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해제 ... 1
일러두기 ... 7
노계선생문집서(蘆溪先生文集序) ... 1
노계선생문집 제1권 ... 5
부(賦) ... 7
문족부(문足賦) ... 7
시(詩) ... 13
오언절구(五言絶句) ... 13
덕연정에 쓰다. 정공 사물계의 정자이다 ... 13
보이는 대로 읊다 ... 13
병중에 회포를 읊다 ... 14
또 한 수 ... 14
정공 연길에게 주다 ... 15
최상사 기남에게 주다 ... 15
노주에 유거하다 ... 16
또 한 수 ... 16
최상사의 산정에 읊다 ... 17
오언율시(五言律詩) ... 18
연옥정 ... 18
조양각 ... 18
천자 십오운으로 요산정 주인에게 지어주다 ... 19
칠언절구(七言絶句) ... 22
뻐꾸기 울음. 13세에 지었다 ... 22
노계에 터를 잡아 살다 ... 22
수양송을 읊다 ... 23
만흥 ... 23
사우정 ... 24
강촌에서 보이는 대로 읊다 ... 26
꿈에 선친을 뵙고 깬 뒤에 울며 쓰다 ... 27
월성 옛 못에서 이제독 삼성의 시운에 차운하다 ... 27
관서에 부임하는 전절도사삼달을 보내며 두 수를 짓다 ... 28
장난삼아 부산 정공 연길에게 두 수를 지어주다 ... 29
정봉사 흥업에게 주다 ... 29
회포를 읊다 ... 30
명덕동의 뜻을 술회하여 정장 연길에게 세 수를 주다 ... 31
황태수가 부른 시 운 두 수 ... 31
회포를 읊다. 두 수 ... 32
느낌이 있어서 ... 33
또 한 수 ... 33
정공 연길에게 주다 ... 34
탁옥교에 쓰다 ... 34
보이는 대로 읊다 ... 34
사위를 맞이하는 날에 기러기를 읊다 ... 35
오산서원에서 장여헌의 운에 공경히 차운하다 ... 35
벗의 운에 차운하다 ... 36
속세에 물들지 않은 꾀꼬리 ... 36
만흥 ... 36
달을 구경하다 ... 37
사철을 노래하다. 여덟 수 ... 37
봄날에 회포를 읊다 ... 40
첨지 이 명원의 금강대 운에 차운하다 ... 40
새 봄 ... 41
장난삼아 동호 주인에게 지어주다 ... 41
세곡정 주인에게 드리다. 세 수 ... 42
죽원시의 운에 차운하다. 두 수 ... 43
밭갈이 노래 열 수 ... 43
세곡정 주인에게 주다 ... 47
연꽃 ... 47
백일홍 ... 48
중추에 배를 띄우다 ... 48
정공 연길의 유거 ... 48
구인산 ... 49
칠언율시(七言律詩) ... 50
정봉사에게 주다 ... 50
오산서원에서 장여헌에게 드리다 ... 50
또 한 수 ... 51
연옥정에 쓰다 ... 52
명원루에 쓰다 ... 52
세곡정 주인에게 드리다 ... 53
칠언고시(七言古詩) ... 54
꾀꼬리와 꽃은 가난한 사람을 버리지 않는다 ... 54
안분을 노래하다 ... 55
전(傳) ... 63
무하옹전(無何翁傳) ... 63
기(記) ... 67
몽견주공기(夢見周公記) ... 67
노계선생문집 제2권 ... 71
부록(附錄) ... 73
무하옹전구인산기발(無何翁傳九인山記跋) ... 73
산자운(山字韻) 절구 다섯 수를 노계 박공에게 바친다 ... 84
또 인자운(隣字韻) 절구(絶句) 두 수를 드린다 ... 86
또 칠언율시(七言律詩)를 드린다. 세 수 ... 87
향리(鄕里)의 유생(儒生)이 포상(褒賞)을 청하며 올린 글 ... 89
군수가 영(營)에 보고한 장계(狀啓) ... 91
순상(巡相)이 포상(褒賞)을 청한 장계(狀啓) ... 91
만사(輓辭) ... 93
행장(行狀) ... 95
군지(郡誌) 인물(人物) ... 105
도계사우(道溪祠宇) 상량문(上樑文) ... 105
봉안문(奉安文) ... 110
양정축문(兩丁祝文) ... 112
묘갈명(墓碣銘) 병서(幷序) ... 112
수갈위안문(竪碣慰安文) ... 116
속부(續附) ... 119
영죽시(詠竹詩)에 차운하다 ... 119
영죽시(詠竹詩)에 답하다 ... 119
산자운(山字韻)에 차운하다 ... 120
인자운(人字韻)에 차운하다 ... 124
신묘(辛卯)년 맹춘에 최 자성(崔子成)과 함께 노계공(蘆溪公)의 유고를 교정(校正)하였다. 이 때 본손(本孫)이 공의 묘에 갈(碣)을 세웠으니 매우 성대한 거사였다. 드디어 소율(小律) 네 수를 읊어 본손(本孫)을 치하하고 아울러 우러러 사모하는 마음을 다한다 ... 129
입암서원(立巖書院) 통문(通文) ... 132
발문(跋文) ... 135
노계선생문집 제3권 ... 143
가(歌) ... 145
태평사(太平詞) ... 145
사제곡(莎堤曲) ... 150
누항사(陋巷詞) ... 154
조홍시가(早紅枾歌) ... 158
선상탄(船上歎) ... 160
독락당(獨樂堂) ... 164
영남가(嶺南歌) ... 171
노계가(蘆溪歌) ... 175
오륜가(五倫歌) ... 181
신유추여정한강욕우울산초정(辛酉秋與鄭寒岡浴于蔚山椒井) ... 186
입암(立巖) ... 186
정사(精舍) ... 189
기여암(起予巖) ... 189
계구대(戒懼臺) ... 189
토월봉(吐月峰) ... 190
구인봉(九인峰) ... 190
소로잠(小魯岑) ... 190
피세대(避世臺) ... 191
합류대(合流臺) ... 191
심진동(尋眞洞) ... 191
채약동(採藥洞) ... 192
욕학담(浴鶴潭) ... 192
수어연(數魚淵) ... 192
향옥교(響玉橋) ... 193
조월탄(釣月灘) ... 193
경운야(耕雲野) ... 193
정운령(停雲嶺) ... 194
산지령(産芝嶺) ... 194
격진령(隔塵嶺) ... 194
화리대(畵裏臺) ... 195
사친(思親) ... 195
모현(慕賢) ... 195
노주유거(蘆洲幽居) ... 196
자경(自警) ... 196
속간(續刊) ... 197
【부록】 ... 199
입암별곡(立巖別曲) ... 199
소유정가(小有亭歌) ... 202
후서 ... 208
【원문】 ... 213
노계집 고사본(蘆溪集 古寫本) ... 293
소유정가(小有亭歌) ... 303
입암별곡(立巖別曲) ... 308
노계선생문집((蘆溪先生文集) ... 502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