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 3
권16
219.『구당서』의 편찬 시말(舊唐書源委) ... 23
220.『신당서』(新唐書) ... 28
221. 당나라의 실록, 국사는 모두 두 차례 산실되었다(唐實錄國史凡兩次散失) ... 32
222.『구당서』전반부는 실록, 국사의 구본을 모두 사용했다(舊唐書前半全用實錄國史舊本) ... 48
223.『신당서』본기의 서술방법(新唐書本紀書法) ... 63
224.『신당서』본기에서 안사의 난에 대해 쓴 대목(新書本紀書安史之亂) ... 69
225.『신당서』에서 각 열전을 개편한 것(新書改編各傳) ... 74
권17
226.『신당서』에서『구당서』를 증보한 대목(新書增舊書處) ... 86
227.『신당서』에서『구당서』를 증보한 것 가운데 중요한 대목(新書增舊書有關係處) ... 87
228.『신당서』에서『구당서』를 증보한 것 가운데 잡다한 내용(新書增舊書tc言碎事) ... 126
229.『신당서』열전을 만들면서 유독 상세하게 쓴 대목(新書立傳獨詳處) ... 138
230.『신당서』에서『구당서』내용을 삭제한 대목(新書刪舊書處) ... 146
권18
231.『신당서』에서『구당서』문장의 뜻을 고친 대목(新書改舊書文義處) ... 156
하간왕(河間王) 이효공전(李孝恭傳) ... 156
장손순덕전(長孫順德傳) ... 157
허경종전(許敬宗傳) ... 158
위척전(韋陟傳) ... 159
원재전(元載傳) ... 160
최광원전(崔光遠傳) ... 160
당검전(唐儉傳) ... 161
왕웅탄전(王雄誕傳) ... 162
위징(魏徵)이 태종(太宗)에게 올린「충신ㆍ양신지론(忠臣良臣之論)」 ... 163
부혁(傅奕)의 불교를 없애기를 청한 상소 ... 164
이광필전(李光弼傳) ... 164
노여필전(盧汝弼傳) ... 165
감로(甘露)의 변란 ... 166
232.『신당서』에서는 변려체로 된『구당서』문장을 모두 삭제했다(新書盡刪쇺體舊文) ... 167
233.『신당서』에서는 한(유)ㆍ유(종원)의 문장을 쓰는 것을 좋아했다(新書好用韓柳文) ... 173
234.『신당서』에서는 상소문을 상세하게 수록했다(新書詳載章疏) ... 176
235.『신당서』와『구당서』가 서로 다른 대목(新舊書互異處) ... 185
본기(本紀) ... 185
열전(列傳) ... 187
236.『신당서』와『구당서』는 각각 본기와 열전이 서로 다른 대목이 있다(新舊書各有紀傳互異處) ... 204
237.『신당서』와『구당서』가 틀린 대목(新舊書誤處) ... 206
엄무전(嚴武傳) ... 206
노경전(魯炅傳) ... 207
곽자의전(郭子儀傳) ... 209
주도(朱滔)와 주차(朱l?) ... 210
238.『신당서』와『구당서』판각본에는 각각 빠지거나 틀린 대목이 있다(新舊書刻本各有脫誤處) ... 212
권19
239. 정관 연간에 올바르게 간언한 사람은 위징만이 아니었다(貞觀中直諫者不止魏徵) ... 215
240. 시정기(時政記) ... 229
241. 천자는 기거주를 보지 않았다(天子不觀起居注) ... 233
242. 당나라 황제들은 단약을 먹은 사람이 많았다(唐諸帝多餌丹藥) ... 236
243. 현종은 오대가 한 집안에 살았다(玄宗五代一堂) ... 242
244. 당나라에는 두 차례 상원이라는 연호가 있었다(唐有兩上元年號) ... 243
245. 덕종은 시 짓는 것을 좋아했다(德宗好爲詩) ... 244
246. 이전 시대 충신과 간신에 대한 포폄(褒貶前代忠奸) ... 248
247. 시호에는 좋은 것과 안 좋은 것이 모두 있었다(諡兼美惡) ... 250
248. 당나라 때 태자 호칭 추증의 지나침(唐追贈太子之濫) ... 255
249. 황제의 칭호로 황후의 시호를 표기했다(帝號標后諡) ... 261
250. 황후 애책문의 존칭(皇后哀冊尊稱) ... 264
251. 합장은 예법을 변통한 것이다(yT葬變禮) ... 265
252. 종묘에서 황후의 시호를 올렸다(諡后於廟) ... 270
253. 두 태후를 나란히 칭한 경우(兩太后N&稱) ... 271
254. 황태후로서 합장하지 않은 경우(皇太后不yT葬) ... 272
255. 이건성과 이원길의 아들은 주살되었다(建成元吉之子被誅) ... 275
256. 액정궁에 잡아들이는 경우(沒入掖庭) ... 276
257. 당나라의 여화(唐女禍) ... 280
258. 무후의 잔인함(武后之忍) ... 283
259. 무후는 간언을 받아들이고 사람을 볼 줄 알았다(武后納諫知人) ... 296
260. 미워하는 사람의 이름을 고친 경우(改惡人姓名) ... 308
261. 조회에서 하례를 올릴 때 가까이 모시는 신하들이 먼저 예를 행했다(朝賀近臣先行禮) ... 312
262. 대신에 대한 몸수색(大臣搜檢) ... 313
263. 도첩(度牒) ... 314
권20
264. 당나라 때 환관의 폐해(唐代宦官之禍) ... 316
265. 환관이 (지방으로) 사신으로 나가고 군대를 감독함으로써 생긴 폐단(中官出使及監軍之弊) ... 328
266. 당나라 환관에는 복건(福建)[빀]과 광동(廣東)[廣] 출신이 많았다(唐宦官多빀廣人) ... 337
267. 당나라 절도사의 폐해(唐節度使之禍) ... 338
268. 방진의 군대가 자기 영역을 나서기만 하면 탁지부에서 물자를 공급해 주기를 바랐다(方鎭兵出境Ss仰度支供? ... )
269. 방진의 교만한 병사들(方鎭驕兵) ... 345
270. 도적이 재상을 살해한 두 사건이 있었다(盜殺宰相有二事) ... 348
271. 여섯 등급으로 죄를 정하고 사흘 만에 상복을 벗는 것에 관한 논의(六等定罪三日除服之論) ... 353
272. 간가, 제맥, 궁시, 오방소사가 백성을 괴롭힌 예(間架除陌宮市五坊小使之病民) ... 357
273. 호사스러운 연회(豪宴) ... 365
274. 이름난 아버지의 자식 중에 도리에 어긋난 사람이 많았다(名父之子多敗德) ... 366
275. 이적의 자손(李勣子孫) ... 370
276. 안록산이 체포되어 서울로 보내진 일(安祿山執送京師之事) ... 371
277. 수양에서 순절한 사람으로 또한 요은이 있다(wb陽殉節尙有姚誾) ... 375
278. 당나라 초기 삼례,『한서』『문선』에 관한 학문(唐初三禮漢書文選之學) ... 378
279. 당나라 때 고문은 한유와 유종원에서 시작하지 않았다(唐古文不始于韓柳) ... 388
280. 당나라 전후기에 쌀값이 오르내린 액수(唐前後米價貴賤之數) ... 391
281. 장안의 땅기운(長安地氣) ... 394
282. 황소와 이자성(黃巢李自成) ... 40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