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하고 싶은 말 ... 5
1장 신화를 통해서 본 한국인의 원형공간개념 ... 13
1. 문제의 제기 ... 15
2. 자료의 선택과 분석절차 ... 18
3. 신화의 전개와 공간의 범주 ... 19
4. 신화에 투영된 원형공간개념의 분석 ... 43
5. 마무리 ... 56
2장 풍수지리를 통해서 본 마을의 공간개념 ... 59
1. 문제의 제기 ... 61
2. 연구방법 ... 63
3. 풍수지리설의 본질과 문화적 의미 ... 64
4. 마을풍수의 전승유형과 사례 ... 68
5. 풍수지리를 통해 본 마을의 공간개념 분석 ... 107
6. 마무리 ... 117
3장 한국 전통마을의 공간구성체제 ... 119
1. 연구목적과 의의 ... 121
2. 연구방법 ... 123
3. 마을 공간의 생성배경 ... 124
4. 전통마을의 공간구성체계와 그 의미 ... 155
5. 마무리 ... 162
4장 주거민속을 통해 본 주거공간의 영역화 ... 165
1. 연구목적과 몇 가지 개념 ... 167
2. 풍수지리와 집의 영역화 ... 171
3. 건축의례와 집의 영역화 ... 173
4. 가신신앙과 집의 영역화 ... 176
5. 의장과 집의 영역화 ... 181
6. 마무리 ... 184
5장 주거 공간의 민속지 ... 187
1. 연구목적 ... 189
2. 연구방법 ... 191
3. 조사지역의 일반적 특성 ... 194
4. 조사지역 주거공간의 민속지 ... 198
5. 주거공간의 의미분석 ... 224
6. 마무리 ... 233
6장 한국 전통주택의 사회적 공간체계 ... 235
1. 연구의 의의와 목적 ... 237
2.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의 검토 ... 241
3. 연구방법 ... 246
4. 표본주택과 주거공간의 이용관행 ... 249
5. 주택의 사회적 공간체계와 구성원리 ... 279
6. 마무리 ... 303
참고문헌 ... 307
찾아보기 ... 311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