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 5
제1장 삶에 대한 이해 ... 19
1. 삶(생명)은 정신과 육체가 복합된 존재 ... 20
2. 에너지 보존법칙과 생명의 영속성 ... 21
3. 정신의 구성 ... 23
4. 육체의 구성 ... 26
1) 육체의 공간적 구성 ... 26
2) 기 흐름의 형태로 분류한 구성 ... 26
3) 실제 장부와 기 흐름을 결합한 분류 ... 30
4) 육체의 기 흐름 대강 ... 33
5. 정신과 육체의 관계 ... 34
제2장 기미(氣味)란 무엇일까요 ... 43
1. '기미'라는 단어의 함축된 의미 ... 44
2. 기미와 성분의 비교 ... 45
1) 기미는 흐르는(flow)개념이고 성분은 정지된(stock)개념입니다 ... 45
2) 기미는 종합적인 개념이고 성분은 부분적인 개념입니다 ... 46
3) 기미는 에너지 상태의 변화를 보여줍니다 ... 48
4) 기미는 복합 성분의 최상의 작용이고 성분은 개별 성분의 부분적인 작용입니다 ... 49
3. 기미의 분류 ... 50
1) 범우주적인 음양으로 나누는 방법 ... 51
2) 몸 안에서의 생리를 기준으로 나누는 방법 ... 55
3) 사물의 기미를 판단하는 방법 ... 57
4. 기미와 정신단계 ... 58
제3장 기 흐름으로 몸 이해하기 ... 63
1. 생리 ... 64
1) 자연은 사람을 살도록 만들었습니다. ... 64
2) 인간의 몸은 마치 그물망과 같고 생명활동은 그 사이를 지나는 기 흐름입니다 ... 65
3) 기의 흐름이 영ㆍ혼ㆍ백이 설계한 길에서 벗어나면 병이라 부릅니다 ... 67
4) 병은 생명을 연장시키는 자연의 은혜입니다 ... 68
5) 몸 안에 흐르는 기의 양은 대체로 일정합니다 ... 70
6) 사람은 오장 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약한 상태로 태어납니다 ... 70
7) 밖을 보면 안이 보입니다 ... 73
8) 체질이란 무엇일까요 ... 74
2. 병리 ... 77
1) 선천적인 내림병 ... 78
2) 후천적인 내림병 ... 79
3) 돌림병 ... 81
4) 섭생병 ... 82
5) 상해 ... 84
3. 섭생병에 영향을 주는 요인 ... 86
1) 내인 ... 86
2) 외인 ... 86
제4장 몸의 기미를 판단하는 방법 ... 97
1. 기미를 판단하는 기본적인 요소 ... 99
1) 한열 ... 99
2) 조습 ... 101
3) 표리 ... 101
4) 내외 ... 102
5) 상하 ... 103
6) 허실 ... 104
7) 기ㆍ수ㆍ혈ㆍ정 ... 104
2. 비정상적인 기 흐름의 증상과 원인 ... 105
3. 한약 처방의 원칙은 기미론 ... 106
4. 일상에서 몸의 기미를 판단하는 기준 ... 109
1) 얼굴 ... 110
2) 맥(脈) ... 112
3) 체온 ... 114
4) 혀 ... 114
5. 병은 어떻게 다스려야 하나요 ... 120
1) 마음 ... 121
2) 생활 섭생 ... 132
3) 방사(房事) ... 137
제5장 음식재료가 되는 본초의 기미 ... 139
1. 먹을거리가 왜 중요할까요 ... 140
1) 지기는 기ㆍ수ㆍ혈ㆍ정의 음분(음분)을, 천기는 양분(양분)을 길러줍니다 ... 141
2) 몸에 따라 먹을거리도 달라지고 먹을거리에 따라 몸도 달라집니다 ... 142
2. 먹을거리의 기미 ... 143
1) 광물성 ... 143
2) 곡식 ... 150
3) 육류 ... 178
4) 어패류 등 ... 195
5) 야채 ... 201
6) 과일 ... 239
7) 기호 식품 ... 255
8) 기타 건강식품 및 양약 ... 275
제6장 몸에 맞는 먹을거리 고르기 ... 285
1. 몸에서 당기는 것은 입맛으로 나타납니다 ... 286
1) 입맛 ... 287
2) 몸에서 바라는 것이 입맛과 다를 수 있습니다 ... 290
3) 병증이 아니라 몸 상태를 고려해 먹을거리를 선택해야 합니다 ... 291
2. 체질에 맞는 먹을거리 ... 294
1) 체질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 294
2) 체질은 변할 수 있을까요? ... 295
3. 만성질환에 맞는 먹을거리 ... 296
1) 고혈압 ... 296
2) 당뇨 ... 302
3) 중풍 ... 303
4) 아토피 ... 304
5) 종양 ... 305
6) 신부전 ... 306
7) 눈ㆍ코ㆍ입ㆍ귀의 만성염증 ... 307
제7장 파란잡기(破卵雜記) ... 309
1. 왜 의사(醫士)가 아니고 의사(醫師)일까요 ... 311
2. 수험생에게 알맞은 차 ... 315
3. 보약을 먹으면 정말 살이 찔까요 ... 318
4. 부작용(不作用)일까요, 부작용(副作用)일까요 ... 324
5. 임신 금기 ... 327
6. 임신 준비, 임신 유지, 출산, 수유, 그리고 한약 처방 ... 336
7. 운동과 정력의 함수관계 ... 343
8. 기미를 보면 그 사람의 진정한 속을 알 수 있습니다 ... 346
9. 나무의 뇌는 어디에 있을까요 ... 349
10. 우황, 사향, 공진단, 웅담 ... 352
11. 민간요법과 선식 ... 354
12. 한방 시술에 관한 기본 상식 ... 365
13. 염증은 최고의 항암제 ... 379
14. 슈퍼바이러스는 인위적으로 만들 수 있을까요 ... 385
15. 감기 없는 세상이 좋은 세상일까요 ... 388
16. 심장마비 예방을 위한 자기진단법 ... 392
17. 판소리와 북도 기미의 조화입니다 ... 395
18. 근세의 명의 황도연에 대한 단상 ... 398
19. 한의학, 한약재, 한의사, 그리고 세계경제 ... 403
마무리하며: 사회적 병리의 선의학적 진단 ... 410
찾아보기 ... 423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