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시민사회조직의 지역사회 교육개혁 참여, 왜 필요한가? ... 15 제2장 시민사회조직의 교육개혁 참여에 관한 이론적 접근 1. 교육개혁에 대한 시민사회운동 접근 ... 29 1.1. 시민사회운동과 풀뿌리 조직화 ... 30 1.2. 교육개혁을 위한 시민사회운동 ... 33 2. 성공적 교육개혁을 위한 요건으로서 사회적 자본, 시민역량, 관계적 권력 ... 35 2.1. 사회적 자본 ... 35 2.2. 시민역량 ... 43 2.3. 관계적 권력 ... 48 2.4. 교육개혁의 성공요인: 사회적 자본, 시민역량, 관계적 권력 ... 50 3. 학교-지역사회 협력 모형 ... 55 4. 교육개혁을 위한 지역사회 조직화 ... 61 4.1. 조직화의 모델과 이론 ... 61 4.2. 조직화의 학교개혁 효과 ... 65 제3장 시민사회단체와 지역사회 기반 조직 1. 시민사회단체 ... 77 2. 이익집단 ... 83 3. 이슈네트워크 ... 84 4. 싱크탱크 ... 86 5. 지역개발회사 ... 87 6. 풀뿌리 지역사회 기반 조직 ... 88 7. 인도주의 재단과 자선단체 ... 91 7.1. 전통적 재단 ... 93 7.2. 벤처 자선단체 ... 95 7.3. 벤처 자선단체와 협약학교 ... 97 7.4. 사회, 경제, 정치적 쟁점 ... 100 7.5. 한국 재단의 교육사업 지원 ... 103 제4장 미국 시민사회조직의 지역사회 교육개혁 참여 1. 미국 시민사회조직의 교육개혁 참여 배경 ... 109 1.1. 1960년대와 1970년대: 자유주의 개혁과 시민의 교육 참여 ... 110 1.2. 1980년대 이후: 이익집단의 성장과 학교개혁 전략으로서 지역사회 조직화 ... 116 2. 미국 교육개혁 참여 시민사회조직의 현황 ... 122 2.1. 회원의 충원과 구성 ... 124 2.2. 쟁점사안 및 다른 지역사회 쟁점사안과의 관계 ... 126 2.3. 재정 ... 129 3. 미국 시민사회조직의 교육개혁 참여 전략 ... 130 3.1. 연대와 파트너십 ... 131 3.2. 연구와 조사 자료의 활용 및 공개 ... 136 3.3. 활동가 훈련과 리더십 개발 및 단체의 역량 홍보 ... 137 3.4. 관계적 문화의 형성 ... 139 4. 미국 시민사회조직의 교육개혁 참여 성과와 장애 요인 ... 141 4.1. 참여 성과 ... 142 4.2. 장애 요인 ... 150 5. 지역사회 교육개혁을 위한 미국 시민사회조직의 과제 ... 160 6. 미국 시민사회조직의 지역사회 교육개혁 참여 사례 ... 163 6.1. 산업지역협회 ... 163 6.2. 할렘아동지구 ... 206 6.3. 뉴욕학교재개발네트워크와 새세기고등학교이니셔티브 ... 226 제5장 한국 시민사회조직의 지역사회 교육개혁 참여 1. 한국 교육시민사회조직의 등장과 발전 ... 233 1.1. 교사의 교육민주화운동 ... 234 1.2. 학부모운동단체의 태동 ... 235 1.3. 교육시민단체의 증가와 정책과정 참여 활성화 ... 237 1.4. 교육시민단체 및 교육시민운동 방식의 다원화 ... 238 2. 한국 교육시민사회조직의 현황 ... 241 2.1. 전국 교육시민사회단체의 현황 ... 241 2.2. 주요 교육시민사회단체의 사례 선정과 조사방법 ... 244 2.3. 회원의 충원과 구성 ... 248 2.4. 의사결정구조 ... 250 2.5. 단체 간 연계 및 네트워크 ... 252 2.6. 활동 내용 ... 253 2.7. 재정 기반 ... 255 3. 한국 교육시민사회조직의 문제 ... 259 3.1. 소극적인 시민 참여 ... 260 3.2. 의사결정구조의 비민주성 ... 262 3.3. 연대 문화 및 역량의 결여 ... 266 3.4. 열악한 재정 기반 ... 269 3.5. 정체성과 특성화 취약 ... 272 4. 한국 교육시민사회조직 활동의 성과와 한계 ... 274 4.1. 학교 현장의 교육 부조리 해소 및 불합리한 관행 개선 ... 274 4.2. 교육소비자를 위한 서비스 제공 ... 280 4.3. 대안교육의 지평 확대 ... 284 4.4. 교육정책과정 참여 ... 285 4.5. 공익성과 교육발전에의 기여도 ... 293 5. 한국 시민사회조직의 학교개혁 참여 사례 ... 296 5.1. 푸른교육공동체의 푸른숲 학교 만들기 ... 296 5.2. 성미산마을 주민들의 성미산학교 만들기 ... 311 5.3. 한국지역사회교육협의회의 지역사회학교 운동 ... 327 제6장 시민사회조직의 지역사회 교육개혁 참여, 어디로 가야 하나? 1. 시민사회조직의 내적 역량 제고를 위한 과제 ... 342 1.1. 의사결정구조의 민주화 ... 342 1.2. 단체활동가의 전문적 역량과 리더십 개발 ... 343 1.3. 재원의 확대 ... 345 1.4. 연구와 자료 활용 ... 348 1.5. 단체의 역량 홍보 ... 349 2. 시민사회조직의 지역사회 교육개혁 참여를 위한 전략적 과제 ... 350 2.1. 시민사회조직의 교육 참여에 대한 학교의 불신과 저항 극복 ... 351 2.2. 시민들의 지지 기반 확대 ... 355 2.3. 학부모의 시민역량 증대 ... 358 2.4. 다각적인 관계와 지원체제의 구축 ... 359 2.5. 시민단체 활동의 관점과 정체성의 확립 ... 362 3. 시민사회조직의 지역사회 교육개혁 참여 지원을 위한 정부의 과제 ... 367 3.1. 시민사회조직에 대한 행정 지원 ... 368 3.2. 시민사회조직에 대한 재정 지원 ... 369 부록 ... 371 미주 ... 435 참고문헌 ... 445 찾아보기 ... 4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