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총론 ... 29
1.1 서론 ... 29
1.2 분석과 전처리 ... 29
1.3 시료를 전처리할 때의 주의사항 ... 33
1.3.1 시료의 오염 ... 34
1.3.2 시료의 변질 ... 35
1.4 저분자화합물 분석용 전처리 ... 35
1.4.1 단백질 제거 ... 37
1.4.2 고상추출 ... 39
1.4.3 용매추출 ... 41
1.4.4 화학적 어피니티에 근거한 전처리 ... 42
1.4.5 생물학적 어피니티에 근거한 전처리 ... 43
1.4.6 칼럼스위칭 ... 43
1.4.7 유도체화 ... 45
1.4.8 농축ㆍ건조 ... 46
1.4.9 가수분해 ... 48
1.4.10 기타 전처리 ... 49
1.5 고분자 유기화합물의 분석용 전처리 ... 49
1.6 결론 ... 51
2장 시료전처리법의 기초 ... 53
2.1 시약 선택방식(순도, 정제법) ... 53
2.1.1 시약의 정의와 분류 ... 53
2.1.2 일반용 시약 ... 55
2.1.3 특정 용도용 시약 ... 56
2.1.4 시약의 정제 ... 57
2.1.5 시약의 취급 ... 62
2.2 물ㆍ용매의 선택방식(순도, 정제법) ... 64
2.2.1 서론 ... 64
2.2.2 물 선택법 ... 65
2.2.3 용매 선택법 ... 69
2.2.4 결론 ... 75
2.3 표준물질 ... 76
2.3.1 표준물질과 인증 표준물질 ... 76
2.3.2 고순도 표준물질과 조성 표준물질 ... 77
2.3.3 표준물질의 인증값 ... 78
2.3.4 표준물질의 추적성 서비스 ... 79
2.3.5 인증서 ... 79
2.3.6 표준물질의 선택방법 ... 80
2.3.7 순수물질 표준물질 ... 81
2.3.8 조성 표준물질(환경분석용 표준물질) ... 83
2.3.9 사람 표준물질 ... 85
2.3.10 표준물질의 데이터베이스 ... 86
2.4 실험기구 선택법(재질, 흡착, 오염) ... 87
2.4.1 서론 ... 87
2.4.2 재질 ... 87
2.4.3 용기로부터의 오염 ... 94
2.4.4 용기의 세정 ... 96
2.5 실험실ㆍ환경의 정비 ... 99
2.5.1 실험실 디자인 ... 99
2.5.2 실험실의 설비 ... 101
2.5.3 실험실의 안전ㆍ위생 ... 108
2.6 분석값의 신뢰성 ... 111
2.6.1 서론 ... 111
2.6.2 분석화학에서의 품질과 신뢰성 ... 112
2.6.3 신뢰성의 정량적 지표 '애매함' ... 115
2.6.4 화학 도량형에서의 추적성 ... 120
2.6.5 결론 ... 121
3장 시료 전처리에 이용되는 다양한 원리 ... 123
3.1 기계적 전처리 ... 123
3.1.1 분쇄, 갈아 으깨기 ... 123
3.1.2 절단 ... 127
3.1.3 진탕 ... 128
3.1.4 혼합ㆍ교반(균일화) ... 129
3.2 물리적 전처리 ... 130
3.2.1 경사법 ... 130
3.2.2 여과 ... 132
3.2.3 원심분리 ... 135
3.2.4 재결정 ... 138
3.2.5 탈수 ... 141
3.2.6 건조 ... 144
3.2.7 증류 ... 144
3.2.8 증발 ... 146
3.3 화학적 전처리 ... 147
3.3.1 세정 ... 147
3.3.2 pH 조정 ... 149
3.3.3 회화 ... 150
3.3.4 용해 ... 154
3.3.5 희석 ... 159
3.3.6 가열 ... 162
3.3.7 농축 ... 164
3.3.8 침전 ... 168
3.3.9 기포 분리 ... 171
3.3.10 용매추출 ... 173
3.3.11 고상추출 ... 182
3.3.12 초임계유체추출 ... 190
3.3.13 가스추출ㆍ가스 스트리핑 ... 194
3.3.14 향류 ... 203
3.3.15 유도체화 ... 206
3.4 생체시료의 전처리 ... 212
3.4.1 세포 파괴ㆍ동질화 ... 212
3.4.2 가용화 ... 214
3.4.3 세포 분획(초원심) ... 214
3.4.4 동결건조 ... 217
3.4.5 가수분해 ... 219
3.4.6 단백질 제거 ... 225
3.4.7 투석 ... 229
3.4.8 한외여과 ... 230
3.4.9 탈지 ... 233
3.4.10 탈염 ... 235
3.4.11 자기 비드법 ... 237
3.4.12 PCR ... 240
3.5 분리 분석법을 이용한 전처리 ... 245
3.5.1 화학적 어피니티 담체 ... 245
3.5.2 침투제한 충전제 ... 250
3.5.3 칼럼스위칭 ... 253
3.5.4 백 플러시 ... 257
3.5.5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 258
3.5.6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 261
3.5.7 전기영동 ... 263
4장 분석법에 사용되는 시료의 전처리 ... 271
4.1 조성 분석을 위한 분자 스펙트럼 분석법 ... 271
4.1.1 자외가시흡광 분석법 ... 272
4.1.2 형광 분석법 ... 276
4.1.3 인광 분석법 ... 283
4.1.4 화학발광ㆍ생물발광 분석법 ... 286
4.1.5 광음향분광법 ... 290
4.1.6 열렌즈분광법 ... 297
4.1.7 광열변환분광법 ... 300
4.1.8 레이저분광법 ... 302
4.2 구조해석을 위한 분자 스펙트럼 분석법 ... 308
4.2.1 적외분광법 ... 309
4.2.2 라만분광법 ... 314
4.2.3 근적외분광법 ... 316
4.2.4 핵자기공명 ... 318
4.2.5 전자스핀공명 ... 321
4.2.6 MS ... 324
4.2.7 광학활성측정법 ... 338
4.2.8 분말 X선회절법 ... 341
4.2.9 단결정 X선 구조해석법 ... 351
4.2.10 중성자회절법 ... 358
4.3 원소 분석ㆍ원자 스펙트럼 분석법 ... 360
4.3.1 유기원소 분석법 ... 361
4.3.2 원자흡광법 ... 365
4.3.3 ICP-AES, ICP-MS ... 371
4.3.4 형광 X선 분석법 ... 378
4.4 표면 분석법 ... 381
4.4.1 전자탐침미세 분석기 ... 382
4.4.2 X선 광전자분광법 ... 386
4.4.3 오제 전자분광법 ... 392
4.4.4 2차 이온 질량 분석법 ... 397
4.4.5 XAFS ... 404
4.5 전기화학 분석법ㆍ화학센서 ... 407
4.5.1 전기화학 분석법 ... 407
4.5.2 이온센서 ... 416
4.5.3 가스센서 ... 419
4.5.4 바이오센서 ... 422
4.5.5 수정발진자센서 ... 430
4.5.6 광학센서 ... 433
4.6 열 분석과 방사화학 분석 ... 436
4.6.1 열 분석법 ... 436
4.6.2 방사화학 분석법 ... 440
4.7 현미경 ... 445
4.7.1 광학현미경(레이저 공초점 포함) ... 446
4.7.2 투과형 전자현미경(TEM) ... 452
4.7.3 주사형 전자현미경(SEM) ... 462
4.7.4 분석 전자현미경(AEM) ... 470
4.7.5 주사형 터널현미경(STM) ... 473
4.7.6 원자간력현미경(AFM) ... 477
4.8 크로마토그래피 및 관련 분석법 ... 478
4.8.1 HPLC ... 479
4.8.2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 489
4.8.3 향류 크로마토그래피 ... 495
4.8.4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 500
4.8.5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 522
4.8.6 장 흐름 분획법 ... 525
4.8.7 흐름주입 분석법 ... 529
4.9 전기영동 ... 536
4.9.1 겔 전기영동 ... 537
4.9.2 캐필러리 전기영동 ... 545
4.9.3 마이크로칩 전기영동 ... 551
4.10 생물학적 분석법 ... 554
4.10.1 면역 분석(법) ... 555
4.10.2 효소적 분석법 ... 564
4.10.3 생물검정(법) ... 570
4.10.4 DNA 분석법 ... 576
5장 시료별 전처리법 ... 587
5.1 생체시료 ... 587
5.1.1 혈액시료(혈청, 혈장, 혈구) ... 587
5.1.2 뇨시료 ... 668
5.1.3 장기 ... 674
5.1.4 근육 ... 683
5.1.5 피부 ... 686
5.1.6 지방조직 ... 688
5.1.7 타액 ... 691
5.1.8 위액 ... 693
5.1.9 골수액 ... 696
5.1.10 땀 ... 698
5.1.11 유즙 ... 700
5.1.12 모발 ... 702
5.1.13 손톱, 치아, 뼈 ... 706
5.1.14 토사물 ... 711
5.1.15 기타 ... 714
5.2 의약품시료 ... 715
5.2.1 제형별 전처리 ... 715
5.2.2 생체시료 중의 의약품 분석 ... 735
5.2.3 생약 ... 749
5.3 향장품 시료 ... 760
5.3.1 화장품 원료의 시험 및 전처리 ... 764
5.3.2 향장품의 계통적 분석 ... 770
5.3.3 시판 화장품의 특정성분 분석 ... 770
5.3.4 치약 유효성분의 품질관리를 위한 로봇을 이용한 자동 전처리 ... 774
5.4 식품시료 ... 782
5.4.1 주요 성분 ... 782
5.4.2 미량성분 ... 796
5.4.3 기타 ... 814
5.5 물시료 ... 845
5.5.1 무기 ... 845
5.5.2 유기 ... 852
5.6 대기시료 ... 867
5.6.1 무기 ... 867
5.6.2 유기 ... 872
5.7 자동차ㆍ배출가스 ... 884
5.7.1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 884
5.7.2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계측을 위한 전처리 ... 885
5.7.3 자동차 배출가스 채취설비 ... 886
5.7 4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계측의 화학 분석단계의 전처리기술 ... 889
5.8 토양ㆍ저질시료 ... 901
5.8.1 무기 ... 901
5.8.2 유기 ... 906
5.9 암석시료 ... 917
5.9.1 무기 ... 917
5.9.2 유기 ... 923
5.10 향료 ... 925
5.10.1 향료에 대해 ... 925
5.10.2 전처리방법 ... 927
5.10.3 실제 응용 예 ... 931
5.10.4 결론 ... 933
5.11 천연고분자 ... 934
5.11.1 목재ㆍ펄프ㆍ종이 ... 934
5.11.2 천연섬유 ... 940
5.12 유기합성 고분자 ... 943
5.12.1 중합체의 분석 ... 944
5.12.2 첨가제의 분석 ... 960
5.12.3 개별 재료별 특유의 전처리ㆍ분석법 ... 964
5.13 전자재료 ... 970
5.13.1 유기 분석 ... 970
5.13.2 무기 분석 ... 974
5.13.3 표면ㆍ국소 분석 ... 979
5.13.4 결론 ... 984
5.14 반도체ㆍ프로세스재료 ... 985
5.14.1 무기 ... 985
5.14.2 유기 ... 992
5.15 철강재료 ... 999
5.15.1 시료용액의 조제방법 ... 999
5.15.2 산에 의한 분해 ... 1000
5.15.3 융해법에 의한 분해 ... 1003
5.15.4 철강시료의 분해 ... 1004
5.15.5 분리법(또는 마스킹법) ... 1005
5.16 비철금속재료 ... 1020
5.16.1 시료의 분해 ... 1021
5.16.2 분리 ... 1027
5.17 세라믹스 ... 1039
5.17.1 종래의 세라믹스 ... 1040
5.17.2 파인세라믹스 ... 1042
5.18 유리시료 ... 1051
5.18.1 절단, 파쇄, 분쇄 ... 1051
5.18.2 용기, 치구 ... 1052
5.18.3 분해조작 ... 1054
5.18.4 표면관찰 ... 1056
5.19 시멘트ㆍ무기시료 ... 1057
5.19.1 시멘트 ... 1057
5.19.2 석고 ... 1058
5.19.3 석회(공업용 석회) ... 1059
5.19.4 연삭재 ... 1060
5.19.5 내화물 ... 1062
6장 최신의 전처리기술 ... 1065
6.1 가속 용매 추출법 ... 1065
6.1.1 서론 ... 1065
6.1.2 ASE법의 원리와 순서 ... 1065
6.1.3 ASE법의 특징과 이용 예 ... 1067
6.2 난류 크로마토그래피 ... 1068
6.2.1 서론 ... 1068
6.2.2 원리와 특징 ... 1069
6.2.3 장치 ... 1070
6.3 고상 마이크로추출(SPME) ... 1072
6.3.1 SPME법의 특징 ... 1073
6.3.2 SPME 유닛의 구조와 조작ㆍ순서 ... 1074
6.3.3 SPME의 원리와 최적화 ... 1076
6.3.4 SPME섬유의 종류와 선택 ... 1078
6.3.5 GC 및 HPLC에 대한 응용 ... 1078
6.4 스터바추출 ... 1079
6.4.1 서론 ... 1079
6.4.2 SBSE법의 원리와 특징 ... 1079
6.4.3 응용 ... 1083
6.5 전처리 로봇 ... 1085
6.5.1 자동화하는 목적ㆍ장점 ... 1085
6.5.2 자동화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 1085
6.5.3 XYZ프로브 이동형 액체조작로봇 ... 1086
6.5.4 마이크로 플레이트 가반형 액체조작로봇 ... 1088
6.5.5 결론 ... 1089
6.6 마이크로파장치 ... 1090
6.6.1 마이크로파란? ... 1090
6.6.2 마이크로파와 물질 ... 1091
6.6.3 간접 가열과 직접 가열 ... 1093
6.6.4 공업용 전자렌지의 필요조건 ... 1094
6.6.5 응용범위 ... 1095
부록 ... 1101
1. SI 단위 ... 1101
2. 물리상수 ... 1109
3. 용매강도ㆍ혼합표 ... 1110
4. 전처리에 참고가 되는 홈페이지 ... 1116
찾아보기 ... 112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