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장 저 높고 아득한 산
"세상에는 추사를 모르는 사람도 없지만 아는 사람도 없다" ... 13
'추사체'라는 기괴한 글씨 ... 14
깊고 넓은 학문과 예술세계 ... 15
제1장 출생과 가문 1~24세 : 1786~1809년
명문 경주 김씨 월성위 집안 ... 22
예산의 추사고택 ... 24
추사의 출생 설화 ... 26
입춘첩 신화 ... 29
스승 박제가 ... 33
어머니와 스승의 타계 ... 35
생원에 합격하고, 부친 따라 연경으로 ... 37
제2장 영광의 북경 60일 24~25세 : 1809~1810년
조선 북학파에 대한 후지츠카의 연구 ... 42
북학파 이전의 한ㆍ중 문화교류 ... 44
북학의 길을 연 담헌 홍대용 ... 45
4검서의 연경행 ... 49
산해관을 넘으며 ... 52
연경 학자와의 첫 만남, 조강 ... 53
완원과의 만남 ... 55
옹방강과의 만남 ... 57
옹방강의 석묵서루 ... 60
주학년의 〈전별도〉 ... 61
추사의 이별시 ... 63
제3장 학예의 연찬 25~34세 : 1810~1819년
추사에서 완당으로 ... 68
연경 학계와의 교류 ... 70
옹수곤 ... 74
섭지선과의 교류 ... 76
연경으로 가는 학자들 : 조용진ㆍ신위ㆍ조인영ㆍ권돈인 ... 78
진흥왕 순수비 고증 ... 80
무장사비 파편을 찾아서 ... 83
실사구시설 ... 87
완당의 벗들 ... 90
초의스님과의 인연 ... 93
완당의 금강산 유람과 『동고문존』 ... 94
송석원의 바위 글씨 ... 98
〈가야산 해인사 중건 상량문〉 ... 100
오석산 화암사의 시경루 ... 104
다산 정약용에게 보낸 편지 ... 107
완당의 장년 글씨 ... 108
제4장 출세와 가화(家禍) 34~50세 : 1819~1835년
완당 부자의 출세 ... 116
서자를 위한 『동몽선습』 ... 118
부친 김노경과 동생 명희의 연행 ... 120
고순과 반증수를 위한 글 ... 123
등전밀과 정조경의 〈문복도〉 ... 126
아버지 김노경의 환갑잔치와 평양 기생 죽향이 ... 129
눌인 조광진 ... 131
다산에게 수선화를 보내며 ... 133
가화:김우명과 윤상도의 상소 ... 134
김노경의 유배 ... 138
연경 학계와의 끓임없는 교류 ... 141
『황청경해』의 입수 경로 ... 142
유희해의 『해동금석원』 ... 144
황초령비 재발견 시말기 ... 147
부친 김노경과 다산 정약용의 서거 ... 152
제5장 완당바람 50~55세 : 1835~1840년
왕희순의 「해외묵연」 ... 156
완당의 청나라 학예계 비판 ... 157
완원의 '북비남첩론' ... 160
옹방강과 유용의 입고출신 ... 163
완당의 제자들과 우선 이상적 ... 167
완당 일파의 화가와 우봉 조희룡 ... 169
소치 허련 ... 171
완당의 산수화와 난초 그림 ... 175
완당의 원교 『필결』 비판 ... 178
다시 일어나는 윤상도 옥사와 완당의 유배 ... 182
제6장 제주도 유배시절(상) 55~59세 : 1840~1844년
위리안치라는 형벌 ... 188
유배지로 가는 길 ... 190
창암 이삼만의 글씨를 보고 ... 192
대둔사에서 초의를 만나고서 ... 194
제주도로 가는 배 ... 196
가시울타리를 두르고 ... 198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 201
아내가 보내준 음식과 옷 ... 202
양봉신과 오진사라는 구인 ... 205
끊임없는 질병 호소 ... 207
소치의 첫 번째 방문과 양아들 상무 ... 208
아내의 죽음 ... 211
초의스님의 방문 ... 213
제주목사 이용현과 소치의 두 번째 방문 ... 215
왕성한 독서열과 법첩 연구 ... 216
백파스님과의 논쟁 ... 220
위당 신관호 ... 223
〈세한도〉 제작 과정 ... 227
〈세한도〉 ... 229
〈세한도〉의 제와 찬 ... 231
〈세한도〉 그 이후 ... 234
제7장 제주도 유배시절(하) 59~63세 : 1844~1848년
이양선의 출현 ... 242
영국 군함 사마랑호의 해심 측정 ... 243
완당의 회갑과 집안의 애ㆍ경사 ... 246
예산 〈화암사 상량문〉 ... 248
창덕궁 낙선재의 완당 현판들 ... 250
헌종대왕의 완당 글씨 요구 ... 253
완당의 지ㆍ필ㆍ묵 ... 255
완당의 종이 ... 257
필장 박혜백과 전각가 오규일 ... 259
서한 시대 예서의 임모 ... 263
제주시절의 완당 글씨 ... 264
박규수의 추사체 성립론 ... 267
청명 선생의 추사체 성립론 ... 268
이동주 선생의 추사체 제주도 성립론 ... 271
완당의 제주 시 ... 273
제주읍내 오현단을 다녀와서 ... 275
수선화를 노래하며 ... 279
아들 상우에게 그려준 〈시우란〉 ... 281
제주의 문맹과 교화 ... 283
강위의 방문과 제주 목사 장인식 ... 286
소치의 세 번째 방문 ... 290
허소치의 헌종대왕 배알 ... 293
방송(放送) ... 294
일로향각의 초의스님 ... 297
구암사의 백파스님 ... 299
창암 이삼만의 묘비를 찾아 ... 301
제8장 강상(江上)시절 64~66세 : 1849~1851년
완당 생애의 시대 구분 ... 306
강상에서 ... 307
완당 별호의 유래 ... 310
칠십이구초당의 유래 ... 313
집안의 궁핍과 강상의 서정 ... 314
『예림갑을록』:묵진 8인 ... 316
『예림갑을록』:화루 8인 ... 319
권돈인의 옥적산방 ... 321
석파 이하응의 난초 학습 ... 324
강상에 온 초의 스님 ... 327
은해사의 추사 현판 ... 330
서지환의 글씨 요구 ... 332
강상시절의 글씨:〈단연ㆍ죽로ㆍ시옥〉 〈소창다명〉 ... 333
〈잔서완석루〉 ... 336
추사체의 특질:괴(怪) ... 338
완당의 장인적 수련과 연찬 ... 341
〈불이선란〉 ... 342
다시 일어나는 정쟁 ... 348
제9장 북청 유배시절 66~67세 : 1851~1852년
함관령을 넘으며 ... 358
자작나무 굴피집에 살며 ... 361
동암 심희순에게 보낸 편지 ... 362
함경감사 침계 윤정현 ... 365
〈진흥북수고경〉 ... 367
요선 유치전 ... 370
완당의 민족적 자부심과 북방의식 ... 371
숙신의 돌화살촉 ... 373
해배 ... 374
제10장 과천시절 67~71세 : 1852~1856년
주암리 돌무께의 참외밭 초당 ... 380
퇴촌의 권돈인 ... 382
두릉의 정학연과 정학유 ... 384
석파 이하응의 난초 그림 ... 386
초의스님이 보고 싶습니다 ... 388
완당과 스님들 ... 390
이당 조면호 ... 393
완당의 잡기와 취미 ... 394
연경 학계 소식과 이상적 ... 397
제자들을 가르치며 ... 399
소당 김석준 ... 401
금강안 ... 405
만년의 시와 서정 ... 409
완당의 열정과 관용 ... 413
노과시절의 졸(拙)과 허(虛) ... 416
〈산숭해심〉 〈유천회해〉 〈명선〉 ... 418
동양 서예사에서 추사체의 위치 ... 423
〈백파선사비문〉 ... 425
완당 글씨의 국제적 인기 ... 428
칠십일과 병중작 ... 431
〈산호가ㆍ비취병〉 ... 433
〈해붕대사 화상찬〉 ... 435
봉은사의 완당 ... 437
마자막 명작: 〈대팽두부〉 ... 433
절필:봉은사 〈판전〉 ... 445
종장 완당의 서거와 사후의 평가
우봉 조희룡의 만사 ... 452
권돈인의 화상찬과 추모시 ... 454
초의스님의 제문 ... 456
『조선왕조실록』의 졸기 ... 459
맺는 글:산은 높고 바다는 깊네 ... 460
연보 ... 466
수록 도판 ... 484
찾아보기 ... 49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