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5 Prologue : 동양 사상의 세계란? (1) 동양의 지혜가 구미인의 마음을 울리다 ... 21 동양 사상과 만난 서양인은 무엇을 보았나? 동양과 서양의 경계는 어디인가? (2) 현대 문화에도 동양 사상이 살아 숨 쉬다 ... 24 동양 사상에 매료된 서양인들 스타워즈는 동양 사상에 바치는 오마주 비틀즈도 인도에 '반하다' 동양은 인체에서 작은 우주를 본다 동양 사상의 힐링 파워 (3) 사상은 철학ㆍ종교와 무엇이 다른가 ... 30 일본인은 '사상에 익숙하지 않다' 동양에서는 철학도, 종교도 '사상'으로 한데 묶는다 (4) 서양과 동양의 차이점은 종교에 있다? ... 33 동양에는 일신교가 둥지를 틀지 못했다 사상의 차이점을 종교로 풀어내다 (5) 중국ㆍ인도 사상의 키워드 ... 36 수천 년을 이어온 인도와 중국 사상 중국 사상의 키워드는 '현실적' 인도 사상의 키워드는 '범아일여' 일본 사상의 키워드는 '유연함' 일본에는 '중국을 경유한 인도'가 가득 Part 1 고대 중국 사상 (1) 중국 사상의 원류는 무엇인가 ... 45 왕이 왕일 수 있는 이유는 물을 다스리는 능력 왕위는 덕이 높은 자에게 선양 은 왕조는 덕보다 신탁으로 권위를 유지했다 신앙의 원점은 자연신과 조상신 샤먼의 기원은 시베리아? (2) 고대 중국은 신탁과 천명으로 움직였다 ... 51 지배 구조의 변혁기에 이상 정치가가 등장하다 주왕은 조상 공양의 정점 신탁에서 천명으로 전환 역사서에 나타나는 중국의 논리관 춘추 시대의 오패, 존왕양이의 기치 아래에서 싸우다 (3) 고사성어와 제자백가의 춘추전국 시대 ... 57 권위의 근거를 '덕'에서 찾다 난세의 지혜 경쟁으로 수많은 고사성어가 탄생하다 춘추시대에서 전국 시대로 제자백가는 왕의 전략 브레인 제자백가란 '수많은 스승'이라는 의미 (4) 유가의 공자는 무엇에 뜻을 두고 어떻게 살아갔는가 ... 63 유교의 개조 공자는 어떤 사람이었나 입신출세에 대한 갈망과 좌절 유가 사상은 공자의 인과 예에서 시작된다 공자는 국가와 개인의 수신 방법을 고안했다 유가 사상이 유교로 성장하다 공자는 신을 '경원시'했다 (5) 맹자의 성선설은 사람을 '덕'으로 다스렸다 ... 71 사람은 모두 '인의예지'라는 소질을 갖추고 있다 '왕도'를 좇고 '패도'를 꺼리다 위대한 유가학자가 탄생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어머니의 사랑이 있었다 맹자의 역성혁명은 민주주의의 발아였다? 일본에는 '혁명'이 없다 (6) 순자의 성악설은 사람을 '예'로 이끌었다 ... 77 같은 유가의 틀 안에서 맹자와 반대되는 사상을 펼치다 유가에서 법가로의 전이도 일어났다 (7) 법가 사상은 '법'으로 사람을 다스렸다 ... 80 법가는 전국 시대의 가장 큰 수혜자 법가를 채택한 최강국 진 초는 법가를 해임하다 한비에 이르러 법가 사상이 대성하다 법가가 보기에 유가는 어리석었다 비참한 최후를 맞은 법가 사상가들 (8) 종횡가는 살아남기 위한 외교책을 주장했다 ... 88 최강국 진을 대하는 외교론 소진의 합종책은 대진(對秦) 포위망 장의의 연횡책은 진과의 개별 동맹론 (9) 병가는 정략과 군사를 주장했다 ... 91 병가는 부국강병책으로 군사를 논했다 싸우지 않는 것이 최선책 손자의 어록은 기업 경영에도 통한다 병법은 합리적인 최선의 전쟁 방법 손자는 2,000년 전의 클라우제비츠 (10) 묵가는 독특한 박애 사상을 주장했다 ... 97 묵가의 사상과 행동은 겸애와 비공 겸애 정신은 원군도 마다하지 않는다 (11) 도가의 개조 노자는 인위를 배제했다 ... 100 유가와 쌍벽을 이룬 도가 사상 『노자도덕경』을 저술한 노자의 인물상 무위자연을 내세운 노자 이루어졌다면 곤란했을 소국과민 국가 노자는 문명 사회에 대한 안티테제 (12) 장자의 유례없는 세계관 ... 108 노장 사상의 영웅 장자 사상 이상은 '진인'의 경지 내가 나비인가 나비가 나인가 노자는 딱딱하지 않은 치유 효과로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노장 사상은 환경 지향적 (13) 음양가는 '음양오행설'을 체계화했다 ... 116 음양은 태극에서 나오며 만물을 관리한다 오행이 상생과 상극을 되풀이한다 실제 사회에서 활용된 음양오행 (14) 명가는 궤변에 능하며 잡가는 모든 학문을 정비했다 ... 121 명가의 언변은 궤변이었다 잡가는 제자백가의 '지식'을 정비했다 Part 2 중국 사회 사상의 전개 (1) 진시황제는 법가와 유가를 함께 이용했다 ... 127 법가 사상으로 천하를 통일한 진 의식에 사용한 유교 시황제는 불로불사의 신선 사상에 빠져 있었다 병마용은 황제의 삶과 죽음에 대한 인생관의 결과물 (2) 유가 사상이 한의 국학으로 정해지다 ... 133 유가는 시대의 권력자에게 접근했다 유학이 국가 학문의 자리에 오르다 왕조의 흥망에는 반드시 유교와 중화 사상이 연관된다 중국에서 왕조의 교체에는 대의명분이 중요했다 새로운 황제는 체면을 세우고 천명을 증명해야 했다 (3) '천인상관' 사상이 천하를 움직이다 ... 139 명군의 시대에는 상서로운 징조가 나타나고, 폭군의 시대에는 천재가 일어난다 독재자도 하늘의 심판을 두려워했다 인체도 하늘에 상응하는 소우주 (4) 중화 사상은 유교의 '예'를 존중했다 ... 142 상하이도, 홍콩도 변방이었다 중화의 서방에는 언제나 이민족의 침략 위험이 도사리고 있었다 중화 문명권의 일원은 '예'를 분별했다 '소중화' 나라 조선 왕조는 중국보다 더 중화적이다 조금은 거리를 두었던 일본의 대(對) 중화 외교 비한(非漢) 민족의 왕조 역시 한(漢)족화 중화 사상에 물들면 황제도 될 수 있다 청은 충성심을 뚜렷한 형태로 판별하려 했다 청은 너무 풍족했기에 시대에 뒤떨어졌다 (5) 과거를 통한 문치주의의 좋은 면과 나쁜 면은? ... 153 과거는 7세기에 시작되었다 과거는 황제가 관료를 차별할 수 있는 제도 중국 정치는 중앙 집권일 때 잘 풀렸다 고학력 사회는 약자 집단 환관은 중국의 독특한 제도 유교 사회는 원칙적으로는 모두 평등한 학력 사회였다 (6) 중국 신화는 후대의 창작이다 ... 161 태초에 혼돈이 있었다 인도와 공통되는 원인 해체 신화 인류의 위대한 스승 복희 한의학의 시조 신농 중국의 통일한 전설의 제왕 황제 (7) 도교는 민중을 움직이며 역사를 바꿨다 ... 165 도교는 대중의 소망을 이루어주며 세력을 넓혀나갔다 겉면은 유교, 뒷면은 도교? 도교는 황건적의 난으로 역사를 움직였다 도교 교단의 원조 오두미도는 지금도 전해진다 도교의 천사도가 북위의 국교로 관우도 도교의 신이 되다 도교의 최고신은 삼청과 옥황상제 천제란 북극성의 신 현세에서의 이익을 대변하는 다양한 신들 종규는 신비 사상에서 기원한 신 (8) 신선 사상과 풍수 사상은 '기' 이론에서 시작되었다 ... 176 '기'를 다루는 선인은 도의 달인 도교의 '기'는 원기의 기 중국의 풍수는 죽은 자도 배려했다 풍수 사상은 도시 계획 도교의 오악과 불교의 사산 Part 3 중국 사상의 새로운 전개 (1) 불교는 중국에 큰 변화를 일으켰다 ... 185 중국에 전해진 대승불교 유ㆍ불ㆍ도 삼교의 성립 중국 사상에는 없던 신의 인격화가 진행되다 (2) 중국도 불교에 큰 변화를 일으켰다 ... 188 천태종ㆍ정토종ㆍ선종이 인기를 모으다 불전의 한역은 중국의 역사적인 위업 동아시아에 알맞도록 교의를 번역했다 대승불교는 일본에서 살아남았다 (3) 선 정신은 언어와 문자를 초월한다 ... 194 선종은 중국에서 태어난 이질적인 불교 선종의 가르침은 문자를 멀리한다 임제종은 선문답(공안(公案))으로 깨달음을 얻는다 조동종은 오로지 좌선을 하다 예술에 공헌한 선종 (4) 선화로 느끼는 선의 마음 ... 202 깨달음의 길은 '불립문자' (5) 중국이 불교의 나라가 되지 않은 사상적 배경 ... 207 연달아 유입된 외래 종교 불교처럼 인생을 고통이라 생각하기가 어려웠다 윤회 사상은 유교와 양립하지 못했다 (6) 주자학은 이기이원론으로 우주를 설명했다 ... 213 태극=이에서 음양오행이 시작되다 태극이란 달이 여기저기로 움직이는 것이다 '이기이원론'으로 우주를 설명하다 유교를 철학, 학문으로 대성시키다 (7) 이기이원론으로 사람의 마음을 설명하다 ... 218 인간의 마음을 '성즉리(性卽理)'로 규정했다 대의명분론은 한(漢)민족 콤플렉스의 산물 현실은 대의명분대로 움직이지 않았다 과거 시험 과목을 정비하여 사서오경이 성립되었다 (8) 양명학은 또 하나의 유학 ... 223 육구연은 '심즉리'를 주장했다 왕양명은 '지행합일'의 평등 사상을 내세웠다 (9) 한반도도 유교 문화권인가? ... 226 중국과 일본 사이에 자리한 한반도의 역사 한국에서의 불교 가장 오래된 대승불교 자료는 한국에 있다 유교 국가로서의 조선 왕조 민족 고유의 표음문자 '한글' 발명 한국은 기독교가 주류인가 Part 4 고대 인도 사상 (1) 인도 사상의 집대성, 힌두교 ... 235 인도 사상도 철학과 종교는 혼연일체 힌두교라는 종교는 존재하지 않는다? 예상 밖으로 광범위한 인도 문화 영향권 (2) 인도 사상가는 예나 지금이나 수행에 전념한다 ... 238 인도 사상의 원류인 인도 철학 인도 사상의 역사와 구조 (3) 인도 사상은 아리아인이 구축했다 ... 241 고대 인더스 문명의 사상은 사라졌다? 바리문교ㆍ힌두교는 정복자의 종교 인도 사상에 각인된 전쟁의 기록 (4) 성전 '베다'는 신에게 바치는 찬가 ... 244 유구한 세월에 걸쳐 엮인 신들에게 바치는 찬가와 철학 사상의 원점인『리그베다』 (5) 우주의 창조는 원인 푸루샤 찬가에서 그려진다 ... 247 우주는 원인의 희생에서 시작된다 동양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원인 해체 신화 (6) 베다의 주역은 인드라 ... 250 인드라가 우주를 개척하다 뇌신 인드라는 불교에서 법을 수호하는 제석천 불의 신 아그니가 천계와 지계를 연결하다 사법신 바루나는 스이텐구의 원형 폭풍우의 신 루드라는 시바의 전신 『리그베다』의 신은 훗날 불교에도 등장한다 (7) 인도 철학은 신흥 계급의 경제력을 바탕으로 발전했다 ... 255 인도 사상의 키워드 '범아일여' 경제의 발전은 인도 철학의 새로운 막을 열었다 바라문의 철학적 탐구도 충실해지다 석가와 동시대의 사상가 '육사외도' 그리스 철학과의 공통점과 차이점 (8) 범아일여를 추구한『우파니샤드(오의서)』 ... 261 『우파니샤드』는 '베다의 끝' 인도에서는 철학자=성선(리시)이 탄생했다 웃달라카 아루니, '일원론'을 주창하다 일원론에서 보이는 '범아일여'의 싹 '오화이도설'은 윤회 사상의 근원 야지나발키아, '업'을 설명하다 '해탈'은 이른바 뱀의 허물 벗기? (9) 인도의 토착 사상에서 기원한 윤회 사상 ... 271 업과 윤회의 이면에는 토착 사상이 있었다 바라문은 제사에서 철학으로 업종을 바꾸었다? (10) 육파 철학이『우파니샤드』를 발전시켰다 ① ... 274 우파니샤드에서 육파 철학으로 베단타학파는 우파니샤드의 주류 샹카라는 베단다학파의 가면을 쓴 불교도? 제사를 중시한 미망사학파 (11) 육파 철학이『우파니샤드』를 발전시켰다 ② ... 279 해탈의 '의미'에 이론을 부여한 상캬학파 해탈 '방법'을 구체화한 요가학파 요가학파에는 신이 있다 (12) 육파 철학이『우파니샤드』를 발전시켰다 ③ ... 284 바이세시카학파는 실재론을 주장한 논리파 니야야학파는 이치를 내세워 해탈을 추구했다 Part 5 인도 사상의 새로운 전개 (1) 불교의 발단 : 석가가 걸어간 진리를 향한 길 ... 289 (2) 석가의 첫 가르침 '사제'와 '팔정도' ... 292 석가가 행한 전도는 바라문에 대한 도전 '고'를 둘러싼 사제와 팔정도가 깨달음으로 향하는 길 '깨달음'은 번뇌의 불길을 불어서 끈 상태 신분에 구애받지 않고 구제하려 했던 석가 (3) 석가가 설법한 세계와 인간의 성립 ... 297 원인을 조작한다면 결과는 소멸한다 근본 사상은 '제행무상' 등의 삼법인 인간은 어떻게 성립하는가 석가는 아트만의 존재를 부정했다? 사후 자신의 의도와는 어긋나게 성인화된 석가 (4) 불교 교단은 삼장을 둘러싸고 분열한다 ... 303 초기의 불교는 경전 없이 전파되었다 다르마에 대한 설명이 '경', 경에 대한 해설이 '논' 불교 교단은 학파와 방침에 따라 결국 분열한다 불교 철학이 인도 철학의 주요 일원이 되다 (5) 상좌부에서는 다르마의 실재가 논의되었다 ... 306 인도와 그리스 철학의 논쟁 불교 철학은 무엇을 탐구하는가 구사종으로 이어지는 설일 체유부 (6) 대승불교의 시조 용수가 '공'을 설법하다 ... 311 대승불교 철학자 용수의 중론 공을 제로로 생각할 수도 있다 (7) 유식파는 심층심리에 발을 딛다 ... 316 '무엇이 윤회하는가'는 중요한 문제였다 아뢰야식은 심층심리학에까지 발을 디뎠다 유식파와 요가의 관계 (8) 상좌부와 대승의 차이점 ... 321 상좌부불교는 보수적, 대승불교는 혁신적 교의도, 불전도 다른 두 학파 석가 외의 여래와 보살의 존재가 대승의 요점 동남아시아로 전파된 상좌부 일찍이 불교 국가였던 나라들의 현실은 어떠한가 (9) 최고신이 된 브라흐만 ... 327 범(브라흐만)이 인격신 브라흐마가 되다 미녀를 쫓는 브라흐마 (10) 광폭한 신 시바는 10개의 이름이 있다 ... 329 시바는 토착신들을 흡수하기 위해 별명을 얻었다 마하칼라는 두려운 얼굴을 한 대흑천(大黑天, 다이코쿠텐) 시바의 부인으로 여신들을 흡수하다 시바 신은 어째서 푸르스름한가 링가 숭배와 시바의 관계 (11) 비슈누는 세계를 유지하는 신 ... 335 자비심으로 세상에 평화를 가져오다 화신으로 나타나 악을 무찌르고 인류를 구하다 (12) 서사시 속의 신들이 힌두교를 널리 퍼뜨리다 ... 338 2대 서사시는 베다를 대신하는 성전으로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비슈누의 화신 신애의 길=박티를 설법한 크리슈나 『라마야나』는 크리슈나가 주역 『라마야나』는 해외에서도 대인기 (13) 밀교는 인도 불교의 최종 단계 ... 344 불교가 힌두교의 반격에 부딪히다 전기 밀교는 주술로써 현세의 이익을 기도했다 중기 밀교는 즉신성불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신비스러운 중기 밀교의 세계 중기 밀교의 세계관 (14) 후기 밀교가 탄트리즘을 흡수하다 ... 353 탄트리즘은 고대 인도 사상 후기 밀교는 성애를 적극적으로 긍정한 이색 불교 티베트에 남아 있는 후기 밀교 특수한 티베트의 윤회전생 달라이 라마는 관음보살의 화신 유교문화는 후기 밀교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티베트에서 살아남은 인도의 밀교 (15) 이슬람교ㆍ기독교 문명과의 충돌 ... 359 이슬람의 영향으로 발생한 시크교 무굴 제국은 힌두교와 이슬람교의 융합을 도모했다 대영 제국의 통치와 힌두 회귀 운동 세포이 항쟁의 원인은 인도의 터부 근대 인도의 성인들 Part 6 인도 사회에 자리한 사상 (1) 인도의 부자연스러운 시간 감각 ... 367 신의 시간과 인간의 시간 비슈누는 칼리 유가에 강림하는 구세주 순환하는 세계관은 인도 사상의 특징 미래에 구세주가 나타난다는 관점은 어디에서 기원했을까? (2) 인생을 '4주기'로 구분하다 ... 372 마누 법전은 생활 방식 규범서 마누란 누구인가 현대에도 이어지는 바라문의 전통, '4주기' 임서기에는 은퇴하여 새로운 길을 걷는다 혈통의 유지가 최우선 의무 죽어서도 죄를 갚지 못한다? 현재에도 이어지는 마누 법전의 정신 (3) 인도는 언어에 힘이 있다고 믿었다 ... 380 발군의 기억력을 지닌 고대 인도 산스크리트어는 '신의 언어' 반야심경의 마지막 구절도 산스크리트어 주문 (4) 요가 행자는 몸으로 해탈을 지향한다 ... 383 요가학파의 해탈 이론 '고전 요가' '하타 요가'로 생명 에너지를 각성한다 요가는 인체의 우주를 어떻게 보는가 기행 같은 수행에도 사상이 있다 무드라(인상)도 근원 에너지를 각성시킨다 인체에서 작은 우주를 본 하타 요가 (5) 하타 요가는 신비 사상과 연결된다 ... 391 하타 요가는 시바파 계통 차크라에는 5대 원소가 숨어 있다 (6) 인도 사상은 인체를 어떻게 보았는가 ... 394 아유르 베다=생명의 지식 의학으로서의 아유르 베다 Part 7 일본 사상과 미의식 (1) 일본 사상의 원형은 풍토가 만들었다 ... 399 사상의 원형은 '자연'과 '영혼'에 대한 신앙 일본인의 조상 신앙 일본인은 '영'을 좋아한다 가장 위대한 신은? 신앙의 박물관, 일본 신앙 (2) 일본 사상은 호기심과 유연함이 빚어냈다 ... 405 참신한 외래 사상과 일본 문화의 관계 뒤처짐을 만회한 일본 사상의 원동력은 '호기심' (3) 고대 일본은 외래 사상을 훌륭히 소화했다 ... 408 문자가 없었던 고대 일본 돌연 자극받은 일본인의 호기심 일본 최초의 사상가 쇼토쿠태자(聖德太子) 불교를 일본식으로 변형시키는 데 기여한 현인들 (4) 헤이안 시대에는 국풍 문화가 꽃을 활짝 피웠다 ... 413 국풍 문화와 외래 사상 사이에서 방황하던 시대 주술 신앙 역시 헤이안 시대의 특징 신불습합은 일본의 독창적인 아이디어 일본 신앙 속에 힌두교가 들어 있다 (5) 일본에서 독자적 발전을 보인 가마쿠라 불교 ... 419 염불만으로 구원받을 수 있다는 호넨 '절대타력'을 주장한 신란 니치렌은 천태종의 교양을 독자적으로 발전시켰다 임제종은 일본 전통 문화에 무대를 제공했다 조동종은 무사 계급의 지지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