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자 서문 ... 3 머리말 ... 9 서론 ... 19 제1장 프래그머티즘과 교육 ... 47 제2장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구조주의 ... 77 포스트모더니즘의 의미 ... 77 후기구조주의의 의미 ... 84 후기구조주의의 교육과 정치학 ... 94 제3장 민주 시민성 ... 107 도입 ... 107 경계 짓기 ... 108 시민성과 교육 ... 125 제4장 다문화교육 ... 135 기원과 이슈 ... 136 다문화교육의 자유주의적 비전 ... 144 공유된 관심: 보편적인 도덕적 행동의 가능성 ... 150 문화적 통일성과 복잡성 ... 152 심원한 휴머니즘을 향하여 ... 160 제5장 철학활동과 교육실천 ... 163 도입 ... 163 이론화에 대한 요구 ... 165 실천 우위에 대한 플라톤의 반론 ... 167 학습에 대한 교훈 ... 168 삶의 한 방식으로서의 철학과 전문화를 위한 과정으로서의 철학 ... 172 인식론에서 다시 실천으로 ... 174 해석의 문제 ... 177 이론에 대한 재해석 ... 179 실천철학의 사용 ... 182 제6장 비판적 사고 ... 189 비판적 사고의 본질 ... 189 비판적 사고: 기술/능력과 태도 ... 191 비판적 사고와 일반화 가능성의 문제 ... 194 비판적 사고와 창조적 사고 간의 관계 ... 198 비판적 사고와 사고에 관한 다른 용어들 ... 200 비판적 사고와 교육 ... 202 비판적 사고에 대한 비판 ... 204 결론 ... 208 제7장 실천이성 ... 211 제8장 직업교육훈련 ... 243 도입 ... 243 직업 대 학문 ... 245 직업교육/일반교육 이분법에 대한 비판 ... 249 프런트-엔드 모델과 그 비판 ... 252 직업교육훈련: 발전과 전략 ... 257 결론: 직업교육훈련 연구의 발전 방향 ... 261 제9장 진보주의 ... 273 도입 ... 273 역사적 관점 ... 275 진보주의의 다섯 가지 주제 ... 285 오늘날의 진보주의 ... 305 제10장 도덕관 및 도덕교육관의 변화 ... 311 도덕철학 ... 312 도덕교육 ... 327 제11장 종교 및 영성 교육 ... 341 종교 ... 343 영성 ... 345 교육 ... 349 참고문헌 ... 369 찾아보기 ... 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