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4 Ⅰ. 서론 1. 연구목적 ... 14 2. 연구지역 ... 18 3. 연구방법 ... 21 4. 선행연구 ... 23 Ⅱ. 접경지역의 변화와 국경 도시네트워크의 형성 : 이론적 배경 1. 개방화와 접경지역의 변화 ... 31 1) 접경지역의 의미와 기능의 변화 ... 31 2) 접경지역에서의 상호 협력과 교류 ... 33 2. 국경 도시네트워크의 형성과 도시체계 이론 ... 36 Ⅲ. 북ㆍ중, 북ㆍ러 접경의 지역특성 1. 자연지리적 특성 ... 44 1) 지형 특성 ... 46 2) 기후 특성 ... 64 2. 천연자원의 분포와 개발 ... 69 1) 삼림자원 ... 69 2) 수력 ... 72 3) 광물자원 ... 77 3. 이주 조선인의 점이지대 형성 과정 ... 85 1) 19세기 중엽 - 정치ㆍ사회적 혼란과 조선 이주민의 잠입(潛入) ... 88 2) 19세기 말 - 봉금령의 해제와 조선 이주민의 정착 ... 90 3) 일제의 조선 침략 초기 - 파산 농민의 이주 ... 91 4) 일제의 만주점령기 - 파산 농민의 강제 이주 ... 93 4. 국경선과 잠재된 국경 분쟁 ... 95 1) 국경선과 영토 문제 ... 95 2) 국경 하천의 이용과 문제점 ... 103 Ⅳ. 국경 연결로와 변경도시 1. 국경 연결로 ... 116 1) 국경 출입 통로 ... 116 2) 접경지역의 교통로 ... 131 2. 변경도시의 발달 ... 144 1) 변경도시의 형성 ... 144 2) 주요 변경도시의 분포와 특성 ... 147 Ⅴ. 북ㆍ중 변경무역과 국경 도시네트워크 1. 변경무역과 변경구안의 발달 ... 189 1) 북ㆍ중 변경무역의 발달 ... 189 2) 북ㆍ중 변경구안의 분포와 특성 ... 202 2. 접경지역의 교류와 국경 도시네트워크의 형성 ... 217 1) 화물과 사람의 교류 ... 217 2) 물류 이동과 국경 도시네트워크 ... 227 Ⅵ. 동북아 지역 협력 개발과 초국경 도시네트워크 1. 두만강 개발계획과 거점도시의 출현 ... 244 2. 경제특구의 조성과 변경도시의 발전 ... 246 3. 동북진흥전략과 초국경적 협력 개발 ... 251 4. 나진-핫산 프로젝트와 해양-대륙 연계로 ... 260 Ⅶ. 결론 : 초국경 도시네트워크의 발전 전망 ... 267 참고문헌 ... 274 부록 ... 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