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4 프롤로그 ... 14 농업사회 편 제1장 고대 로마 ... 31 정치적 요인; 중앙집권적 권력의 강화 ... 33 1. 정치적 안정성 ... 34 로마공화정의 한계 ... 34 로마제정의 등장과 정치적 안정화 ... 39 2. 정치 엘리트의 가치관 ... 44 공화주의적 이상 ... 44 새로운 지배 이념의 형성 ... 46 3. 법과 제도 ... 48 로마법의 발전과 시민권 정책 ... 48 관료제의 발달 ... 50 사회적 요인; 위계질서의 확립 ... 52 1. 사회계층 구조 ... 54 공화정기 ... 54 제정기 ... 56 2. 규모의 경제 ... 58 토지의 규모 ... 58 노동력의 규모 ... 61 3. 가족과 친족 관계 ... 63 가족제 ... 63 후견제 ... 64 문화적 요인; 실용과 근검 ... 66 1. 과학기술과 교육 ... 67 실용 기술과 학문의 발전 ... 67 고대의 교육 ... 69 2. 이데올로기와 종교 ... 71 초자연주의와 인간중심주의 ... 71 기독교 ... 73 3. 민족성과 생활양식 ... 76 절제의 이상 ... 76 실용의 이상 ... 77 제2장 중세 봉건 유럽 ... 79 정치적 요인; 봉건적 영주권의 강화 ... 82 1. 정치적 안정성 ... 84 봉건제 성립의 정치적 배경 ... 84 봉건제의 성립 ... 86 봉건제, 정치적 안정성인가 불안정성인가? ... 88 2. 정치 엘리트의 가치관 ... 90 호전성 ... 90 기사도 ... 92 성스러움 ... 94 3. 법과 제도 ... 96 주종제 ... 96 재판 영주제 ... 97 사회적 요인; 봉건적 위계질서의 확립 ... 99 1. 사회계층 구조 ... 100 '세 위계'의 사회 ... 100 사회적 갈등의 분출 ... 103 2. 규모의 경제 ... 108 대토지 소유제와 농업경영 ... 108 개간 사업 ... 110 3. 가족과 친족 관계 ... 113 귀족의 세습권 ... 113 농민 가족과 친족 유대 ... 114 문화적 요인; 신앙의 시대 ... 116 1. 과학기술과 교육 ... 117 기술혁신 ... 117 중세의 교육 ... 121 2. 이데올로기와 종교 ... 124 교회의 역할 ... 124 교회의 쇠퇴 ... 126 3. 민족성과 생활양식 ... 128 보편주의 ... 128 민족주의 ... 130 소결 ... 132 상업사회 편 제3장 근대 초기 유럽 상업사회 ... 137 정치적 요인; 근대국가의 발전 ... 140 1. 정치적 안정성 ... 142 절대왕정 ... 142 근대국가의 발전 ... 148 2. 정치 엘리트의 가치관 ... 151 중상주의 ... 151 현실주의 ... 155 3. 법과 제도 ... 160 근대국가의 법적 혁신 ... 160 근대국가의 정치적 혁신 ... 162 사회적 요인; 위계질서와 사회적 유동성의 공존 ... 167 1. 사회계층 구조 ... 168 신분제적 위계질서의 잔재 ... 168 사회적 유동성의 증대 ... 170 2. 규모의 경제 ... 173 자본과 국가의 결합 ... 173 토지의 집중 ... 176 네덜란드 상업과 해운업, 규모의 경제와 생산 효율 ... 177 3. 가족과 친족 관계 ... 178 핵가족제의 발전 ... 178 여성의 사회참여 ... 179 문화적 요인; 과학혁명, 프로테스탄티즘, 초기 민족주의 ... 181 1. 과학기술과 교육 ... 183 과학혁명 ... 183 기술혁신과 군사혁명 ... 185 2. 이데올로기와 종교 ... 188 종교개혁 ... 188 종교와 국가의 관계 ... 190 3. 민족성과 생활양식 ... 193 모험심과 실리주의 ... 193 근대 초기 민족주의의 발전 ... 197 소결 ... 203 산업사회 편 제4장 선발 산업국, 영국과 미국 ... 209 정치적 요인; 민족국가의 발전 ... 212 1. 정치적 안정성 ... 214 혼돈에서 질서로 ... 214 이상적 정체의 추구 ... 216 민족국가, 근대국가의 최고ㆍ최후 형태 ... 218 2. 정치 엘리트의 가치관 ... 221 자유로운 국민의 이념 ... 221 제국주의 ... 223 엘리트주의 ... 225 3. 법과 제도 ... 228 소유와 경쟁 ... 228 경제 발전을 장려하는 국가 활동 ... 235 사회적 요인; 사회적 유동성의 증대 ... 241 1. 사회계층 구조 ... 243 용어의 정의 ... 243 계급의 구조 ... 244 사회적 역량 ... 250 2. 규모의 경제 ... 252 영국의 개인적 자본주의 ... 252 미국의 경쟁적 경영자본주의 ... 254 3. 가족과 친족 관계 ... 257 가족 중심의 개인주의 ... 257 '젠더화된' 사회 ... 259 문화적 요인; 자본주의적 경제 문화의 창출 ... 262 1. 과학기술과 교육 ... 265 기술 중심주의 ... 265 기술 교육 ... 267 2. 이데올로기와 종교 ... 270 프로테스탄티즘 ... 270 공리주의와 자유방임주의 ... 273 민족주의 ... 275 3. 민족성과 생활양식 ... 278 실용주의 ... 278 미국주의 혹은 미국적 생활양식 ... 279 제5장 후발 산업국, 독일과 이탈리아 ... 283 정치적 요인; 지각한 민족국가 ... 286 1. 정치적 안정성 ... 288 분열에서 통일로 ... 288 파시즘과 유럽 공동체 사이의 민족국가 ... 291 2. 정치 엘리트의 가치관 ... 297 보수주의 ... 297 제국주의 ... 301 새로운 정치 엘리트층의 형성 ... 303 3. 법과 제도 ... 306 자본주의 발전을 위한 법적 전제들 ... 306 경제 발전을 장려하는 국가 활동 ... 308 사회보장제도 ... 309 사회적 요인; 경제 발전과 사회통제의 결합 ... 313 1. 사회계층 구조 ... 315 독특한 용어들 ... 315 계급의 구조 ... 316 2. 규모의 경제 ... 322 독일의 협동적 자본주의 ... 322 3개의 이탈리아 ... 325 국가의 사회간접자본 투자 ... 326 3. 가족과 친족 관계 ... 328 가족 기업 ... 328 여성해방 ... 329 문화적 요인; 민족의 훈육 ... 331 1. 과학기술과 교육 ... 333 인문주의와 과학기술 ... 333 기술 교육 ... 336 2. 이데올로기와 종교 ... 339 민족주의 ... 339 생산주의 ... 345 3. 민족성과 생활양식 ... 347 소결 ... 353 에필로그 ... 356 주석 ... 361 참고문헌 ... 371 찾아보기 ... 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