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17
1. 재일조선인 문학의 개념 ... 17
2. 재일조선인 문학의 형성 ... 20
3. 재일조선인 문학의 연구동향 ... 27
4. 연구의 목적 ... 34
5. 연구의 범위와 방법 ... 36
Ⅱ. 민족문학으로서의 재일조선인 문학 ... 41
1. 머리말 ... 41
2. 민족주의와 민족문학의 개념 ... 42
3. 재일조선인 문학의 귀속성 ... 50
4. 민족문학으로서의 일본어글쓰기 ... 56
5. 맺음말 ... 69
Ⅲ. 식민지배하의 김사량 문학 ... 73
김사량 문학과 내선일체(內鮮一體) ... 73
1. 머리말 ... 73
2. 김사량 문학과 민족주의적 저항 ... 75
3.「빛 속으로」에 대한 재평가 ... 78
4.「광명」과 내선일체 ... 83
5.「향수」와 대동아공영 ... 88
6. 조선말과 민중을 위한 협력적 제스처 ... 90
7. 맺음말 ... 95
김사량의『太白山脈』과 민족독립의 꿈 ... 98
1. 머리말 ... 98
2.『太白山脈』의 집필과정 ... 100
3. 민족의 혼과 함께 하는 주인공 윤천일 ... 103
4. 조선의 역사와 풍속에 관한 묘사 ... 107
5. 친일잡지『國民文學』과『太白山脈』 ... 113
6. 불가피한 친일협력의 흔적 ... 118
7. 맺음말 ... 120
Ⅳ. 해방 전후사와 김달수 문학 ... 123
김달수 문학의 사상적 배경 ... 123
1. 김사량과 김달수 ... 123
2. 김달수의 작가적 여정과『叛亂軍』 ... 129
3.『叛亂軍』과 민족통일 이념의 형상화 ... 133
4. 맺음말 ... 143
김달수의『太白山脈』과 민족의식 ... 145
1. 머리말 ... 145
2.『太白山脈』과 민족의식 ... 146
3. 해방 직후의 민족적 갈등과『太白山脈』 ... 152
4. 집필되지 못한『太白山脈』속편 ... 176
5. 맺음말 ... 179
Ⅴ. 김석범 문학과〈제주4ㆍ3사건〉 ... 183
김석범 문학과〈제주4ㆍ3사건〉 ... 183
1. 김석범 문학의 개관 ... 183
2. 김석범 문학의 원천으로서의〈제주4ㆍ3사건〉 ... 186
3. 민족문학으로서의 망명문학 ... 190
김석범의 한글『화산도』 ... 195
1. 머리말 ... 195
2. 김석범 문학의 태동 ... 197
3. 한글『화산도』의 특징과 중단 배경 ... 202
4. 한글『화산도』의 위상 ... 208
5. 맺음말 ... 214
김석범의『火山島』 ... 216
1. 머리말 ... 216
2.『火山島』와 정치적 이데올로기 비판 ... 218
3.『火山島』에 대한 비평적 고찰 ... 228
4. 맺음말 ... 230
『火山島』와 이방근(李芳根) ... 232
1. 이방근의 여성관계 ... 232
2. 제주민중의 상징이며 생명의 근원인 '부엌이' ... 233
3. 문난설(文蘭雪)과의 허망한 사랑이 지닌 상징성 ... 238
4. 꿈으로 표출되는 민족혼 ... 241
5. 신영옥(辛英玉)과의 순간적인 사랑의 의미 ... 245
『火山島』와 제주도의 문학적 형상화 ... 248
1. 서장(序章)의 제주 ... 248
2. 제주도민의 형성과 그 특성 ... 251
3. 제주도의 풍습과 문화 ... 253
『火山島』와 기존 작품과의 제 관계 ... 262
소결 ... 269
Ⅵ. 결론 ... 273
《참고문헌》 ... 281
Ⅶ. 부록 ... 311
《김사량 연보》 ... 311
《김달수 연보》 ... 326
《김석범 연보》 ... 360
『火山島』의 주요 등장인물과 줄거리 ... 389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