
2. 장자(莊者 B.C.369∼286)의 사상 ... 212
3. 유교사상의 전개 ... 214
4. 공자(孔子 B.C.551∼479)의 사상 ... 215
5. 맹자(孟子 B.C.374∼289)의 사상 ... 218
6. 순자(荀子 B.C.298∼238)의 사상 ... 219
7. 주자(주희)의 성리학 ... 220
8. 왕양명의 양명학 ... 223
9. 조선시대의 성리학적 논쟁 ... 225
10. 불교사상과 교육 ... 228
Ⅴ. 서양철학과 교육
1. 이상주의(관념론) 교육 ... 233
2. 실재주의 교육 ... 235
3. 자연주의 교육 ... 249
4. 프래그머티즘과 교육 ... 250
Ⅵ. 현대 미국의 교육철학
1. 진보주의 교육이론 ... 254
2. 본질주의 교육이론 ... 256
3. Breed의 양극적인 이론 ... 258
4. 항존주의(Perpetualism) 교육이론 ... 259
5. 재건주의(Reconstructionism) 교육이론 ... 260
Ⅶ. 20세기 후반부의 교육철학
1. 실존주의(Existentialism) 교육이론 ... 263
2. 인간주의 교육이론 ... 266
3. 해석학 ... 267
4. 현상학과 교육 ... 272
5. 분석철학과 교육 ... 274
6. 포스트 모더니즘과 교육 ... 277
7. 비판이론과 교육 ... 279
8. 푸코의 훈육론 ... 281
9. 구성주의와 교육 ... 283
10. 홀리즘(Holism;전 연관주의) ... 290
4장 한국교육사
Ⅰ. 원시교육 ... 298
Ⅱ. 삼국시대의 교육
1. 개관 ... 299
2. 고구려시대의 교육 ... 299
3. 백제시대의 교육 ... 301
4. 신라시대의 교육 ... 302
Ⅲ. 고려의 교육
1. 고려 교육의 개관 ... 310
2. 국자감 ... 311
3. 고려의 학당 ... 314
4. 고려의 향교 ... 314
5. 고려의 12공도(사학12徒) ... 317
6. 고려의 서당 ... 318
7. 고려의 과거제도 ... 318
8. 음서제도 ... 321
9. 고려의 교육진흥책(時代順) ... 321
10. 고려의 사상가 ... 322
Ⅳ. 조선의 교육
1. 조선 교육의 개관 ... 327
2. 조선초기의 교육적 인간상 ... 328
3. 조선의 성균관 ... 329
4. 조선의 4학(四學) ... 334
5. 조선의 향교 ... 335
6. 조선의 종학(宗學) ... 339
7. 조선의 잡과교육(기술교육) ... 339
8. 조선의 서원 ... 340
9. 조선시대 정사(精舍)와 문도제(門徒制) ... 343
10. 조선의 서당 ... 344
11. 조선 성리학의 교육이론 ... 351
12. 교육에 관한 제 법규 ... 354
13. 조선시대의 사회교육 ... 357
14. 조선의 과거제도 ... 358
15. 조선의 강제시비론(講製是非論) ... 362
16. 조선의 사상가 권근(陽村 1352∼1409) ... 364
17. 조선의 사상가 조식(南明 1501∼1572) ... 365
18. 조선의 사상가 이황(退溪 1501∼1570) ... 365
19. 조선의 사상가 이이(栗谷 1536∼1584) ... 366
20. 조선의 사상가 김굉필(寒喧堂 1454∼1504) ... 367
21. 조선의 사상가 서경덕(花潭 1489∼1546) ... 368
22. 주요 저서 해설 ... 368
Ⅴ. 조선의 실학과 교육
1. 실학과 교육 ... 372
2. 실학의 유형 ... 374
3. 실학자 이수광(芝峯 1563∼1628) ... 375
4. 실학자 유형원(磻溪 1622∼1673) ... 376
5. 실학자 이익(星湖 1681∼1763) ... 378
6. 실학자 홍대용(湛軒 또는 洪之 1731∼1783) ... 380
7. 실학자 박지원(燕巖 1737∼1805) ... 382
8. 실학자 박제가(楚亭 1750∼1815) ... 384
9. 실학자 이덕무(雅亭 1741∼1793) ... 385
10. 실학자 정약용(茶山 1762∼1836) ... 385
11. 실학자 최한기(惠岡 1803∼1879) ... 389
Ⅵ. 근대의 교육
1. 근대교육의 발전 ... 392
2.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학교에 대한 4가지 설 ... 396
3. 정부에 의한 근대학교의 설립 ... 398
4. 선교사들에 의한 근대학교의 설립 ... 399
5. 민간인에 의한 근대학교의 설립 ... 400
6. 갑오개혁과 신학교 ... 401
7. 개화기 교육행정의 특징 ... 404
8. 통감부하의 교육제도 및 교육구국운동 ... 405
9. 일제 식민지하의 교육(1910∼1945) ... 406
10. 조선 교육령 ... 407
11. 일제하의 문맹퇴치 운동 ... 410
12. 근대 교육 사상가 ... 410
Ⅶ. 현대의 교육
1. 미 군정기의 교육(1945.8.15∼정부수립 전) ... 414
2. 해방 후 대표적 교육사조 ... 417
3.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의 교육 ... 418
5장 서양교육사
Ⅰ. 원시사회 교육
1. 원시시대의 교육과 학교교육의 발달 ... 426
2. 학교교육의 발생 ... 426
Ⅱ. 그리스(Greece) 교육
1. 그리스(Greece) 교육의 개관 ... 427
2. 스파르타 교육 ... 428
3. 아테네 교육 ... 429
4. 소피스트(Sophist) ... 431
5. 소크라테스(B.C. 479∼399) ... 433
6. 플라톤(Platon, B.C. 429∼347) ... 434
7.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B.C. 384∼322) ... 436
8. 이소크라테스(Isokrates, B.C. 436∼338) ... 438
Ⅲ. 로마(Rome)의 교육
1. 로마 교육의 개관 ... 439
2. 로마 왕정시대의 교육 ... 439
3. 로마 공화정시대의 교육 ... 439
4. 로마 제정시대의 교육 ... 440
5. 로마의 교육기관 ... 440
6. 카토(Cato)와 세네카(Seneca) ... 441
7. 키케로(Cicero, B.C. 106∼43) ... 442
8. 퀸틸리안(Quintilianus, 35∼95) ... 443
Ⅳ. 중세의 교육
1. 중세교육의 개관 ... 446
2. 기독교와 교육 ... 447
3. 중세 기독교 교육기관 ... 448
4. 중세 스콜라 철학과 교육 ... 449
5. 칼 대제의 교육정책과 궁정교육 ... 451
6. 중세 기사도 교육 ... 452
7. 중세의 대학교육 ... 454
8. 중세의 시민교육 ... 455
Ⅴ. 인문주의 교육
1. 문예부흥의 개념 및 성립배경 ... 457
2. 인문주의 교육 ... 457
3. 인문주의 교육의 유형 ... 459
4. 인문주의 시대의 학교교육 ... 460
5. 비토리노(Vittorino 1378∼1446) ... 460
6. 에라스무스(Erasmus 1466∼1536) ... 461
7. 비베스(Vives 1492∼1540) ... 462
8. 라블레(Rabelais 1483∼1553) ... 464
Ⅵ. 종교개혁기의 교육
1. 종교개혁의 의의(意義) 및 배경 ... 465
2. 문예부흥과 종교계혁의 비교 ... 465
3. 종교개혁이 교육에 미친 영향 ... 466
4. 신교(Protestant)의 교육 ... 467
5. 구교의 교육 ... 468
6. 신교의 교육령(보통교육의 성립) ... 470
7. 루터(Luther 1483∼1546)의 교육사상 ... 471
8. 멜란히톤의 교육사상 ... 471
9. 칼뱅(Calvin 1509∼1564)의 교육사상 ... 472
10. 로욜라(Royola, 1491∼1556) ... 472
Ⅶ. 17C 실학주의(Realism) 교육
1. 실학주의 교육의 개관 ... 474
2. 실학주의의 유형 ... 475
3. 밀턴(John Milton, 1608∼1674) ... 477
4. 몽테뉴(Montaigne 1533∼1592) ... 477
5. 베이컨(Bacon 1561∼1626) ... 478
6. 라트케(Ratke 1571∼1635) ... 478
7. 코메니우스(Comenius, 1592∼1670) ... 479
8. 로크(John Locke 1623∼1704) ... 482
Ⅷ. 18C 계몽시대 교육
1. 18C 계몽시대 교육의 개관 ... 485
2. 자연주의의 교육 ... 486
3. 루소(J.J Rousseau, 1712∼1778) ... 487
4. 범애주의 교육사상 ... 491
5. 바제도우(Basedow, 1723∼1790) ... 492
6. 잘쯔만(Salzman, 1744∼1811) ... 493
7. 칸트(Immanuel Kant, 1724∼1804) ... 495
8. 특수교육의 발달 ... 496
Ⅸ. 19세기의 교육
1. 신인문주의 교육 ... 497
2. 심리적 계발주의(과학주의 교육) ... 498
3. 국가주의 교육 ... 499
4. 근대 국민교육제도(공교육제도)의 수립 ... 505
5. 피히테(Fichte, 1762∼1841) ... 506
6. 슐라이어마허(Schleiermaeher, 1768∼1834) ... 507
7. 오웬(Owen, 1771∼1858) ... 508
8. 호레스 만(Horace Mann, 1796∼1858) ... 508
9. 파커(F.W.Farker, 1838∼1902) ... 509
10. 페스탈로치 ... 510
11. 헤르바르트(Herbart, 1776∼1841) ... 513
12. 프뢰벨(Frobel, 1782∼1852) ... 516
Ⅹ. 현대의 교육
1. 현대의 새교육운동 ... 518
2. 현대 각국의 교육 ... 520
3. 엘렌케이(Ellen Key, 1849∼1926) ... 521
4. 몬테소리(Montessori, 1870∼1952) ... 522
5. 드클롤리(O. Decroly) ... 523
6. 니일(A.S Neill, 1883∼1973) ... 523
7. 나트로프(Paul Natorp, 1854∼1924) ... 523
8. 듀이(Dewey, 1859∼1922) ... 524
9. 킬페트릭(Kilpatric, 1871∼1952) ... 525
10. 케르센슈타이너 ... 526
11. 슈프랑거(Spranger) ... 527
6장 교육사회학
Ⅰ. 교육사회학의 기초
1. 교육사회학의 개념 ... 532
2. 교실사회학 ... 533
Ⅱ. 교육사회학의 이론적 접근
1. 기능론적 교육사회학 ... 535
2. 갈등론적 입장 ... 537
Ⅲ. 신교육사회학과 교육과정 사회학
1. 신교육사회학 ... 540
2. 번스타인(B.Bernstein)의 가설 ... 541
3. 교육과정 사회학의 지식관 ... 543
4. 이글스톤(Eggleston)의 교육과정 사회학 ... 545
5. 교육과정 사회학의 내용 ... 546
6. 교육과정 사회학의 유형 ... 547
Ⅳ. 저항이론과 자본주의 국가론
1. 저항이론과 교육 ... 553
2. 자본주의 국가론 ... 556
Ⅴ. 기타 연구방법
1. 해석학적 패러다임 ... 557
2. 상징적 상호작용이론 ... 558
3. 민속방법론(ethnomethodology) ... 560
4. 현상학 ... 561
5. 페미니즘 ... 562
6. 교환이론 ... 563
7. 교육사회학의 주요 이론 정리 ... 563
Ⅵ. 학교교육의 팽창과 학력상승
1. 학교의 발전단계 ... 565
2. 학교의 위기 ... 566
3. 교육의 탈학교운동 ... 567
4. 학교교육의 팽창을 설명하는 요인 ... 568
Ⅶ. 학력상승이론
1. 학습욕구이론 ... 570
2. 기술기능이론 ... 571
3. 신마르크스이론 ... 572
4. 지위경쟁이론 ... 573
5. 국민통합론 ... 575
6. 문화종속론(문화제국주의론) ... 576
7. 각 학력상승이론이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 577
8. 기타학력상승에 대한 이론 ... 578
Ⅷ. 교육과 사회평등
1. 사회적 평등과 불평등 ... 581
2. 인간의 평등(교육의 기회균등) 모형 ... 582
3. 교육의 사회적 불평등에 대처하는 역할에 대한 관점 ... 582
4. 사회계층의 이론적 기초 ... 584
5. 사회계층의 특징과 교육 ... 585
6. 사회계층이동과 교육 ... 586
7. 사회계층 차에 따른 교육기회의 불균등 ... 587
8. 단선제와 복선제 ... 588
9. 교육과 평등관 ... 589
Ⅸ. 교육기회와 평등
1. 콜만과 훗센의 교육평등관 ... 594
2. 김신일의 교육평등관 ... 594
3. 교육기회의 불평등에 대한 여러 입장 ... 597
4. 교육격차(학업성취격차)에 대한 연구 ... 598
5.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을 둘러싼 자본 유형 ... 601
6. 교육의 기회균등원리와 수월성과의 관계 ... 602
7. 교육기회 분배의 측정 ... 603
8. 교육기회 분배의 결정요인 ... 605
9. 교육선발과정 ... 606
10. 학교평준화 ... 606
Ⅹ. 문화와 교육
1. 문화 ... 608
2. 문화변화와 교육 ... 609
3. 문화기대(文化期待) ... 610
4. 문화차단(cultural deprivation) ... 612
5. 문화실조 ... 612
6. 문화지체(cultural lag) ... 613
XI. 사회화와 교육
1. 사회화의 개념 ... 615
2. 사회화의 기관 ... 617
3. 사회화의 방법 ... 618
4. 중요한 타자와 일반화된 타자 ... 619
5. 발달단계에 따른 사회화 ... 620
6. 사회화에 대한 기능주의 사회학자들의 입장 ... 620
7. 지위와 역할 ... 622
XII. 사회집단과 교육
1. 사회집단 ... 624
2. 가족집단 ... 626
3. 동료(交友)집단과 교육 ... 628
4. 학교사회와 교육 ... 630
5. 사회변화와 교육 ... 631
6. 사회통제 ... 634
XIII. 청소년의 비행과 예방ㆍ치료
1. 비행의 개념 ... 636
2. 비행 발생원인에 관한 생물학적ㆍ심리학적 이론 ... 636
3. 비행 발생원인의 사회학적 이론 ... 637
XIV. 지역사회와 교육
1. 지역사회의 개념 ... 641
2. 지역사회의 특징(Cook) ... 641
3. 올젠(Olsen)의 학교 분류 ... 642
4. 지역사회학교의 성격 ... 642
5. 지역사회학교의 실제 활동 ... 643
XV. 발전교육론과 비판이론
1. 발전교육론 ... 646
2. 발전이론 ... 646
3. 발전교육의 실제 ... 647
4. 인간자본론 및 비판이론 ... 649
7장 교육심리학
Ⅰ. 교육심리학의 기초
1. 교육심리학의 학문적 기초 ... 656
2. 심리학의 발달 ... 657
Ⅱ. 행동주의 학습이론
1. 왓슨(Watson)의 행동주의 ... 664
2. 파블로프(Pavlov)의 고전적 조건화 ... 665
3. 쏜다이크(Thorndike)의 시행착오설 ... 667
4. 스키너(Skinner)의 조작적(작동적) 조건형성 ... 669
5. 강화와 벌 ... 671
6. 강화 스케줄 ... 672
7. 구드리(Guthrie)의 접근적 조건화설 ... 674
8. 헐(Hull)의 체계적 조건화론(S-O-R) ... 675
Ⅲ. 인지학습이론
1. 인지주의적 접근 ... 678
2. 형태주의(게슈탈트) 심리학 ... 679
3. 쾰러의 통찰설 ... 681
4. 레빈의 장이론(field theory) ... 682
5. 톨만의 기호형태설(목표지향적 행동주의) ... 685
6. 관찰학습 ... 688
Ⅳ. 인지발달이론
1. 발드윈(Baldwin)의 발생적 인식론 ... 693
2.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 ... 694
3. 파스칼-리온의 인지발달이론 ... 697
4. 정보처리 학습이론 ... 698
5. 신피아제주의 ... 707
6. 인지양식(cognitive style) ... 710
7. 초인지(meta-cognition) 발달 ... 712
8. 자기조절학습 ... 714
Ⅴ. 뇌 이론
1. 인간 뇌의 3중 구조 ... 716
2. 뉴런과 시냅스 ... 717
3. 뇌와 기억 ... 717
4. 뇌 분할 이론 ... 718
Ⅵ. 인간의 발달과 장애
1. 성장ㆍ성숙ㆍ발달의 개념 ... 720
2. 발달의 원리 ... 720
3. 발달에 관한 학설 ... 721
4. 결정적 시기ㆍ발달단계 ... 722
5. 발달과업 ... 722
6. 발달기제(정범모) ... 724
7. 인간의 단계별 정신위생 ... 724
8. 신체 발달 ... 727
9. 지력의 발달 ... 729
10. 지각발달이론(첨가이론/분화이론) ... 731
11. 기억발달 ... 732
12. 기억 책략(memory strategy)의 발달 ... 733
13. 메타기억(metamemory) 발달 ... 735
14. 학습장애 ... 736
Ⅶ. 지능의 발달
1. 지능의 개관 ... 740
2. 지능검사 ... 741
3. 가드너의 지능의 역사적 발달 단계 구분(지능의 7단계) ... 747
4. 지능의 심리측정론적 접근 ... 749
5. 지능에 대한 정보처리론적 접근 ... 754
6. 가드너(Gardner)의 지능이론 ... 754
7. 스텐버그(Sternberg)의 삼위일체이론 ... 760
8. 맹자의 지능관 ... 762
Ⅷ. 창의력의 발달
1. 창의력의 개념ㆍ요인 ... 764
2. 창의력과 지능의 관계 ... 765
3. 창의력 개발 ... 766
4. 창의력 계발기법 ... 766
Ⅸ. 정의적 특성의 발달
1. 정의적 특성의 성질과 종류 ... 777
2. 동기와 학습 ... 778
3.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이론 ... 780
4. 허록(E. B. Hurlock)의 동기유발실험 ... 781
5. 동기유발에 대한 부조화설과 불평형성 ... 782
6. 귀인(歸因) 이론 ... 783
7. 데세코(DeCecco)의 동기유발 개념모형 ... 790
8. 레빈(Lewin)의 동기이론 ... 791
9. 켈러(Keller)의 ARCS이론 ... 792
10. 성공추구동기(Ms)와 실패회피동기(Maf) ... 795
11. 기대-가치이론 ... 796
12. 자기지각이론 ... 799
13. 목표지향성 이론 ... 802
14. 성취동기 ... 803
15. 정서지능(Emotional Intelligence) ... 804
16. DQ(다이아몬드 칼라 전인 지수) ... 806
17. 불안 ... 807
18. 기대수준 ... 810
19. 자아개념 ... 810
20. 노력 산정(effort caculation ; Meyer) ... 814
21. 정서의 발달 ... 814
22. 사회성의 발달 ... 816
23. 가치관과 학습 ... 817
24. 도덕성 ... 818
25. 우울증에 대한 인지적 접근 ... 818
Ⅹ. 도덕성 발달이론
1. 피아제(J. Piaget)의 도덕성 발달 ... 820
2. 콜버그(L. Kohlberg)의 도덕성 발달단계 ... 822
3. 데이먼의 도덕성 발달 ... 825
4. 길리건(Gilligan)의 여성 도덕성 발달 이론 ... 828
5. 도덕성 발달에 대한 사회학습이론 ... 829
XI. 언어발달이론
1. 언어발달이론에 대한 행동주의적 관점 ... 832
2. 언어발달이론에 대한 생물학적 관점 ... 833
3. 언어발달이론에 대한 인지발달적 관점 ... 834
4. 언어발달의 과정 ... 835
XII. 인성(성격)이론
1. 인성(성격)의 개념 및 특성 ... 837
2. 건전한 인성(성격)에 관한 학자들의 견해 ... 838
3. 성격의 유형 ... 839
4. 프로이드(Freud)의 성격발달이론 ... 841
5. 인성발달에 대한 융(Jung)의 이론 ... 842
6. 인성발달에 대한 Adler의 이론 ... 845
7. 에릭슨(Erikson)의 사회심리적 발달이론 ... 847
8. 인성 발달에 대한 자기 심리학적이론 ... 850
9. 인성 발달에 대한 급진적 행동주의 이론 ... 851
10. 인성 발달에 대한 사회학습 이론 ... 851
11. 인성 발달에 대한 현상학적 이론(Rogers의 이론) ... 852
12. 애착이론 ... 853
13. 정체성 이론 ... 855
XIII. 학습의 조건과 과정
1. 기억과 망각 ... 858
2. 전이(轉移) ... 864
3. 연습(practice) ... 868
4. 학습의 방법 ... 869
5. 학습과 피로 ... 871
6. 준비도 ... 871
7. 적응기제 ... 872
8. 갈등(conflict) ... 875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