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ⅲ
제1부 한국종교 연구사 및 연구방법
제1장 연구의 성격과 방향 ... 1
1-1. 연구의 계획과 연구작업의 범위 ... 1
1-2. 연구의 성격과 가설 ... 3
1-3. 공동연구 체계 ... 5
1-4. 기존 연구사의 분석 ... 9
1-5. 종교관을 이해하기 위한 역동적 시각 ... 17
제2장 연구태도별 연구사 분석 ... 19
2-1. 연구태도에 대한 분석의 의미 ... 19
2-2. 연구태도별 개관 ... 20
2-3. 연구태도별 타분야와의 상관관계 ... 23
2-4. 문제점과 개선안 ... 39
제2부 한국인의 종교적 관념의 유형별 연구
제1장 실재관 연구 ... 43
1-1. 실재관의 분류체계 ... 43
1-2. 실재관에 대한 전체적 분석 ... 45
1-3. 실재관의 영역별 분석 ... 46
제2장 질서관 연구 ... 56
2-1. 질서관의 분류체계 ... 56
2-2. 질서관의 전체적 특징 ... 59
2-3. 질서관의 영역별 분석 ... 63
제3장 인간관 연구 ... 75
3-1. 인간관의 분류체계 ... 75
3-2. 인간관의 영역별 분석 ... 77
제4장 실천과 체험관 연구 ... 88
4-1. 실천과 체험관의 분류체계 ... 88
4-2. 실천과 체험관의 영역별 분석 ... 90
4-3. 실천과 체험관의 종합적 고찰 ... 98
제5장 화복관 연구 ... 100
5-1. 화복관의 분류체계 ... 100
5-2. 화복관의 영역별 분석 ... 102
5-3. 화복관의 전체적 분석 ... 108
제6장 제2차 연도 연구 종합 ... 109
6-1. 제2차 연도 전통별 연구 결과 ... 109
6-2. 유형별 연구 결론과 제3차 연도 연구 전망 ... 117
제7장 종교적 관념의 항목 분류 ... 121
7-1. 종교적 관념의 전통별 분류 ... 121
7-2. 종교적 관념의 유형별 분류 ... 129
제3부 <B><FONT color ... #0000
제1장 통합연구의 시각 ... 135
제2장 문화 수용태도 ... 141
제3장 包容과 寬容의 力動性 ... 162
제4장 한국인의 관용적 태도와 종교적 세계관 ... 166
제5장 한국 종교관의 구조 ... 175
제6장 經驗的 現世主義의 歷史的 展開 ... 181
제7장 調和의 理想과 멋의 行動樣式 ... 193
제4부 한국 지성 전통의 역사적 연구
제1장 통합연구의 시각 ... 201
1-1. 연구의 범위와 대상 ... 201
1-2. 연구의 연속성 ... 202
제2장 전통사상의 규범과 자율성 ... 205
제3장 전통사상의 전개 ... 210
3-1. 유교사상전통 ... 211
3-2. 불교사상전통 ... 217
3-3. 儒佛사상의 거시적 이해 ... 224
제4장 한국의 지성전통과 포용성 ... 230
제5부 <B><FONT color ... #0000
제1장 종교전통별 타종교관 ... 238
1-1. 유교 ... 238
1-2. 불교 ... 241
1-3. 기독교 ... 242
1-4. 민속종교 ... 245
1-5. 종합 ... 247
제2장 사회문학적 가치관 ... 249
2-1. 유교 ... 249
2-2. 불교 ... 251
2-3. 기독교 ... 252
2-4. 민속종교 ... 253
2-5. 종합 ... 254
제3장 생활규범관 ... 255
3-1. 유교 ... 256
3-2. 불교 ... 257
3-3. 기독교 ... 258
3-4. 민속종교 ... 259
3-5. 통합 ... 259
제4장 經驗的 現世主義에 담긴 調和의 理想 ... 261
참고문헌 ... 267
찾아보기 ... 279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