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ⅲ
제1부 麗末鮮初의 儒學思想
제1장 牧隱 李穡의 儒學思想 ... 3
1. 牧隱의 儒學思想 ... 3
2. 經學과 禮學의 發芽 ... 6
3. 性理學과 修養論의 정립 ... 25
4. 闢佛論의 전개 ... 37
5. 牧隱의 사상적 특성 ... 39
제2장 圃隱 鄭夢周와 士林派 形成期의 性理學 ... 43
1. 시대적 성격 ... 43
2. 圃隱의 學脈과 士林派의 계승의식 ... 44
3. 節義論과 불교비판론 ... 46
4. 圃隱과 사림파의 성리학적 인식 ... 51
5. 親明정책과 慕華義理論의 계승 ... 57
6. 圃隱사상의 意義 ... 59
제3장 朝鮮 前期 性理學的 價値觀의 傳統 ... 61
1. 조선 전기 性理學의 사상사적 성격 ... 61
2. 革命論과 綱常論의 양면성-공동체와 인간관계의 규범 ... 64
3. 社稷論과 事大論의 상호성-국가관 ... 72
4. 鄭道傳과 闢佛論의 가치관 ... 79
5. 權近과 성리학적 이해의 심화 ... 89
6. 士林派의 형성과 趙光祖의 의리정신 ... 98
7. 조선 전기 성리학의 사회적 역할과 역사적 한계 ... 106
제4장 三峯 鄭道傳의 佛敎批判論과 社會思想 ... 109
1. 인물과 업적 ... 109
2. 主理論的 性理學과 불교비판의 철학적 분석 ... 113
3. 불교비판의 윤리적 검토 ... 127
4. 불교비판의 신앙적 문제와 역사적 사실의 비판 ... 133
5. 유교적 사회제도와 經世論 ... 144
6. 三峯의 사상사적 意義 ... 148
제5장 陽村 權近의 經學思想 ... 151
1. 陽忖 經學의 문제 ... 151
2. 陽忖 經學의 배경과 형성과정 ... 153
3. 陽忖 經學의 體用論的 구조 ... 159
4. 陽忖 經學의 天人相應的 해석체계 ... 166
5. 『禮記淺見錄』의 체계와 陽忖사상의 전개 ... 177
6. 陽忖 經學의 사상적 특성 ... 191
제6장 世宗時代의 哲學思想 ... 193
1. 문제의 성격 ... 193
2. 시대상황과 사상사의 일반적 성격 ... 195
3. 세종시대의 유교철학 ... 203
4. 세종시대의 불교철학 ... 223
5. 세종시대 철학사상의 사상사적 意義 ... 235
제7장 靜庵 趙光祖의 道學精神과 至治의 理念 ... 237
1. 靜庵의 道學精神 ... 237
2. 誠心-主體의 省察과 修行 ... 240
3. 王道-統治의 原理와 人道精神 ... 244
4. 至治-그 理念과 具現 ... 249
5. 靜庵 道學精神의 再反省 ... 254
제2부 朝鮮 前期 道學의 展開
제8장 朝鮮時代 道學의 源流-退溪·南冥·栗谷의 삶과 學風 ... 259
1. 16세기 性理學의 滿開 ... 259
2. 退溪 李滉의 학문과 수양론 ... 261
3. 南冥 曺植과 義理 ... 265
4. 栗谷 李珥와 經世 ... 268
5. 尊慕와 계승의 전통 ... 273
제9장 退溪 李滉의 學風과 思想 ... 275
1. 퇴계의 사상사적 위치 ... 275
2. 생애와 학풍 ... 279
3. 爲學論과 性理說 ... 286
4. 『聖學十圖』와 修養論 ... 293
5. 퇴계학의 영향 ... 299
제10장 南冥 曺植의 『學記圖』와 道學體系 ... 301
1. 『學記圖』의 의미 ... 301
2. 『學記圖』의 성립과 南冥 性理學의 체계 ... 304
3. 『學記圖』의 구성과 체계 ... 315
4. 『學記圖』의 성리학적 개념과 쟁점 ... 328
5. 『學記圖』의 修養論的 개념 ... 336
6. 『學記圖』와 『聖學十圖』의 비교 ... 344
제11장 河西 金麟厚의 修養論 ... 347
1. 문제의 성격 ... 347
2. 道學의 융성과 시대배경 ... 348
3. 河西의 出處와 학풍 ... 353
4. 河西의 爲學論과 修養論 ... 362
5. 修養論과 經世論의 상관성 ... 376
6. 河西 經世論의 意義 ... 388
제12장 龜峯 宋翼弼의 性理說과 禮學 ... 391
1. 생애와 인물 ... 391
2. 학맥과 학풍 ... 396
3. 太極論과 性理學 ... 401
4. 禮學의 체계와 쟁점 ... 408
5. 龜峯思想의 재인식 ... 409
제13장 栗谷 李珥의 經世論과 實學 ... 411
1. 문제의 성격 ... 411
2. 栗谷의 更張論과 實學의 제도개혁론 ... 413
3. 栗谷의 民生論과 실학의 利用厚生論 ... 417
4. 栗谷 經世論의 성리학적 배경 ... 421
5. 율곡사상과 실학의 거리 ... 425
제14장 寒岡 鄭逑의 禮學思想 ... 427
1. 문제의 성격 ... 427
2. 寒岡 禮學의 배경 ... 428
3. 寒岡 禮學의 기본구조와 체계 ... 433
4. 寒岡 禮學의 중요과제와 쟁점 ... 435
5. 寒岡 禮學의 특성과 의의 ... 439
主要 參考文獻 ... 443
索引 ... 447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