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5
남명 사상과 그 현대적 의의 / 이동환 ... 13
남명 성리학의 특징 1: 자득과 실천 / 김충열 ... 25
1. 조식의 성리학관과 시대의식 및 자기출로 모색 ... 25
1) 조식의 성리학관 ... 25
2) 조식의 시대의식 ... 29
3) 조식의 학문 방법과 그가 얻은 경지와 지킨 것 ... 37
2. 남명학의 기조 - 『학기유편』과 「학기도」 ... 45
1) 이정합집본과 중간본의 범례와 발문 ... 46
(1) 이정합집본 ... 46
(2) 중간본 ... 47
2) 도의 통체를 논하다 ... 48
(1) 성리학의 실마리를 「태극도설」과 『통서』에서 찾다 ... 48
(2) 상수역과 의리역을 아을러 중시하다 ... 49
(3) 상수역에서 우주론을 도출하고 의리역에서 심성론을 도출하다 ... 50
(4) 「태극도설」에 대한 이해 ... 51
(5) 『통서』의 중시와 성(誠)의 본원성 확인 ... 54
(6) 「리기도」ㆍ「천리기도」ㆍ「인리기도」를 통해 본 조식의 리기관 ... 58
(7) 「충서일관도」 ... 67
(8) 「천도천명도」(「심통성정도상」) ... 71
(9) 「심통성정도」 ... 75
(10) 「인설도」 ... 82
남명 성리학의 특징 2: 학문의 과정과 방법 / 김충열 ... 87
1. 위학지요: 남명 학문방법론의 요체 ... 88
1) 「소학대학도」 : 하학상달하는 학문 과정의 전형 ... 88
2) 「박문약례도」 : 배운 것을 자기 것으로 만드는 방법 ... 93
3) 「지언양기도」 ... 98
4) 「심위엄사도」 ... 104
5) 「기도」 ... 108
2. 「학기도」의 도의 단위와 명칭 정리 ... 111
1) 『학기』와 「학기도」의 요점 ... 111
2) 「학기도」의 도명 대비표 ... 113
3) '남명성학도'의 호칭과 '남명성학십도'의 선택 가능 문제 ... 115
남명 조식의 공부론에 나타난 초월과 관여의 두 흐름 / 정순우 ... 119
1. 서론: 왜 남명인가? ... 119
2. 공부론을 통해서 본 남명의 출처관 ... 122
1) '나아감'과 '물러남' ... 122
2) 극기복례의 공부론 ... 131
3. 남명 공부론의 특질과 의미 ... 139
1) 하학과 상달의 문제 ... 139
2) 남명에 있어서의 상달처의 성격 ... 144
4. 남명 공부의 두 차원: '초월'의 세계와 '관여'의 세계 ... 149
1) 남명 공부론의 초월적 성격 ... 149
2) 관여적 요소 ... 156
5. 남명 공부론이 만들어 낸 새로운 선비상: 처사 ... 163
남명 조식의 현실인식과 출처사상 연구 - 시대적 인물에 투영된 퇴계 이황의 출처사상과 비교하며 / 권인호 ... 165
1. 머리말 ... 165
2. 남명과 강우학파의 기질 ... 167
3. 출처사상 ... 171
1) 은일사상의 전통과 의의 ... 171
2) 남명의 현실관과 출처사상의 특징 ... 173
4. 엄광론과 길재론 ... 187
1) 엄광출처론과 군왕대현관(君王對賢觀) ... 187
2) 남명과 퇴계의 포은과 야은에 대한 출처의리론 ... 190
5. 맺음말 ... 204
남명 성리철학 연구 / 張立文 ... 207
1. 『근사록』과 『학기』의 비교 ... 208
2. 도의 통체와 근원 ... 218
3. 태극본체의 도식 ... 228
4. 리기천인의 함의 ... 237
5. 심통성정의 의의 ... 242
6. '인설' 및 '충서의 일관' ... 246
7. 위학과 경ㆍ성 ... 250
8. 인심도심과 박문약례 ... 254
9. '지언양기'와 '경ㆍ의' ... 257
10. 이경 및 사서가 하나의 도로 통함 ... 260
11. 남명 사상의 철학범주와 그 논리구조의 특징 ... 262
南冥 性理哲學 硏究 / 張立文 ... 267
一. 『近思錄』與『學記』之比較 ... 268
二. 道之統體的源頭 ... 273
三. 太極本體的圖式 ... 280
四. 理氣天人之意蘊 ... 285
五. 心統性情之義旨 ... 288
六. 仁說忠恕之一貫 ... 291
七. 爲學敬性之進路 ... 293
八. 人心道心與博約 ... 296
九. 知言養氣與敬義 ... 298
十. 二經四書爲一道 ... 300
十一. 範疇邏輯結構之特點 ... 301
조식의 시문에 나타난 지리산의 의미 / 조동일 ... 305
1. 민족의 영산들 ... 305
2. 지리산 유산기 ... 307
3. 지리산을 읊은 한시 ... 312
4. 지리산에서 얻은 것 ... 316
남명의 산수유람에 대하여 - 「유두류록」을 중심으로 / 최석기 ... 319
1. 머리말 ... 319
2. 산수유람에 대한 기본 관점 ... 321
3. 「유두류록」에 나타난 정신세계 ... 328
1) 자아에 대한 성찰과 심성수양 ... 328
2) 역사에 대한 회고와 현실인식 ... 335
4. 맺음말 ... 345
남명의 사물인식 방법과 시정신의 행방 - 사물인식의 삼각구도와 그 시적 적용을 중심으로 / 정우락 ... 349
1. 문제의 제기 ... 349
2. 사물인식의 삼각구도와 '도물사인' ... 352
3. 시정신의 행방과 현실주의적 경향 ... 359
1) 초월과 참여의 변증법 ... 359
2) 역사현실에 대한 인식 ... 364
3) '사'의식의 성찰적 진작 ... 369
4. 남은 문제 ... 375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