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3 제1장 서설: 근대 공민사회 동서 전파의 이론적, 역사적 틀 1. 책의 주제 ... 19 2. 근대의 구도에 대한 기존의 규정 노력 ... 21 3. 외부로부터의 전파의 영향을 고려하는 확대된 틀 ... 24 4. 종교와의 관계에 있어 고대 중국과 그리스의 인본주의 비교 ... 27 5. 명가(名家)적 논리주의의 상이한 운명 ... 30 6. 신성과 결합한 이성이 말하는 도덕률에 따르는 통치인 예치 ... 34 7. 예치의 지향 속 자유 관념을 대동하고 발전해 간 근대 공민사회 ... 36 8. 신성이 이성을 껴안지 않는 구도 속 고대 그리스-로마의 자유 부재 ... 41 9. 오히려 기독교 전통 쪽에 내포된 잠재적 자유 ... 44 10. 신성이 세속적 권력을 방임하게 된 서구 중세 ... 46 11. 중국으로부터의 문화충격에 의한 근대로의 방향 선회 ... 49 12. 근대 정치학 및 경제학과 함께 수립된 기독교적 예치의 틀 ... 52 13. 책의 편성 ... 55 제2장 유교의 예치와 근대 공민사회의 지향 및 자유의 관념 1. 논의될 내용 ... 61 2. 국가종교에 공자가 세속적 도덕률을 담아 출범시킨 유교 ... 62 3. 공자가 말하려고 했던 것의 사회적 함의 ... 65 1) 공자 가르침의 사회적 함의를 효과적으로 판단하는 방법 ... 65 2) 유교 전통이 출범할 즈음의 중국사회의 발전 상태 ... 66 3) 신성과 이성이 공존하는 지적 환경에서 둘을 하나의 국가종교로 결합 ... 69 4) 그러한 국가종교하에 군주를 이끌어 백성을 보살피는 비판적 지식인 ... 71 4. 임금과 신하가 역할분화해 함께 지켜야 할 국헌인 예 ... 74 1) 권력욕이 아니라 하늘의 도인 예에 따라 옳은 통치를 해야 하는 임금 ... 74 2) 신하가 임금을 이끄는 길로서의 왕도가 의미하는 입헌군주정 ... 80 3) 입헌적 군신유의(君臣有義), 신하의 패도를 배제하는 군위신강(君爲臣綱) ... 83 4) 봉건적 세습신분 대신 입헌적 군주하의 관료제적 직분 강조 ... 86 5. 충(忠)의 정확한 의미 ... 88 1) 임금에의 복종이 아닌 임금의 선도를 의미하는 충(忠) ... 88 2) 임금에의 공순(恭順)이 아닌 임금의 선도를 강화하는 효와 충의 관계 ... 90 3) 입헌적 군주에 대한 선비 집단 자신의 정당방위로서의 충 ... 92 6. 민본주의 ... 93 1) 예와 민본주의와 인(仁) ... 93 2) 평민 출신 지식인 엘리트에 의한 선발 민주주의 ... 95 3) 농본주의 ... 98 7. 법치를 내포한 예치 ... 102 8. 국가에 대해 자율적인 사회에의 지향 ... 105 1) 국가 안팎의 선비가 함께 도출하는 자율적 공민사회 ... 105 2) 예를 통한 사회적 유대의 자율적 공민사회에의 추가적 역할 ... 106 3) 공민사회 자치의 원리 ... 109 9. 대동 대 소강 대비가 자율적 공민사회에 대해 지니는 함의 ... 113 10. 노자 사상과의 관계 ... 120 11. 자유의 관념 ... 123 1) 군주로 하여금 도덕률을 따르게 함으로써 국민의 삶을 지키려는 지향 ... 123 2) 불구속과 도덕률 이행 ... 126 3) 불구속을 지향하는 노자의 사상과 유교 자유 관념과의 관계 ... 127 4) 외적 힘에 구속받지 않고 도덕률을 실행할 수 있는 역량 ... 129 5) 공자가 생을 결산하면서 토로한 자유의 희열감 ... 134 12. 조율적 개인주의 ... 136 제3장 주자학의 발전과 근대 공민사회의 역사 속 구현 1. 신유학의 발전 ... 145 1) 법가에 의해 박해받았다가 한 대에 국교가 된 유교 ... 145 2) 불교와의 상호작용으로 하늘의 도를 이(理)로 부른 송 대 신유학의 발전 ... 147 3) 하늘이 세계를 주재하는 "몸"이지만 하늘 자체는 결코 아닌 이(理) ... 149 4) 이(理)와 기(氣)의 개념 쌍을 사용하는 과학적 사유 체계 ... 152 5) 경험적 연구를 병행해야 한다는 주자와 이성의 궁구로 족하다는 육구연 ... 154 6) 양명학적 관점의 평가 ... 157 7) 개인적 공간 속에서의 종교적 수양 ... 160 8) 예치, 자유, 근대 공민사회 등의 지향에 대한 심화작용 ... 162 2. 인간애로서의 인(仁) 개념에 이성과 함께 관련되는 감정 ... 167 3. 근대 공민사회의 중국 역사 속 구현 ... 170 1) 예치의 원리에 따라 근대 공민사회를 구현해 간 제도화의 과정 ... 170 2) 입헌적 군주로의 예 자체에 의한 통제와 간쟁의 제도화 ... 173 3) 상소와 경연의 제도화 ... 175 4) 정부 업무분장의 합리적 체계화를 통한 군주와 관리 모두의 기술적 통제 ... 179 5) "견제와 균형"의 원리에 의한 관리의 통제 ... 182 6) "견제와 균형"의 최적화를 위한 동적 과정 및 감찰에 의한 관리 통제 ... 186 7) 과거고시의 발달과 사대부의 범사회적 엘리트로의 자리 잡음 ... 188 8) 사대부가 지역사회의 자치에 기여한 모습들 ... 190 9) 송 대에 활짝 피어난 근대 공민사회 ... 193 4. 칠백여 년 만에 빛을 본 한 유태계 이태리 상인이 남긴 추가 증언들 ... 197 1) 송 대 세계 최대의 무역항 자이툰의 방문기 ... 197 2) 세계 모든 지역에서 온 무수한 상인 및 도처에 있던 거류민 구역들 ... 199 3) 자유 무역항으로 지정하게 만든 자유 무역 사조 ... 201 4) 관리들의 입회하에 사대부와 상인이 매월 갖던 정기 정책 회의 ... 203 5) 백성 앞 대토론회에서 노자를 앞세운 상인들의 자유주의적 도발 ... 206 6) 페미니즘, 그것도 전면적인 페미니즘의 대두 ... 209 7) 중국의 황금기였던 송 대 이후 이민족들의 중국 정복에 따른 부침 ... 212 제4장 과학기술, 경제, 사회계층적 근대의 동에서 서로의 확산 1. 과학기술적 근대의 동에서 서로의 전파 ... 219 2. 인도와 이슬람권의 기여 ... 222 3. 경제적 형태의 동에서 서로의 확산 ... 225 4. 인도양 항로를 통한 교역 확대 속 계속된 중국 우위 ... 228 5. "유럽의 중국"이 되려는 열망이 낳은 중상주의 사조 ... 231 6. 중국의 경제 자체에 대한 학습이 영국에 귀결시킨 자본주의 ... 234 7. "다원적 근대론"의 한계와 "중국 중심 세계체계론"의 허점 ... 236 8. 사회계층적 근대의 동에서 서로의 전파 ... 239 9. 지식인이 이끄는 개방적 계층체계의 서구 도래 ... 242 10. 베버의 동서 지식인 엘리트 비교 ... 245 11. 법치를 품은 예치적 소양의 선비가 발전시킨 합리적 관료제 ... 248 제5장 이성 숭앙 및 예치의 서구에의 전파와 재현 과정 개관 1. 그리스 인문주의 서구 흡수가 이성에 부여한 신앙의 보조적 역할 ... 253 2. 르네상스 시기에도 유지된 신성과 이성의 간극 ... 255 3. 리치 신부를 위시한 가톨릭 선교사들의 전례논쟁(典禮論爭) ... 258 4. 가톨릭교회의 전례논쟁이 서구 세속적 지성계에 준 충격 ... 265 5. "공화정 같은 군주정"이라는 새 모형 ... 270 6. 유교에 고취되어 나타난 신성과 이성의 연계로서의 "이신론" ... 272 7. 유교 영향의 인정과 함께 종종 표출되는 서구적 자기방어 기제 ... 275 8. 자유 및 근대 공민사회에 명칭과 이론을 부여한 서구 ... 278 9. 유교의 충격에 의한 데카르트의 서구 근대 철학 창시 ... 280 1) 리치가 비평했던 주자학 이(理) 위상의 수용 ... 280 2) 유교로부터 받은 영향에 대한 데카르트 자신의 간접적 시사 ... 283 3) 외생적 충격이 서구에 가능케 한 신과 이성의 연계 ... 287 4) 주자학과 데카르트 철학의 좀더 세밀한 상동(相同) 관계 ... 288 10. 서구 근대 철학의 계속적 발전 추동으로 이성 위상의 공고화 ... 290 1) 합리론과 경험론 전통 모두에 계속 유교의 영향이 작용한 맥락들 ... 290 2) 스피노자 ... 292 3) 라이프니츠 ... 294 4) 볼프 ... 300 제6장 로크와 케네가 정치학과 경제학으로 표현한 기독교적 예치 1. 리치 신부의 예에 의한 통제 기제 및 발달한 예의범절 관찰 ... 307 2. 라이프니츠가 시사한 중국사회를 자율적으로 엮는 예절의 역할 ... 313 3. 영국 공민사회 발전의 내생적 자원과 그 한계 ... 317 4. 웹이 찰스 2세에게 올린 예치의 "상소" ... 319 1) 기독교와 뿌리가 동일시된 유교의 순정한 도덕률에 기반한 이상사회 ... 319 2) 유교가 발전시켜 낸 입헌군주정을 영국이 가야할 길로 제시 ... 323 3) 국가 이전의 상태로서의 자연상태에 대한 긍정적 시각의 노정 ... 327 5. 명예혁명을 위해 네덜란드 "공화정 같은 군주정"에서 온 군주 ... 330 6. 예치를 체계적 이념으로 수립한 로크 ... 333 1) 내생적 요소들과 섞인 입헌군주정이라는 당위적 틀의 이념적 체계화 ... 333 2) 주자학의 영향을 받아 인식론적으로 격상된 이성의 활용 ... 337 7. 신이 준 이성에 따르는 자연상태의 질서와 공민사회의 자율성 ... 339 1) 신이 인간에게 심어 준 이성의 법 ... 339 2) 신이 준 이성의 법인 자연법에 따라 자발적인 질서를 이루는 자연상태 ... 342 3) 공민사회의 자율성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자연상태 개념 ... 344 8. 유교의 대동/소강 대비에 상응하는 로크의 자연상태/공민사회 ... 347 9. 도덕률을 지키는 공민사회의 자율성 위의 자유 개념 개창 ... 351 1) 근대적 공민사회의 개념 사용과 자유 개념 개창 ... 351 2) 도덕률이라는 관건적 요소를 갖춘 자유 개념의 탄생 ... 353 3) 유교 자유 관념에 해당하는 공식적 개념의 수립 ... 355 10. 모든 점이 유교의 자유 관념과 합치하는 로크의 자유 개념 ... 357 1) 자유와 자율적 공민사회 사이에 있는 표리관계의 측면 ... 357 2) 도덕률을 위배하지 않는다는 자유의 관건적 조건의 측면 ... 359 3) 자신의 의사에 따르는 자유의 측면 ... 361 11. 제도화에서도 유교의 자유 관념과 합치하는 로크의 자유 개념 ... 363 1) 도덕률의 소양을 갖춘 관리에 의한 국가 운영의 강조 ... 363 2) "견제와 균형"으로 도덕률에 따르는 통치의 확보 모색 ... 366 3) 언로를 통한 군주와 정부의 통제 추구 ... 367 12. "기독교적 예치"의 원형 창출 ... 370 13. 케네가 유교적 연원의 경제적 자유 개념으로 일으킨 경제학 ... 373 14. 자연법 개념의 유교적 의미치환 명언 ... 378 15. 도덕률로서의 자연법을 따르는 자유 ... 382 16. 유교 예치와 간쟁의 자유 찬양 ... 384 17. 청조의 부정적 모습까지 감안하여 국가우선적 공민사회에 작용 ... 387 18. 유교 농본주의를 중농주의로 강화 ... 391 19. 케네가 작성한 최초의 체계적 국가 경제 분석 도식인『경제표』 ... 394 20.『경제표』 위에 케네를 "유럽의 공자"로 받든 중농주의 학파 ... 397 제7장 애덤 스미스가 원형에 더 가깝게 확충한 기독교적 예치 1. 애덤 스미스가 집성한 다각적인 유교적 영향 ... 405 2. 애덤 스미스 사상의 큰 틀을 담고 있는『도덕감정의 이론』 ... 407 3. 신이 준 인간의 정신이 인식하는 도덕률과 공민사회의 자율성 ... 409 4. 도덕적 사회를 유지하는 승인이라는 기제와 "공정한 관객" ... 413 5. 유교와 더욱 가깝게 이성과 더불은 감정의 도덕률 구현 작용 강조 ... 416 6. 스미스와 많은 동시대인이 맹자의 영향을 받아 중시한 공감 ... 419 7. 이기심이라는 "보이지 않는 손"의 역설적 결과에 대한 짧은 언급 ... 423 8. 쾌락주의와 다른 도덕적인 현세적 행복의 "즐거움" 대 "괴로움" ... 428 9. 스토아학파의 "영혼의 조화" 추구 평가와 "냉담성" 비판 ... 431 10. 가까운 인간관계의 중요성을 유교에서와 같이 강조 ... 434 11. 스스로도 언급하는 중국적 연원들 위에 확충한 기독교적 예치 ... 438 12.『도덕감정의 이론』의 연장선상에서 쓴 경제학 역저 『국부론』 ... 443 13. "국민국가들의 부"를 탐구하는 정치가의 학문으로 경제학을 규정 ... 447 14. 케네의 확충적 계승 ... 451 15. 국가에 대해 자율적인 공민사회의 명언과 경제적 자유 천명 ... 454 16. 이기심 역할의 강조 속 일부 이기심의 통제 필요성 노정 ... 456 17. 스미스가 무위(無爲) 사상을 표현하였다는 근래 서구인의 주장 ... 460 18. 예치의 구도 속에서 의미가 경신되는 "무위"와 "자연" ... 464 19. "보이지 않는 손"으로서의 이기심이 일차적 원리인 경제 ... 467 20. 중용적 접근법의 유지 ... 470 21. 자본가의 이익에 오도되어 자리 잡는 독점의 폐해 비판 ... 474 22. 노동가치설과 민본주의 ... 478 23. 유교적 자연질서에서 온 자연가격의 개념과 시장가격의 관계 ... 482 24. 가격으로 환산할 수 없는 가치의 차원 성찰 ... 486 25. 가치 성찰의 유교적 연원 ... 489 26. 자본주의를 품은 근대 공민사회를 위한 기독교적 예치의 확충본 ... 492 맺음말 ... 499 참고문헌 ... 505 찾아보기 ... 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