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우리는 망자로부터 무엇을 알아내는가? ... 7
어떤 바이킹 족의 장례 ... 7
인간 유해 연구: <B><FONT color ... #0000
매장 ... 14
화장 ... 18
부장품 ... 20
공동묘지의 구조 ... 26
인신희생 ... 35
소결 ... 39
2장 지금으로부터 옛적 그때로: 민족지고고학과 유추 ... 41
죽음의 사회인류학 ... 42
통문화적 일반화와 신고고학의 중위 이론 모색 ... 53
장례습속: 인간의 작용, 권력, 이데올로기 ... 62
민족지고고학과 유추의 재검토 ... 65
탄드로이 족의 장례습속과 기념물성의 등장 ... 69
우리를 대상으로 한 민족지고고학: 영국과 미국의 장례습속 ... 77
소결 ... 83
3장 몸 읽기 ... 85
최근 및 현대 영국에서의 죽음에 대한 거리 두기 ... 89
신체의 파괴 ... 93
인체 먹기 ... 97
시신의 자세 잡기와 꾸미기 ... 102
없어진 익명의 시신 ... 104
신체의 보존 ... 105
이집트 신왕국 파라오들과 우주로서의 시신 ... 106
성인의 유골들: 불가사의한 물질로서의 인간 유골 ... 113
파지리크의 냉동 무덤: 신성한 경계로서의 사체 피부 ... 114
토탄 늪 사체들: 인신희생인가 사회적 추방인가? ... 124
소결 ... 133
4장 지위, 계서, 권력 ... 135
사회진화론 ... 136
매장습속의 변이성과 사회조직 ... 138
신고고학의 지위 연구 사례들 ... 142
부장품과 지위 ... 147
식단, 건강, 지위 ... 152
부장품과 지위의 재고 ... 155
계서와 권력 사이의 관계 ... 162
마운드빌: 선사시대 '군장사회'의 장송의례들 ... 164
소결 ... 176
5장 젠더와 친족관계 ... 177
뼈 연구에 의한 성 판별 ... 178
페미니즘 이론과 젠더 구분 고고학의 등장 ... 180
젠더 정체성과 정황의 의미들 ... 188
어린 망자: 과거 어린이의 고고학적 연구 ... 192
덴마크 선사시대의 여자, 남자, 어린이 ... 195
의복, 젠더, 친족관계 ... 203
친족관계와 신고고학 ... 207
층서에 의한 계기순서와 친족관계 ... 212
장송의례 접근법과 생물학적 접근법의 통합 ... 217
6장 망자의 안치 ... 229
망자를 산 자로부터 분리하기 ... 230
망자의 성스러운 장소 ... 240
무덤과 영역 ... 243
혈통 집단과 영역성 ... 250
전망을 가진 무덤 ... 256
소결 ... 259
7장 인류의 죽음 경험 역사 ... 261
죽음과 시간 ... 262
장송의례와 인류성의 기원 ... 268
중기 및 후기 구석기시대의 매장들 ... 272
전기 구석기시대: 시신 정식 안치와 식인습속? ... 280
기념 건축의 탄생 ... 286
조상 세계의 구축 ... 288
회반죽 칠한 두개골로부터 작은 상으로: 대지모신 신화, 폐기되다 ... 295
불멸성의 추구 ... 300
세계 종교의 흥기 ... 307
세속적 신앙의 등장 ... 309
8장 망자를 둘러싼 정치 ... 311
아메리카 인디언과 고고학자 ... 314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주민과 그들에 대한 잔학행위 ... 320
전 세계의 인골을 둘러싼 정치 ... 323
영국에서의 법적 요건과 문제 사안들 ... 329
영국에서의 고고학과 공중 ... 334
인간 유해 처리에 관한 윤리강령 ... 336
망자 절취와 약탈―도굴의 문제 ... 342
20세기 잔학행위의 고고학 ... 346
망자는 누구의 소유인가? ... 348
9장 에필로그: 죽음과 기억 ... 353
의례 ... 355
건축, 죽음, 기념물들 ... 358
결론 ... 361
부록 인간 유체의 발굴 ... 363
발굴 전 준비 ... 363
매장 발굴 ... 365
화장묘 발굴 ... 370
기록 ... 371
인골 수습과 임시 보관 ... 371
발굴 후 정리 ... 373
참고문헌 ... 375
옮긴이의 말 ... 411
찾아보기 ... 415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