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 ... i
일러두기 ... ii
제1부 신라의 건국
1. 新羅 國號의 硏究 ... 3
Ⅰ. 머리말 ... 3
Ⅱ. 신라 국호에 관한 해석 ... 3
Ⅲ. 신라 왕도명칭과의 관계 ... 8
Ⅳ. 신라 지배족 김씨와의 관계 ... 12
Ⅴ. 철기문화의 이동과 새불 지명 ... 17
Ⅵ. 신라 국호 제정의 연대 ... 22
Ⅶ. 맺음말 ... 24
2. 新羅 建國說話의 硏究 ... 25
Ⅰ. 머리말 ... 25
Ⅱ. 朴赫居世 설화 ... 25
Ⅲ. 昔脫解 설화 ... 48
Ⅳ. 김씨 시조 설화 ... 53
Ⅴ. 三性交立과 六部 문제 ... 60
Ⅵ. 맺음말 ... 62
3. 新羅 始祖王의 硏究 ... 64
Ⅰ. 머리말 ... 64
Ⅱ. 朴赫居世居西干 ... 66
Ⅲ. 南解居西干(次次雄) ... 70
Ⅳ. 脫解尼師令 ... 75
Ⅴ. 閼智 ... 77
Ⅵ. 味鄒尼師令 ... 78
Ⅶ. 奈勿麻立干 ... 82
Ⅷ. 法興(原宗)王 ... 85
Ⅸ. 星漢王 ... 87
Ⅹ. 『三國史記』 新羅本紀의 形成過程 ... 90
XI. 맺음말 ... 93
제2부 신라의 국가형성
1. 新羅國 形成過程의 硏究 ... 97
Ⅰ. 머리말 ... 97
Ⅱ. 辰韓社會와 六村의 檢討 ... 98
Ⅲ. 三山聯合 ... 103
Ⅳ. 斯盧의 發展過程 ... 106
Ⅴ. 新羅古代國家 成立의 年代 및 歷史的 背景 ... 122
Ⅵ. 맺음말 ... 127
2. 辰韓의 鐵産과 新羅의 强盛 ... 129
Ⅰ. 머리말 ... 129
Ⅱ. 辰韓鐵産과 鐵場 ... 129
Ⅲ. 新羅 鐵鑛資源과 鐵場 ... 135
Ⅳ. 辰韓 鐵器文化의 開始年代 ... 141
Ⅴ. 新羅의 支配族과 鍛冶 ... 148
Ⅵ. 맺음말 ... 153
3. 新羅의 鐵産 ... 155
Ⅰ. 머리말 ... 155
Ⅱ. 新羅의 鐵山·鐵場 ... 156
Ⅲ. 新羅의 製鐵 ... 158
Ⅳ. 鐵鋌 ... 160
Ⅴ. 鐵斧 ... 164
Ⅵ. 多樣多量의 鐵器 ... 165
Ⅶ. 鐵佛 ... 166
Ⅷ. 鄕·成·曲 ... 166
Ⅸ. 新羅王族 ... 167
Ⅹ. 맺음말 ... 168
4. 上中古期 新羅六部의 史的 考察 ... 170
Ⅰ. 머리말 ... 170
Ⅱ. 六部의 歷史的 사례 ... 171
Ⅲ. 喙의 語義와 音讀 ... 174
Ⅳ. 六部의 설치 沿革 ... 177
Ⅴ. 中古 六部의 성격 ... 183
Ⅵ. 六部體制의 변화 ... 192
Ⅶ. 二部 支配體制 ... 196
Ⅷ. 二元制 王權 ... 200
Ⅸ. 맺음말 ... 205
제3부 신라의 사회구성
1. 新羅王族의 骨制 ... 209
Ⅰ. 머리말 ... 209
Ⅱ. 王族의 骨 ... 209
Ⅲ. 聖骨 ... 213
Ⅳ. 朴氏王妃族 問題 ... 224
Ⅴ. 眞骨 ... 229
Ⅵ. 맺음말 ... 233
2. 新羅社會의 一斷面的 考察 ... 235
Ⅰ. 머리말 ... 235
Ⅱ. 개방적인 남녀교제와 자유연대 ... 237
Ⅲ. 性開放의 社會와 貸妻制 ... 244
Ⅳ. 女系 繼承社會 ... 251
Ⅴ. 殉愛主義的 愛情觀 ... 255
Ⅵ. 맺음말 ... 258
3. 新羅 朴氏의 骨品에 대하여 ... 260
Ⅰ. 머리말 ... 260
Ⅱ. 上代의 朴氏王 ... 261
Ⅲ. 下代의 朴氏姓 ... 265
Ⅳ. 中古 王母·王妃의 朴氏夫人 ... 271
Ⅴ. 下代 王母·王妃의 朴氏夫人 ... 275
Ⅵ. 冊命된 王母·王妃名 ... 281
Ⅶ. 頭品實族 朴氏 ... 285
Ⅷ. 맺음말 ... 294
4. 新羅 王京攷 ... 296
Ⅰ. 머리말 ... 296
Ⅱ. 王京의 呼稱 ... 297
Ⅲ. 王京의 條坊制 都市計劃 ... 303
Ⅳ. 北宮 ... 308
Ⅴ. 王京六部와 行政機構 ... 315
Ⅵ. 王京의 施設 ... 322
Ⅶ. 맺음말 ... 323
제4부 신라의 강성과 통일
1. 『三國遺事』 所載 未鄒王攷 ... 327
2. 弑王說과 善德女王 ... 340
Ⅰ. 머리말 ... 340
Ⅱ. 王名 ... 340
Ⅲ. 配匹 ... 344
Ⅳ. 弑王攷 ... 349
Ⅴ. 여왕 폐출의 동기와 원인 ... 355
Ⅵ. 여왕의 失政과 반란의 원인 ... 358
Ⅶ. 맺음말 ... 361
3. 武烈王體制의 成立 ... 363
Ⅰ. 머리말 ... 363
Ⅱ. 국제정세와 급박한 국내정세 ... 364
Ⅲ. 毗曇의 亂 ... 368
Ⅳ. 兩金體制의 등장 ... 369
Ⅴ. 武烈王의 登極 ... 378
Ⅵ. 兩金體制의 보완 ... 380
Ⅶ. 맺음말 ... 381
4. 신라 삼국 통일의 연구 ... 383
Ⅰ. 머리말 ... 383
Ⅱ. 고구리 신라의 비상 軍國體制의 성립 ... 384
Ⅲ. 羅唐 군사 동맹의 체결 ... 385
Ⅳ. 나당 군사동맹 약정 골자 ... 388
Ⅴ. 신라의 백제정벌과 점령 ... 389
Ⅵ. 백제군의 內應과 협력 ... 393
Ⅶ. 對고구리 전쟁 ... 394
Ⅷ. 고구리 멸망의 원인 ... 396
Ⅸ. 浿江攷 ... 398
Ⅹ. 신라 삼국통일의 검토 ... 401
XI. 통일전쟁의 주체 세력 ... 407
XII. 신라통일의 사적 의의 ... 411
XIII. 맺음말 ... 413
5. 神武王의 登極과 金昕 ... 415
Ⅰ. 머리말 ... 415
Ⅱ. 王位繼承 爭奪戰 ... 415
Ⅲ. 金昕과 大昕 ... 417
Ⅳ. 閔哀王과 忠恭 ... 427
Ⅴ. 맺음말 ... 431
제5부 신라의 불교신앙과 산신사상
1. 新羅 佛敎 肇行攷 ... 435
Ⅰ. 머리말 ... 435
Ⅱ. 佛敎 傳來 緣起說話 ... 436
Ⅲ. 阿道 ... 443
Ⅳ. 異次頓 ... 448
Ⅴ. 肇行(公認) ... 450
Ⅵ. 맺음말 ... 452
2. 殉敎聖人 異次頓攷 ... 454
Ⅰ. 머리말 ... 454
Ⅱ. 이차돈 순교설화의 형성과정 ... 455
Ⅲ. 異次頓(염촉) 殉敎傳說 ... 460
Ⅳ. 異次頓의 聖格化 ... 465
Ⅴ. 異次頓의 이름 ... 467
Ⅵ. 異次頓의 家系 ... 468
Ⅶ. 佛敎 初傳期의 殉敎 ... 471
Ⅷ. 蔚州 川前里 書石銘記 甲寅 乙卯銘 ... 475
Ⅸ. 七處伽藍之墟 ... 480
Ⅹ. 맺음말 ... 485
3. 元曉의 修道處에 대하여 ... 487
Ⅰ. 머리말 ... 487
Ⅱ. 受學處 ... 488
Ⅲ. 修道處 ... 499
Ⅳ. 住錫寺刹 ... 501
Ⅴ. 悟道處 八公山 ... 505
Ⅵ. 맺음말 ... 510
4. 新羅人의 山岳 崇拜와 山神 ... 512
Ⅰ. 머리말 ... 512
Ⅱ. 三祀 ... 513
Ⅲ. 山神의 本體神格은 天神 ... 517
Ⅳ. 山神은 祖上神 ... 519
Ⅴ. 英雄과의 결합 ... 521
Ⅵ. 山神의 性은 女性 ... 522
Ⅶ. 山神의 變化 ... 525
Ⅷ. 山神에 대한 封爵 ... 527
Ⅸ. 맺음말 ... 528
5. 所謂 中嶽石굴에 對하여 ... 529
제6부 금석문을 통해 본 신라 사회의 성격
1. 蔚州 新羅 書石銘記의 新檢討 ... 547
Ⅰ. 머리말 ... 547
Ⅱ. 書石銘記의 判讀 ... 548
Ⅲ. 書石銘記의 解釋 ... 567
Ⅳ. 맺음말 ... 598
2. 迎日冷水里新羅碑에 보이는 部의 性格과 政治運營問題 ... 601
Ⅰ. 머리말 ... 601
Ⅱ. 비석의 발견 경위 ... 602
Ⅲ. 碑文의 해석 ... 603
Ⅳ. 비의 건립 연대 ... 608
Ⅴ. 碑에 나타난 部와 六部 ... 611
Ⅵ. 葛文王과 部 ... 624
Ⅶ. 맺음말 ... 629
3. 居代牟羅 男彌只碑의 새 檢討 ... 631
Ⅰ. 머리말 ... 631
Ⅱ. 碑文의 釋文 ... 633
Ⅲ. 비문의 구성 분석과 해석 ... 647
Ⅳ. 和白(等·重臣)회의와 葛文王 ... 657
Ⅴ. 牟卽智 寐錦王 ... 662
Ⅵ. 律令 ... 664
Ⅶ. 신라육부 ... 668
Ⅷ. 碑 建立의 目的과 性格 ... 672
Ⅸ. 맺음말 ... 674
제7부 신라의 영역확장
1. 加耶聯盟 形成의 經濟的 考察 ... 679
Ⅰ. 머리말 ... 679
Ⅱ. 加耶聯盟 ... 680
Ⅲ. 洛東江 沖積平野의 農業資源 ... 684
Ⅳ. 南海의 海産資源 ... 687
Ⅴ. 弁辰領域의 鐵産資源 ... 689
Ⅵ. 加耶聯盟의 戶口 ... 692
Ⅶ. 맺음말 ... 693
2. 加耶史의 新考察 ... 695
Ⅰ. 머리말 ... 695
Ⅱ. 建國說話 ... 695
Ⅲ. 加耶의 有國年代와 歷年 ... 698
Ⅳ. 滅亡의 年代와 末王 ... 701
Ⅴ. 加耶의 文化 ... 703
Ⅵ. 任那의 實體 ... 705
Ⅶ. 맺음말 ... 712
3. 耽羅國 星主·王子考 ... 714
Ⅰ. 머리말 ... 714
Ⅱ. 星主·王子의 由來 ... 714
Ⅲ. 耽羅國의 登場과 支配族 ... 717
Ⅳ. 星主族과 氏姓 ... 728
Ⅴ. 王子族과 氏姓 ... 733
Ⅵ. 맺음말 ... 735
책을 내면서 ... i
일러두기 ... ii
제1부 신라의 건국
1. 新羅 國號의 硏究 ... 3
Ⅰ. 머리말 ... 3
Ⅱ. 신라 국호에 관한 해석 ... 3
Ⅲ. 신라 왕도명칭과의 관계 ... 8
Ⅳ. 신라 지배족 김씨와의 관계 ... 12
Ⅴ. 철기문화의 이동과 새불 지명 ... 17
Ⅵ. 신라 국호 제정의 연대 ... 22
Ⅶ. 맺음말 ... 24
2. 新羅 建國說話의 硏究 ... 25
Ⅰ. 머리말 ... 25
Ⅱ. 朴赫居世 설화 ... 25
Ⅲ. 昔脫解 설화 ... 48
Ⅳ. 김씨 시조 설화 ... 53
Ⅴ. 三性交立과 六部 문제 ... 60
Ⅵ. 맺음말 ... 62
3. 新羅 始祖王의 硏究 ... 64
Ⅰ. 머리말 ... 64
Ⅱ. 朴赫居世居西干 ... 66
Ⅲ. 南解居西干(次次雄) ... 70
Ⅳ. 脫解尼師令 ... 75
Ⅴ. 閼智 ... 77
Ⅵ. 味鄒尼師令 ... 78
Ⅶ. 奈勿麻立干 ... 82
Ⅷ. 法興(原宗)王 ... 85
Ⅸ. 星漢王 ... 87
Ⅹ. 『三國史記』 新羅本紀의 形成過程 ... 90
XI. 맺음말 ... 93
제2부 신라의 국가형성
1. 新羅國 形成過程의 硏究 ... 97
Ⅰ. 머리말 ... 97
Ⅱ. 辰韓社會와 六村의 檢討 ... 98
Ⅲ. 三山聯合 ... 103
Ⅳ. 斯盧의 發展過程 ... 106
Ⅴ. 新羅古代國家 成立의 年代 및 歷史的 背景 ... 122
Ⅵ. 맺음말 ... 127
2. 辰韓의 鐵産과 新羅의 强盛 ... 129
Ⅰ. 머리말 ... 129
Ⅱ. 辰韓鐵産과 鐵場 ... 129
Ⅲ. 新羅 鐵鑛資源과 鐵場 ... 135
Ⅳ. 辰韓 鐵器文化의 開始年代 ... 141
Ⅴ. 新羅의 支配族과 鍛冶 ... 148
Ⅵ. 맺음말 ... 153
3. 新羅의 鐵産 ... 155
Ⅰ. 머리말 ... 155
Ⅱ. 新羅의 鐵山·鐵場 ... 156
Ⅲ. 新羅의 製鐵 ... 158
Ⅳ. 鐵鋌 ... 160
Ⅴ. 鐵斧 ... 164
Ⅵ. 多樣多量의 鐵器 ... 165
Ⅶ. 鐵佛 ... 166
Ⅷ. 鄕·成·曲 ... 166
Ⅸ. 新羅王族 ... 167
Ⅹ. 맺음말 ... 168
4. 上中古期 新羅六部의 史的 考察 ... 170
Ⅰ. 머리말 ... 170
Ⅱ. 六部의 歷史的 사례 ... 171
Ⅲ. 喙의 語義와 音讀 ... 174
Ⅳ. 六部의 설치 沿革 ... 177
Ⅴ. 中古 六部의 성격 ... 183
Ⅵ. 六部體制의 변화 ... 192
Ⅶ. 二部 支配體制 ... 196
Ⅷ. 二元制 王權 ... 200
Ⅸ. 맺음말 ... 205
제3부 신라의 사회구성
1. 新羅王族의 骨制 ... 209
Ⅰ. 머리말 ... 209
Ⅱ. 王族의 骨 ... 209
Ⅲ. 聖骨 ... 213
Ⅳ. 朴氏王妃族 問題 ... 224
Ⅴ. 眞骨 ... 229
Ⅵ. 맺음말 ... 233
2. 新羅社會의 一斷面的 考察 ... 235
Ⅰ. 머리말 ... 235
Ⅱ. 개방적인 남녀교제와 자유연대 ... 237
Ⅲ. 性開放의 社會와 貸妻制 ... 244
Ⅳ. 女系 繼承社會 ... 251
Ⅴ. 殉愛主義的 愛情觀 ... 255
Ⅵ. 맺음말 ... 258
3. 新羅 朴氏의 骨品에 대하여 ... 260
Ⅰ. 머리말 ... 260
Ⅱ. 上代의 朴氏王 ... 261
Ⅲ. 下代의 朴氏姓 ... 265
Ⅳ. 中古 王母·王妃의 朴氏夫人 ... 271
Ⅴ. 下代 王母·王妃의 朴氏夫人 ... 275
Ⅵ. 冊命된 王母·王妃名 ... 281
Ⅶ. 頭品實族 朴氏 ... 285
Ⅷ. 맺음말 ... 294
4. 新羅 王京攷 ... 296
Ⅰ. 머리말 ... 296
Ⅱ. 王京의 呼稱 ... 297
Ⅲ. 王京의 條坊制 都市計劃 ... 303
Ⅳ. 北宮 ... 308
Ⅴ. 王京六部와 行政機構 ... 315
Ⅵ. 王京의 施設 ... 322
Ⅶ. 맺음말 ... 323
제4부 신라의 강성과 통일
1. 『三國遺事』 所載 未鄒王攷 ... 327
2. 弑王說과 善德女王 ... 340
Ⅰ. 머리말 ... 340
Ⅱ. 王名 ... 340
Ⅲ. 配匹 ... 344
Ⅳ. 弑王攷 ... 349
Ⅴ. 여왕 폐출의 동기와 원인 ... 355
Ⅵ. 여왕의 失政과 반란의 원인 ... 358
Ⅶ. 맺음말 ... 361
3. 武烈王體制의 成立 ... 363
Ⅰ. 머리말 ... 363
Ⅱ. 국제정세와 급박한 국내정세 ... 364
Ⅲ. 毗曇의 亂 ... 368
Ⅳ. 兩金體制의 등장 ... 369
Ⅴ. 武烈王의 登極 ... 378
Ⅵ. 兩金體制의 보완 ... 380
Ⅶ. 맺음말 ... 381
4. 신라 삼국 통일의 연구 ... 383
Ⅰ. 머리말 ... 383
Ⅱ. 고구리 신라의 비상 軍國體制의 성립 ... 384
Ⅲ. 羅唐 군사 동맹의 체결 ... 385
Ⅳ. 나당 군사동맹 약정 골자 ... 388
Ⅴ. 신라의 백제정벌과 점령 ... 389
Ⅵ. 백제군의 內應과 협력 ... 393
Ⅶ. 對고구리 전쟁 ... 394
Ⅷ. 고구리 멸망의 원인 ... 396
Ⅸ. 浿江攷 ... 398
Ⅹ. 신라 삼국통일의 검토 ... 401
XI. 통일전쟁의 주체 세력 ... 407
XII. 신라통일의 사적 의의 ... 411
XIII. 맺음말 ... 413
5. 神武王의 登極과 金昕 ... 415
Ⅰ. 머리말 ... 415
Ⅱ. 王位繼承 爭奪戰 ... 415
Ⅲ. 金昕과 大昕 ... 417
Ⅳ. 閔哀王과 忠恭 ... 427
Ⅴ. 맺음말 ... 431
제5부 신라의 불교신앙과 산신사상
1. 新羅 佛敎 肇行攷 ... 435
Ⅰ. 머리말 ... 435
Ⅱ. 佛敎 傳來 緣起說話 ... 436
Ⅲ. 阿道 ... 443
Ⅳ. 異次頓 ... 448
Ⅴ. 肇行(公認) ... 450
Ⅵ. 맺음말 ... 452
2. 殉敎聖人 異次頓攷 ... 454
Ⅰ. 머리말 ... 454
Ⅱ. 이차돈 순교설화의 형성과정 ... 455
Ⅲ. 異次頓(염촉) 殉敎傳說 ... 460
Ⅳ. 異次頓의 聖格化 ... 465
Ⅴ. 異次頓의 이름 ... 467
Ⅵ. 異次頓의 家系 ... 468
Ⅶ. 佛敎 初傳期의 殉敎 ... 471
Ⅷ. 蔚州 川前里 書石銘記 甲寅 乙卯銘 ... 475
Ⅸ. 七處伽藍之墟 ... 480
Ⅹ. 맺음말 ... 485
3. 元曉의 修道處에 대하여 ... 487
Ⅰ. 머리말 ... 487
Ⅱ. 受學處 ... 488
Ⅲ. 修道處 ... 499
Ⅳ. 住錫寺刹 ... 501
Ⅴ. 悟道處 八公山 ... 505
Ⅵ. 맺음말 ... 510
4. 新羅人의 山岳 崇拜와 山神 ... 512
Ⅰ. 머리말 ... 512
Ⅱ. 三祀 ... 513
Ⅲ. 山神의 本體神格은 天神 ... 517
Ⅳ. 山神은 祖上神 ... 519
Ⅴ. 英雄과의 결합 ... 521
Ⅵ. 山神의 性은 女性 ... 522
Ⅶ. 山神의 變化 ... 525
Ⅷ. 山神에 대한 封爵 ... 527
Ⅸ. 맺음말 ... 528
5. 所謂 中嶽石굴에 對하여 ... 529
제6부 금석문을 통해 본 신라 사회의 성격
1. 蔚州 新羅 書石銘記의 新檢討 ... 547
Ⅰ. 머리말 ... 547
Ⅱ. 書石銘記의 判讀 ... 548
Ⅲ. 書石銘記의 解釋 ... 567
Ⅳ. 맺음말 ... 598
2. 迎日冷水里新羅碑에 보이는 部의 性格과 政治運營問題 ... 601
Ⅰ. 머리말 ... 601
Ⅱ. 비석의 발견 경위 ... 602
Ⅲ. 碑文의 해석 ... 603
Ⅳ. 비의 건립 연대 ... 608
Ⅴ. 碑에 나타난 部와 六部 ... 611
Ⅵ. 葛文王과 部 ... 624
Ⅶ. 맺음말 ... 629
3. 居代牟羅 男彌只碑의 새 檢討 ... 631
Ⅰ. 머리말 ... 631
Ⅱ. 碑文의 釋文 ... 633
Ⅲ. 비문의 구성 분석과 해석 ... 647
Ⅳ. 和白(等·重臣)회의와 葛文王 ... 657
Ⅴ. 牟卽智 寐錦王 ... 662
Ⅵ. 律令 ... 664
Ⅶ. 신라육부 ... 668
Ⅷ. 碑 建立의 目的과 性格 ... 672
Ⅸ. 맺음말 ... 674
제7부 신라의 영역확장
1. 加耶聯盟 形成의 經濟的 考察 ... 679
Ⅰ. 머리말 ... 679
Ⅱ. 加耶聯盟 ... 680
Ⅲ. 洛東江 沖積平野의 農業資源 ... 684
Ⅳ. 南海의 海産資源 ... 687
Ⅴ. 弁辰領域의 鐵産資源 ... 689
Ⅵ. 加耶聯盟의 戶口 ... 692
Ⅶ. 맺음말 ... 693
2. 加耶史의 新考察 ... 695
Ⅰ. 머리말 ... 695
Ⅱ. 建國說話 ... 695
Ⅲ. 加耶의 有國年代와 歷年 ... 698
Ⅳ. 滅亡의 年代와 末王 ... 701
Ⅴ. 加耶의 文化 ... 703
Ⅵ. 任那의 實體 ... 705
Ⅶ. 맺음말 ... 712
3. 耽羅國 星主·王子考 ... 714
Ⅰ. 머리말 ... 714
Ⅱ. 星主·王子의 由來 ... 714
Ⅲ. 耽羅國의 登場과 支配族 ... 717
Ⅳ. 星主族과 氏姓 ... 728
Ⅴ. 王子族과 氏姓 ... 733
Ⅵ. 맺음말 ... 735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