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 진실의 역사로 만들어가는 미래 / 이해학 ... 4 추천사 : 역사, 과거ㆍ현재ㆍ미래를 비추는 거울 / 이이화 ... 6 책읽기 길라잡이 : '강제병합 100년'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을 묻다 / 기획팀 ... 8 1부 19세기 개항 전 조선과 동아시아 1. 19세기 조선 앞바다에 이양선이 자주 출몰한 까닭은 무엇일까? ... 24 2. 흥선대원군은 과연 '쇄국정책'을 폈을까? ... 27 3. 일본과 청은 어떻게 문호를 개방했을까? ... 31 4. 19세기 조선은 어떤 사회였을까? ... 35 2부 조선의 개항에서 대한제국의 탄생까지 5. 일본은 왜 조선에 개항을 강요했을까? ... 42 6. 강화도조약은 왜 불평등 조약인가? ... 46 7. 개항 이후 조선은 어떤 개화정책을 폈을까? ... 49 8. 위정척사파는 왜 조선 정부의 개혁정책에 반대했을까? ... 53 9. 임오군란 당시 군민들은 왜 일본공사관을 공격했을까? ... 56 BOX 임오군란 이후 흥선대원군은 어떻게 되었나? ... 58 10. 김옥균은 왜 '갑신정변'을 일으켰을까? ... 59 11. 일본이 조선의 개혁을 원했다고 하는데, 사실일까? ... 62 12. 개항기 일본과 일본인에 대한 조선인의 감정은 어떠했을까? ... 65 13. 동학농민전쟁, 청일전쟁, 갑오개혁…… 1894년에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 67 14. 1894년 동학농민군이 꿈꾼 세상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 72 BOX '동학농민전쟁'을 어떻게 부를 것인가? ... 75 15. 유생들은 왜 일본군을 지원해 농민군을 토벌했을까? ... 76 16. '갑오개혁'의 주인공들이 돌에 맞아 죽은 까닭은? ... 79 17. 일본이 명성왕후를 무참히 살해한 까닭은 무엇일까? ... 82 BOX 민비, 명성왕후, 명성황후? 어떻게 부르는 것이 맞을까? ... 85 18. 을미의병은 정말 일본의 침략에 반대했을까? ... 86 BOX 19세기 조선의 의적, 활빈당 ... 89 19. 고종은 왜 러시아공사관에서 1년 동안이나 머물렀을까? ... 90 20. 대한제국이 내세운 '구본신참'은 무슨 뜻을 지니고 있을까? ... 93 21. 독립협회는 왜 독립문을 세웠을까? ... 97 BOX 만민공동회 : 자주와 민권을 외친 최초의 근대적 민중집회 ... 100 22. 경인선 부설 행사에 왜 일장기와 성조기가 나부꼈을까? ... 101 23. 대한제국은 왜 마지막까지 중립화를 주장했을까? ... 104 3부 1905∼1910년, 역사의 현장을 가다 24. 러일전쟁, 을사조약, 1905년에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 ... 110 25. 을사조약은 왜 불법 조약인가? ... 114 BOX 을사조약, 을사보호조약, 을사늑약, 제2차 한일협약 ... 117 26. 국제사회는 왜 일본의 불법 지배를 묵인했을까? ... 118 27. 을사5적은 누구인가? ... 121 28. 을사조약 체결 후 우리는 어떻게 저항했을까? ... 124 29. 일제의 고문정치란 무엇인가? ... 127 30. 한국통감부는 무슨 일을 했을까? ... 130 31. 일본은 왜 대한제국의 화폐를 정리했을까? ... 134 32. 고종의 퇴위와 순종의 즉위는 어떻게 이루어졌을까? ... 138 BOX 헤이그 밀사와 만국평화회의 ... 140 33. 일본이 조선에 강요한 차관정치란 무엇인가? ... 141 BOX 을사조약, 정미7조약, 한국병합조약의 주요 내용 ... 143 34. 동양척식주식회사는 무엇을 하는 곳이었을까? ... 145 35. 일본 세력을 무력으로 몰아낼 수는 없었을까? ... 148 36. 실력만 양성하면 정말 일본이 조선에서 물러났을까? ... 152 37. 국채보상운동은 국권회복운동이었나? ... 156 38. 지식인들이 자결을 선택한 까닭은 무엇일까? ... 159 39. 외국인들은 조선인의 항일운동을 어떻게 바라보았을까? ... 162 40. 신민회는 왜 조직의 존재를 숨기려 했을까? ... 165 BOX 105인 사건이란 무엇인가? ... 168 41. 안중근은 왜 이토를 쏘았을까? ... 169 42. 한국강제병합, 왜 1910년에 이루어졌나? ... 173 BOX 1909년 일본은 왜 간도협약을 체결했을까? ... 176 43. 일본에 병합을 요청한 조선인은 누구인가? ... 177 44. 국권을 빼앗긴 후 고종 황제와 순종 황제는 어떻게 살았을까? ... 180 45. 왜 '경술국치일'을 기억해야 할까? ... 184 BOX 한일합방, 강제병합, 합병, 강점, 식민지란 용어에 대해 ... 186 4부 일제강점기, 지배와 저항, 그리고 일상 46. 조선총독부는 어떤 조직이었나? ... 192 BOX 조선 총독으로 부임한 이들은 누구인가? ... 195 47. 울던 아이도 그치게 했다는 헌병경찰은 어떤 존재였을까? ... 197 48. 일제는 왜 '조선태형령'을 제정했을까? ... 200 49. '위생경찰'이란 무엇인가? ... 202 50. 조선총독부는 왜 토지조사사업을 했을까? ... 204 51. 일제강점 덕분에 출세한 사람들은 누구일까? ... 208 52. 3ㆍ1운동은 왜 일어났을까? ... 211 53. 일제는 왜 무단통치에서 문화통치로 지배정책을 바꾸었을까? ... 217 54.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무엇을 했나? ... 221 BOX 대한민국 임시헌장 선포문 ... 225 55. 일제에 맞선 가장 효과적인 독립운동은 무엇이었을까? ... 226 BOX 단재 신채호의〈조선혁명선언〉 ... 229 56. 우리 독립군끼리도 총을 겨누고 싸웠다는 게 사실일까? ... 230 57. 일제강점기 사회주의운동이 활발했던 까닭은 무엇일까? ... 235 58. 독립운동을 하다 체포되면 어떻게 되었을까? ... 240 59. 적극적으로 독립운동을 하지 않은 사람은 모두 친일파였을까? ... 242 60.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민족지도자 중 일부가 친일파가 된 까닭은? ... 245 61. 11월 3일을 학생독립운동기념일이라 하는 까닭은? ... 250 62. 신간회는 어떤 단체이며, 무슨 활동을 했을까? ... 252 63. 윤봉길은 테러리스트인가? ... 256 BOX 누구를 '의사(義士)'로, 누구를 '열사(烈士)'로 부르는 것일까? ... 258 64. 1930년대 이후 항일무장투쟁은 어떻게 전개되었나? ... 259 65. 조선인 노동자의 월급 수준은 어떠했을까? ... 262 BOX 강주룡이 을밀대 지붕 위로 올라간 까닭은? ... 264 66. 학교에서는 무엇을 가르치고 배웠을까? ... 266 67. 식민지 조선에서도 일본어 몰입 교육이 있었을까? ... 269 68. 조선의 젊은이들이 일본으로 유학을 간 까닭은? ... 271 69. '간토대지진' 때 일본인들은 왜 조선인을 죽였을까? ... 274 BOX 참혹한 학살의 기억, 난징대학살 ... 278 70. 우리나라의 독립운동을 도운 일본인은 없었을까? ... 280 71. 농촌을 떠나 도시로 온 사람들은 행복했을까? ... 284 72. 모던걸과 모던보이의 도시, 경성은 어떤 곳이었을까? ... 287 73. 일제강점기 우리의 의식주 생활은 어떻게 변화했을까? ... 290 74. 일제강점기 식민지 조선에서도 일본 돈을 사용했을까? ... 294 75.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은 어떻게 살았을까? ... 296 76. 일제는 왜 민족말살정책을 실시했을까? ... 299 77. 황국신민화 교육이란 무엇인가? ... 302 78. 창씨개명을 피해갈 수는 없었을까? ... 304 79. 친일파 기업인은 어떤 사람들인가? ... 307 80. 일본 야스쿠니 신사에 한국인이 합사된 까닭은 무엇인가? ... 310 81. 식민사관이란 무엇인가? ... 312 5부 해방 이후 과거 청산, 그리고 현재와 미래 82. 우리나라는 어떻게 해방을 맞이했을까? ... 318 BOX 1945년 '8ㆍ15'는 광복일까 해방일까? ... 320 83. 해방 이후 우리는 어떤 나라를 꿈꾸었을까? ... 321 84. 해방 후 한반도는 왜 두 개로 나뉘었을까? ... 325 85. 한국인의 반일 감정, 그 뿌리는 어디에서 시작되었을까? ... 330 BOX 영국, 프랑스, 일본 식민 통치의 차이점과 공통점 ... 332 86. 한국의 근대화는 일제의 식민 통치 덕분일까? ... 333 87. 아직도 식민지 잔재 청산을 이야기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 337 88. 해방 후 친일파 청산은 어떻게 이루어졌을까? ... 340 BOX 반민특위가 친일파를 체포할 때 이들의 반응은 어떠했을까? ... 344 89. 한국인 BㆍC급 전범은 어떤 사람들인가? ... 346 90. 독립운동을 하면 3대가 망한다는 말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 351 BOX 단재 신채호 선생은 무국적자? ... 353 91.《친일인명사전》은 왜 만들었을까? ... 355 BOX 문답으로 읽는《친일인명사전》 ... 358 92. 일본 정부의 사죄와 배상은 한일협정으로 끝났다는 것이 사실일까? ... 359 93.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이 수요 시위를 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 363 94. 일본에 강제징용된 조선인 노동자들의 밀린 임금은 어떻게 되었을까? ... 367 95. 해방 후에도 일본에 남은 조선인은 어떤 사람들일까? ... 370 BOX 재일조선인의 국적, 호칭, 그리고 민족교육 ... 373 96. 해외로 떠났던 조선인들은 해방 후 어떻게 되었을까? ... 375 97. 합천을 한국의 히로시마라고 부르는 까닭은? ... 379 98. 일본의 평화헌법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 381 99. 왜 일본은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것일까? ... 383 100. 일본 역사교과서, 무엇이 문제인가? ... 388 집필진 소개 ... 392 진실과미래, 국치100년사업공동추진위원회 소개 ... 402 더 읽을거리 ... 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