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 : '원점(原點)'에 돌아와 또 다른 의미의 '출발(出發)'을 하면서 ... 3
서론 : 현대시의 리리시즘과 모더니즘
1. 네오-서정시의 미학과 상호텍스트성 ... 17
1) 뮤즈의 여신(女神)과 시천(詩泉)으로서의 '아가니페'
2) 네오-서정시의 미학과 상호텍스트성
(1) '엿듣게 되는 발화'와 '말없이 말하기'
(2) '영혼의 밀실'과 서정시의 진정성
(3) '네오-서정시'의 역할과 상호텍스트성
(4) '네오-서정시'의 미학
2. 모더니즘 시의 서정성 ... 37
1) 신고전주의와 모더니즘
2) 한국 모더니즘 시의 서정성
제1장 김소월의 시세계
1. 김소월의 시와 '시혼(詩魂)' ... 47
2. 망각과 기억 ... 50
3. 떠남과 만남 ... 57
4. 노동과 가난 ... 63
5. 죽음과 삶 ... 68
6. 외국시의 영향과 수용 ... 74
7. 방법적 갈등과 미결정의 변증법 ... 84
제2장 김동환의 시세계
1. 서정성과 서사성 ... 87
2. 새로운 생명의 세계 ... 88
3. 서정시에 나타난 인간애 ... 94
4. 서사시에 나타난 조국애 ... 102
제3장 한용운의 시세계
1. 해체주의 비평의 이론과 방법 ... 119
2. 한용운의 시 「님의 침묵」 다르게 읽어내기 ... 125
1) '사랑'의 유일성과 보편성
2) '시적 진술'의 이항대립
3. '난경'의 세계 ... 140
제4장 김영랑의 시세계
1. '내ㆍ마음'과 시심(詩心)의 발원(發源) ... 146
2. 물과 달빛 ... 152
3. 오월과 시적 비유 ... 157
4. 촉기(燭氣)와 민족정신 ... 171
제5장 서정주의 시세계
1. 유년기의 모계지향적인 체험과 광대무변의 공간 ... 200
2. 이승의 집착 버리기와 저승의 두려움 버리기 ... 207
3. 한국적인 것의 시간성과 세계적인 것의 공간성 ... 214
4. 인간다운 삶의 방법으로서의 시간과 공간 ... 221
제6장 윤동주의 시세계
1. 닫힌 세계로서의 '다락방' ... 226
2. 반영체로서의 '거울'과 '우물' ... 231
3. 열려진 세계로서의 '창'과 '하늘' ... 236
4. 총체적 역할로서의 「간」 ... 240
5. 「투르게네프의 언덕」에 반영된 비교문학적 요소 ... 248
제7장 김춘수의 시세계
1. '관념시'의 세계 ... 256
2. '무의미시'의 세계 ... 263
3. '떠도는 시니피앙'의 세계 ... 271
4. 현대시에 드리워진 김춘수의 '그림자' ... 280
제8장 김종삼의 시세계
1. 김종삼의 시의 네 가지 요소 ... 283
2. '사이'의 미학 ... 287
3. '동안'의 미학 ... 291
4. '흔적'의 미학 ... 294
5. 반시대정신의 네오-헬리콘 시학 ... 297
제9장 김남조의 시세계
1. 생명의 세계 ... 304
2. 사랑의 세계 ... 309
3. 신앙의 세계 ... 319
4. 「겨울 바다」의 세계 ... 326
5. 사랑의 '생금(生金)'의 세계 ... 328
제10장 이형기의 시세계
1. 단호한 엄숙주의 ... 337
2. 냉정한 정결주의 ... 342
3. 완벽한 소멸주의 ... 347
4. 불굴의 지조주의 ... 350
5. 선비정신의 세계 ... 353
제11장 박용래의 시세계
1. 구조, 본질적 구조, 구조분석 ... 355
2. '눈(雪)'의 시ㆍ공적(時ㆍ共的) 대립구조 ... 358
3. '물'의 변증적 추적구조 ... 366
4. '풀'의 극복적 지양구조 ... 373
5. '고향'의 회상적 연상구조 ... 380
6. 의미의 이항대립 구조 ... 387
제12장 신경림의 시세계
1. 민중의식과 서사시학 ... 391
2. 자학적 농촌현실 ... 395
3. 개인적 서정성과 집단적 서사성 ... 398
4. 진혼(鎭魂)과 원혼(?魂)의 순환성 ... 406
5. 민중성과 서사성 ... 409
제13장 이승훈의 시세계
1. 이승훈, 아방모더니스트 ... 411
2. 언어와의 싸움 ... 412
3. 사물의 진실과 언어의 욕망 ... 416
4. 언어의 해체 ... 423
5. 시의 아포리아 ... 427
6. 아방모더니스트, 이승훈 ... 432
7. 언어의 사유중심주의 ... 434
8. 해체시학의 세계 ... 437
제14장 김광협의 시세계
1. 서정시학과 풍자시학 ... 449
2. 고향의 꽃과 유년기의 기억 ... 452
3. 흙의 미학과 농민의 '도(道)' ... 458
4. 역사인식과 현실인식 ... 462
5. 김광협의 시의 특징 ... 469
제15장 이건청의 시세계
1. 암울한 시기의 사도시(司徒詩)의 세계 ... 474
2. 풀꽃 하나로서의 자아시(自我詩)의 세계 ... 478
3. 삶의 본질을 위한 구체시(具體詩)의 세계 ... 483
4. 현실에 대한 비판시(批判詩)의 세계 ... 491
제16장 오세영의 시세계
1. 하늘의 세계 ... 500
2. 대지의 세계 ... 502
3. 꽃의 세계 ... 505
4. 바다ㆍ강물의 세계 ... 508
5. 사랑의 세계 ... 510
6. 질병의 세계 ... 512
7. 성찰의 세계 ... 515
8. 목숨의 세계 ... 518
9. '인간'을 가르치는 삼라만상의 '말' ... 521
10. 「맨발」에 반영된 해탈의 시학 ... 522
제17장 문정희의 시세계
1. '정의'의 축과 '사랑'의 축 ... 527
2. 아름다운 사랑의 슬픔 ... 533
3. 반세속화를 위한 타자(他者)와의 대결 ... 536
4. 불확실한 언어에 의한 시쓰기 ... 541
5. 「돌아가는 길」에 반영된 자연회귀의 정신세계 ... 546
제18장 김남주의 시세계
1. 역사적 상상력 ... 556
2. 우주적 상상력 ... 560
3. 대지적 상상력 ... 565
4. 사랑의 상상력 ... 572
5. 서정의 진실성과 특성 ... 580
제19장 이승하의 시세계
1. 비정한 억압과 반향 없는 절규 ... 584
2. 정지된 성장과 착란의 투옥 ... 589
3. 유년의 기억과 목숨 그리고 자유 ... 594
4. 분연(奮然)한 항거와 자유에의 의지 ... 599
5. 개인사의 아픔과 세계사에 대한 분노 ... 605
찾아보기 ... 607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