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 근대전환기극 연구를 시작하면서 ... 13 Ⅱ.「협률사」등장과 공연 환경의 변화 「협률사」설립과 종합적 연행물의 생성 ... 29 「협률사」의 기획 공연에 나타난 고전극 배우의 위상 변화 ... 68 「협률사」의 공연 지향점과 창극의 생성 ... 93 1900년대 연극개량론의 규율성 ... 121 Ⅲ. 연극〈은세계〉공연과 일본 신파극의 유입 근대전환기 한일 신파극의 생성과 정착 ... 143 『미야코(都)신문』체험이 이인직의 신연극관 형성에 미친 영향 ... 172 개화 담론과 연극〈은세계〉의 공연 ... 194 연극〈은세계〉의 공연 성격과 의미 ... 216 Ⅳ.『매일신보』의 기획과 신파극 정착 〈병자삼인〉의 번안에 나타난 나르시시즘적 동일화 ... 257 〈金色夜叉〉와〈長恨夢〉의 변이에 나타난 한일 신파극의 대중성 ... 291 근대전환기 한일 신파극이 지닌 새로움의 차이 ... 329 한국 신파극에 미친 川上音二郞의 영향 ... 361 Ⅴ. 신극의 대두와 신파극계의 위기의식 〈규한〉의 자연주의적 특성과 그 의미 ... 391 근대극 성립과정에서〈황혼〉의 가치 ... 420 1910년대 한국 신파연극계의 위기의식과 연쇄극의 등장 ... 445 Ⅵ. 결론 : 근대전환기극의 식민성과 그 극복 ... 483 참고문헌 ... 491 글의 출전 ... 499 영문초록 ... 501 일문초록 ... 509 찾아보기 ... 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