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지은이의 말 ... 5
서론 ... 15
1장 "아침에 도를 들으면(朝聞道)"
1. '조문석사(朝聞夕死)'의 일생 ... 23
2. 문도(聞道) - 존재인가 실천인가? ... 26
3. 세도(世道)의 자임(自任) ... 32
4. 시련과 비난 속의 형통 ... 37
2장 일생의 지향 - '직(直)' 사상
1. 우암사사의 중핵 - '직(直)' ... 49
2. 직도(直道)와 인간의 본래성 ... 54
1) 직도(直道) ... 54
2) 인간의 본래성으로서의 '직(直)' ... 61
3) 학문의 목적으로서의 '직(直)' ... 63
3. 인의(仁義)의 함양과 호연지기 ... 65
1) '직(直)'과 호연지기 ... 65
2) 야기(夜氣)와 인의(仁義) ... 68
3) 양기(養氣)의 방법 ... 70
4. 직도(直道)와 삶의 열락 ... 76
1) 공자와 안자의 즐거움 ... 76
2) 직도(直道)와 열락 ... 78
3장 퇴계ㆍ율곡에 대한 존숭과 지수(持守)
1. 퇴계ㆍ율곡ㆍ우암의 관계 ... 83
2. 퇴계에 대한 존숭과 극복 ... 86
1) 선현으로서의 인격적 존숭 ... 86
2) 우암의「퇴계사서질의의의」에 나타난 학문적 비판 ... 89
3) 물격(物格)설에 대한 비판과 대안 - 책 읽기와 길 가기의 비유 ... 93
4)『심경석의』의 문제 ... 97
3. 율곡에 대한 우암의 지수(持守)와 변통(變通) ... 105
1) 기발리승의 세계관 ... 105
2) 4서 연구 ... 108
3) 율곡의 문묘배향 - 낙발설에 대한 변명 ... 110
4)『율곡집』편찬ㆍ교정 ... 112
4. 율곡을 계ㆍ술하기 그리고 넘어서기 ... 117
4장 리기(理氣)ㆍ심성(心性)관
1. 태극(太極)과 리기(理氣) ... 121
1) 태극론은 본원극궁론 ... 121
2) 퇴계 리발(理發)설에 대한 비판 ... 124
3) 형(形)ㆍ도(道)ㆍ기(器) 삼단설(三段說) ... 126
2. 심성(心性)관 ... 132
1) '마음은 기다[心是氣]' ... 132
2) '성정일리(性情一理)'설 ... 135
3) 사단칠정합일설(四端七情合一說) ... 137
4) 천리(天理)ㆍ인욕(人欲) ... 140
5장 보원론(報怨論)과 비판사상
1. 원한에 대한 대응 원리 - 곧은 마음 ... 145
1) 분노가 일 때 어려움을 생각하라(忿思難) ... 145
2) 원한에 대해서는 공평무사한 마음으로 보응하라 ... 147
2. 치욕 씻기와 '아픔을 참고 원통한 마음 품기(忍痛含忍)' ... 151
3. 북벌의 이념 - 문명의 보존과 유지 ... 158
4. 세도(世道)의 진작과 절의의 숭상 ... 163
5. 정학(正學)의 숭상과 사설(邪說)의 식멸 ... 166
6장 석담ㆍ중봉ㆍ석실 - 우암 의리학의 연원과 후원
1. 율곡의『석담일기』정신의 승계 ... 173
1) 율곡의『춘추』:「석담일기」 ... 175
2)「석담일기」와 율곡 학통의 의발 ... 181
2. 중봉의 비왜(備倭) 대책과 그 정신 ... 184
1) 조선의 의맥(義脈) - 중봉과 우암 ... 184
2) 광언(狂言)ㆍ항의(抗義)의 상소 ... 186
3) 선우(先憂)ㆍ선견(先見)의 명찰 ... 189
4) 비왜(備倭) - 그 대의(大義)와 문명 지향 ... 194
3. 석실 대의(大義)와의 접맥 ... 201
1) 우암과 석실의 만남 ... 201
2) 석실과 우암의 대의사업 협력 ... 208
7장 통의(通義)와 시의(時宜)
1. 우암의 의리탐구와 통의(通義) ... 219
1) 편안한 의리와 통의 ... 219
2) 성리학적 명리(明理)와「호연장」연구 ... 226
2. 우암의 시의(時宜)와 의리사업 ... 236
1) 대의(大義)와 제일의(第一義) ... 236
2) 의리사업과 세도(世道)에의 영향 ... 243
8장 대립자 미수 허목의 박학적(樸學的) 정의(正義)관
1. 갈등시대 대안의 논리 모색 ... 249
2. 고경학적(古經學的) 기반 ... 253
3. 재이론적(災異論的) 정의관 ... 259
4. 춘추학적 왕통(王統) 중시의 예론 ... 262
5. 북벌과 절의 사업에 대한 비판적 인식 ... 265
9장 예론과 예송
1. 율곡학파의 예학 흐름 ... 273
2. 행도의 두 축 - 예와 의리 ... 275
1) 의맥(義脈)과 예문(禮門)에서의 수학 ... 275
2) 행도(行道)의 두 축 - 예와 의리 ... 278
3) 예는 곧 의의 실천 양식 ... 280
3.『격몽요결』(擊蒙要訣)의 예론 승계 ... 282
1)『격몽요결』은 율곡의 예서 ... 282
2)『격몽요결』의 예설에 대한 문답 ... 283
4. 예송에 비친 우암의 예론 ... 289
1) 예송의 두 층차 - 학문적 논쟁과 정치적 투쟁 ... 289
2) 기해년 예송의 우암과 윤휴, 허목의 예설 공방 ... 289
3) 양측 예설의 배경과 지향 ... 295
5. 변례(變禮)와 문답에 나타난 해석과 판단의 원칙 ... 298
1) 민신의 대복(代服) 문제 ... 298
2) 출계(出系)의 경우 ... 300
3) 개가(改嫁) 문제의 처리 ... 301
4) 변례 해석과 판단의 사례에 보이는 몇 가지 원칙 ... 302
10장 변통(變通)론과 개혁사업
1. 변통론자 우암 ... 309
1) 경장에서 변통으로 ... 309
2) 변통과 사업 ... 311
2. 성현(聖賢) 사업의 승계 ... 318
3. 포황(包荒)ㆍ빙하(憑河)의 변통 ... 323
1) 제도와 법에 대한 변통과 시의(時宜) ... 323
2) 변통에 대한 저항세력과 변통이 어려운 이유 ... 337
11장『주자언론동이고(朱子言論同異攷)』
1.『주자언론동이고』편찬의 발단과 경위 ... 345
2.『주자언론동이고』의 편찬 체재 ... 358
3. 주자 언론의 '동이(同異)'를 논하는 철학적 의미 ... 363
4. '말은 다르다 뜻은 같은 경우'의 회통 ... 365
5. 한계와 남는 느낌 ... 376
12장 우암과 화서학파
1. 우암사사의 복류(伏流)와 용출(湧出) ... 381
2. 화서학파의 우암사상 지수(持守) ... 383
1) 화서학파의 우암에 대한 계지(繼志)와 술사(述事) ... 383
2) 화서학파의 독서 ... 386
3. 화서학파의 우암학 변통 ... 389
1) 도통론의 변화 ... 389
2) 화이(華夷)론에서 정사(正邪)론으로 ... 391
3) 주리(主理)적 리기론 ... 400
4. 같은 뿌리 다른 꽃 ... 406
결론 ... 409
<B><FONT color ... #0000
참고문헌 ... 429
찾아보기 ... 437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