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섬놈, 그들은 나의 스승이었다 ... 12
제1부 어촌사회를 어떻게 볼 것인가
1. 왜 어촌인가 ... 16
2. 어촌공동체론의 전개 ... 20
3. 어업조직과 어업제도 ... 37
4. 어촌문화(해양문화) 연구들 ... 43
5. 지역개발과 어촌 ... 46
6. 어촌관광(해양관광)과 지속가능한 어촌 ... 50
7. 지속가능한 어촌사회를 위하여 ... 50
8. 어촌사회 연구방법론 ... 52
9. 책의 구성 ... 55
제2부 갯벌의 이용과 어촌공동체
굴양식 기술의 변화와 어촌의 적응 - 충남 개목리 굴양식 어촌의 사례 ... 60
1. 굴양식과 마을공동체 ... 60
2. 조사지역 개관 ... 62
3. 굴양식의 역사와 관리체계 ... 68
4. 굴양식 기술의 변화와 노동형태 ... 72
5. 굴양식과 어촌공동체의 변화 ... 76
6. 결론 ... 82
어민의 갯벌이용 유형과 적응기제 ... 84
1. 서론 ... 84
2. 갯벌 파괴와 이용실태 ... 86
3. 갯벌 이용형태와 어촌공동체 ... 90
4. 갯벌생태의 변화와 적응 ... 99
5. 결론 ... 104
전통채취관행과 공동어장의 변용 - 생일도 주비제도를 중심으로 ... 108
1. 근대어업과 어촌 ... 108
2. 조사지역 개관과 사회경제적 특성 ... 109
3. 바다에 대한 인지체계와 마을어업 ... 113
4. 주비공동체와 분배체계 ... 116
5. 양식어업과 마을운영 ... 122
6. 근대어업을 넘어서 ... 128
어촌 경제활동 변화와 여성의 지위에 관한 연구 - 원산도 사례를 중심으로 ... 130
1. 여성과 마을어업 ... 130
2. 조사지역 개관 ... 132
3. 김과 바지락 그리고 여성 ... 135
4. 어촌마을의 운영과 부녀회의 위상 ... 144
5. 결론 ... 151
제3부 양식어업과 어촌마을
양식어장의 공동이용과 어민의 합리성 - 신안군 압해면 송공 어촌계를 중심으로 ... 156
1. 어민과 경제 ... 156
2. 조사지역 개관 ... 159
3. 마을과 어촌계 운영 ... 165
4. 어장의 이용방식의 변화와 공동체적 규제 ... 172
5. 맺음말 ... 185
해조류양식과 마을 운영체제의 변화 - 금당도 가학리의 사례 ... 190
1. 양식어업과 어촌 ... 190
2. 지역개관 ... 193
3. 마을운영구조의 변화 ... 197
4. 어촌공동체의 생산구조의 변화 ... 204
5. 맺음말 ... 219
생업적 어업과 상업적 어업 ... 224
1. 어촌마을과 생업 ... 224
2. 자은도의 어업활동 ... 229
3. 생업적 양식과 상업적 양식 - 김양식의 두 형태 ... 236
4. 결론 ... 245
제4부 소금의 역사와 문화
소금과 국가 그리고 어민 ... 250
1. 머리말 ... 250
2. 소금과 세금, 시장 ... 251
3. 소금생산 기술의 변화 ... 255
4. 천일염전의 개발과 염업의 민영화 ... 259
5. 소금시장의 개방과 천일염산업의 변동 ... 268
6. 맺음말 ... 271
시장개방과 천일염전 생산구조의 변화 ... 274
1. 소금과 어촌 ... 274
2. 서남해 섬지역의 염전조성과 확산 ... 275
3. 시장개방과 염전경영의 변화 ... 282
4. 생산공간과 과정의 변화 ... 290
5. 폐염전의 전용과 적응 형태 ... 297
6. 맺음말 ... 308
전통소금의 지역별 생산방식 ... 310
1. 머리말 ... 310
2. 옛날 소금은 어떻게 만들었을까 ... 312
3. 지역별 전통소금의 생산방식의 특징과 차이 ... 321
4. 소금고사 ... 351
5. 맺음말 ... 358
천일염 문화적 가치제고와 명품화 전략 ... 360
1. 왜 문화인가 ... 360
2. 갯벌천일염 생산과정과 전남지역 천일염 ... 363
3. 천일염과 염전의 문화적 가치 ... 366
4. 천일염 명품화를 위한 제언 ... 372
염전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 376
1. 염전관광이란 ... 376
2. 염전운영 및 관광자원화 실태 ... 379
3. 국내외 염전관광 사례 ... 384
4. 결론 ... 391
제5부 파시와 해양문화
조기파시의 기억과 기록 ... 400
1. 서론 ... 400
2. 옛 문헌을 통해서 본 조기잡이 ... 402
3. 해역별 조기잡이 어로관행과 파시 : 기억 ... 408
4. 조기잡이 어업기술의 발달과 파시 ... 428
5. 결론 ... 433
생태환경의 변화와 파시촌 어민의 적응 - 비금도 강달어 파시촌을 중심으로 ... 436
1. 물고기가 마을을 만들나? ... 436
2. 송치마을은 어떤 곳인가 ... 437
3. 서남해역의 파시 분포 ... 439
4. 칠발도 어장과 파시촌의 형성 ... 444
5. 파시의 쇠퇴와 정착어촌의 형성 ... 449
6. 선단어업과 어촌마을 ... 455
7. 맺음말 ... 462
파시의 어업기술사적 고찰 - 임자도 파시를 중심으로 ... 464
1. 머리말 ... 464
2. 서남해역 파시와 임자도 파시 ... 466
3. 민어어장의 형성과 파시 ... 474
4. 어업기술의 발달과 부서파시 ... 483
5. 맺음말 ... 492
젓새우잡이의 역사와 어로문화 ... 494
1. 머리말 ... 494
2. 젓새우잡이의 역사 ... 495
3. 젓새우잡이 어로관행 ... 499
4. 새우잡이 어로 신앙 ... 508
5. 맺음말 ... 511
칠산어장과 조기파시에 대한 연구 ... 514
1. 왜 조기인가 ... 514
2. 칠산어장의 기록과 조기이야기 ... 518
3. 칠산파시와 조기어장의 공간 변화 ... 521
4. 칠산파시와 그 기억들 ... 525
5. 결론 ... 531
제6부 섬과 어촌의 개발과 관광
대형 간척사업이 지역 주민의 삶에 미치는 영향 - 새만금사업을 중심으로 ... 536
1. 새만금과 어민 ... 536
2. 새만금에 대한 관심들 ... 537
3. 새만금 갯벌의 어업활동 ... 542
4. 물막이 공사에 따른 사회ㆍ경제적 변화 ... 547
5. 어민의 과제 : 강요된 삶과 새로운 시간의 적응 ... 562
해양관광자원의 특징과 활성화 방안 ... 564
1. 왜 해양관광인가 ... 564
2. 해양관광의 개념과 전남의 해양관광자원 ... 566
3. 전남 해양관광 현황과 문제점 ... 578
4. 해양관광 활성화를 위한 제언 ... 586
섬관광 실태와 활성화 방안 연구 - 전남 도서ㆍ연안지역을 중심으로 ... 590
1. 섬은 신비롭고 매력적이다 ... 590
2. 섬관광의 개념과 특징 ... 592
3. 전남 섬관광 무엇이 문제일까 ... 593
4. 우리나라 섬관광 어디까지 왔을까 ... 601
5. 섬이 희망이다 ... 614
문화론적 마을가꾸기, 그 실험과 과제 - 어촌 마을을 중심으로 ... 620
1. 머리말 ... 620
2. 어촌의 현실과 개발전략들 ... 622
3. 어촌의 생태환경과 문화자원의 형태 ... 627
4. 해양 문화자원을 활용한 마을가꾸기 ... 630
5. 마을이 희망이다 ... 636
제7부 갯벌과 생명 그리고 문화 - 갯벌의 문화화
1. 갯벌은 문화다 : 종다양성과 문화다양성 ... 643
2. 갯벌은 공동체다 ... 646
3. 갯벌의 재발견 ... 650
4. 갯벌의 문화화 - 육지중심의 가치, 전환이 필요하다 ... 660
참고문헌 ... 662
찾아보기 ... 672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