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피트니스와 웰니스의 이해 = 1 웰니스란 무엇인가? = 2 웰니스의 6가지 구성요소 = 2 웰니스 구성요소들의 상호작용 = 4 국가의 웰니스 목표 = 5 운동이란? 왜 해야만 하는가? = 5 운동은 신체활동의 한 종류 = 6 신체활동의 다양한 건강 효과 = 6 건강-관련 체력을 위한 운동과 신체활동 = 9 심폐 지구력 = 10 근력 = 10 근지구력 = 10 유연성 = 10 신체조성 = 10 건강한 행동의 선택 = 11 변화 모형의 단계 = 11 행동 변경 = 13 습관의 평가 = 13 행동 변화의 장애물 파악 = 14 건강하지 못한 행동의 변화 = 14 신체활동 증가를 위한 샘플 프로그램 = 16 실습 1.1 생활방식 평가 목록 = 18 실습 1.2 행동의 변화 = 21 실습 1.3 병력 점검 = 22 실습 1.4 Par-Q and You = 23 실습 1.5 피트니스 관련 제품의 평가 = 24 2 건강과 체력을 위한 운동의 일반적 원리 = 25 체력 향상을 위한 운동 트레이닝의 원리 = 26 과부하의 원리 = 26 진전의 원리 = 27 특정성의 원리 = 27 회복의 원리 = 28 가역성의 원리 = 29 운동 프로그램의 설계 = 30 목표 설정 = 30 신체활동의 선택 = 32 준비운동의 중요성 = 32 주운동 = 32 정리운동의 중요성 = 32 개인별 운동처방 = 33 운동의 건강 효과 : 어느 정도의 운동이면 충분한가? = 34 신체활동에 대한 장벽 제거 = 35 실습 2.1 준비운동 = 38 실습 2.2 어떤 신체활동이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가? = 39 실습 2.3 만보기를 사용하여 걸음 수를 측정 = 40 실습 2.4 신체활동에 대한 장애물 파악 = 41 3 심폐 지구력 : 평가 및 처방 = 43 일상생활에서의 심폐 지구력 필요성 = 44 심폐 지구력과 심혈관계 = 44 심혈관계 = 44 호흡계 = 45 운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어떻게 얻는가? = 45 무산소 에너지 생산 = 47 유산소 에너지 생산 = 47 에너지 연속체 = 47 운동과 트레이닝으로 심폐계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가? = 48 운동에 대한 반응 = 48 운동에 대한 적응 = 48 신체조성 = 50 심폐 지구력의 건강 효과는 어떤 것인가? = 50 심폐 지구력의 평가 = 51 유산소 운동 프로그램의 설계 = 52 준비운동 = 52 주운동 = 52 정리운동 = 56 개인별 운동처방 작성 = 56 초기 체력 단련 단계 = 56 향상 단계 = 57 유지 단계 = 58 트레이닝 기법 = 59 크로스 트레이닝 = 59 인터벌 트레이닝 = 60 활동적이 되도록 어떻게 동기 부여할 수 있는가? = 61 심폐 트레이닝을 위한 샘플 운동처방 = 61 실습 3.1A 심폐 체력 측정 : 1.5마일 달리기 검사 = 67 실습 3.1B 심폐 체력 측정 : 1마일 걷기 검사 = 68 실습 3.1C 최대하 자전거 검사 = 69 실습 3.1D 심폐 체력 측정 : 스텝 검사 = 71 실습 3.2 장애자를 위한 심폐 체력 평가 = 72 실습 3.3 목표 심박수 결정 = 73 실습 3.4 개인별 운동처방 작성 = 74 4 근력과 근지구력 향상 = 75 일상생활에서의 근력과 근지구력 필요성 = 76 근육은 어떻게 작용하는가 : 근육의 구조와 기능 = 77 근육의 구조 = 77 근육의 기능 = 77 근육 운동과 근육 작용 = 78 근섬유의 유형 = 80 근섬유 유형의 개인별 차이 = 81 운동 동안의 근섬유 동원 = 81 근력 = 81 근력과 근지구력의 평가 = 83 근력과 근지구력 프로그램 설계 원리 = 83 점진적 저항운동 = 83 트레이닝 특정성 = 84 근력 트레이닝 : 신체는 어떻게 적응하는가 = 84 웨이트 트레이닝에 따른 생리적 변화 = 84 웨이트 트레이닝에 따른 근력 향상의 속도 = 84 웨이트 트레이닝에 대한 반응에서의 남녀 차이 = 84 근력 증가를 위한 트레이닝 프로그램 설계 = 85 안전 조치 = 85 웨이트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종류 = 86 웨이트 트레이닝을 위한 운동처방 = 87 웨이트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시작과 지속 = 89 개인별 운동처방 작성 = 89 근력 유지를 위한 동기 부여 = 90 웨이트 트레이닝을 위한 샘플 운동처방 = 90 실습 4.1 근력 평가 : 1RM 검사 = 102 실습 4.2 근력 평가 : 추정된 1RM 검사 = 105 실습 4.3 자신의 진전을 확인 = 108 실습 4.4 근지구력 측정 : 푸시-업(push-up) 검사와 컬-업(curl-up) 검사 = 109 실습 4.5 코어 근력과 안정성 측정 = 112 5 유연성 향상 = 113 일상생활에서의 유연성 필요성 = 114 유연성 : 근육, 관절, 스트레칭 = 114 동작의 구조적 한계 = 114 스트레칭과 신장반사 = 115 유연성의 유익함 = 116 관절 건강 유지 = 116 요통 예방 = 117 나쁜 자세 예방 = 118 유연성 평가 = 118 유연성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설계 = 119 정적 스트레칭 = 120 고유감각 신경근육 촉진 = 121 수동적 스트레칭과 능동적 스트레칭 = 122 유연성 유지를 위한 동기부여 = 123 유연성을 향상을 위한 운동처방의 보기 = 124 실습 5.1 자세 평가 = 136 실습 5.2 유연성 평가 : 몸통 유연성[앉아 윗몸 굽히기(sit and reach)] 검사와 어깨 유연성 검사 = 138 실습 5.3 유연성 진전 일지 = 140 실습 5.4 요통 감소 및 예방을 위한 스트레칭 = 141 6 신체조성 = 143 신체조성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 144 신체조성은 건강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 = 144 미국에서의 과체중과 비만 = 146 과체중 및 비만과 연관된 만성질환 = 149 건강한 체중의 정신적, 신체적 유익함 = 149 지나치게 적은 양의 신체지방 = 150 신체조성 평가 = 152 현장 측정법 = 152 실험실 측정 = 154 이상 체중의 결정을 위한 신체조성 활용 = 156 행동 변화 : 목표 설정과 규칙적인 평가 = 157 실습 6.1 신체조성 평가 = 160 실습 6.2 건강 체중의 결정 = 166 7 종합적인 체력 및 웰니스 계획 작성 = 169 개인적인 체력 단련 계획의 작성 단계 = 170 1단계, 목표 설정 = 170 2단계, 체력 프로그램의 운동 선택 = 171 3단계, 주간 운동 일정 작성 = 172 4단계, 자신의 진전을 관찰 = 173 체력 트레이닝 구성요소의 결합 : 고려해야 할 점 = 174 체력 프로그램의 실행 = 175 나이 증가에 따른 운동처방의 조정 = 176 웰니스 계획을 발달시키기 위한 단계 = 176 1단계, 목표 설정 = 177 2단계, 웰니스 프로그램 작성을 위한 웰니스 개념의 선택 = 177 3단계, 웰니스를 위한 행동 변화를 계획 = 177 4단계, 진전을 추적 관찰 = 180 웰니스 계획의 실행 = 181 체력 단련을 위한 프로그램의 보기 = 182 실습 7.1 체력 단련 프로그램 서약서와 단기 체력 목표 = 185 실습 7.2 체력 단련 프로그램 서약서와 중기/장기 체력 목표 = 186 실습 7.3 체력 단련 프로그램 작성 = 187 실습 7.4 웰니스 개요 = 188 8 영양, 건강, 체력 = 191 영양이란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 = 192 어떤 것이 영양소인가? = 192 다량영양소 = 192 미량영양소 = 197 물 = 200 건강에 좋은 식사를 위한 지침은 어떤 것들인가? = 201 더 많은 과일, 채소, 전곡의 섭취 = 201 칼로리, 설탕, 알코올, 지방, 나트륨의 섭취 감소 = 202 건강한 식사를 계획하기 위한 영양권장량, MyPlate, 식품 라벨의 사용 = 203 영양에 대해 특별히 주의해야 할 점 = 207 채식주의 식사 = 208 영양이 체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 209 탄수화물을 운동 동안의 에너지로 사용 = 210 건강한 식사로 단백질 요구량을 충족 = 211 많은 양의 비타민 섭취는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지 않음 = 211 항산화제는 산화적 손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 = 211 보충제가 건강과 경기력에 유익함을 제공하는가? = 212 건강한 식단에서의 보충제의 역할 = 212 식이보충제의 규제 = 213 식품의 안전성과 관련된 문제들 = 214 식중독 = 214 식품첨가물 = 215 항생제, 호르몬, 유기농산물 = 216 방사선조사 식품(Irradiated Food) = 217 칼로리 섭취량 변화를 위한 샘플 프로그램 = 218 실습 8.1 자신의 식단 분석 = 222 실습 8.2 건강한 식단을 위한 목표 설정 = 223 실습 8.3 새로운 식단의 설계 = 224 실습 8.4 식습관의 평가 = 225 9 운동, 음식 섭취, 체중 조절 = 227 최적 체중이란? = 228 어떠한 요인이 체중 관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 229 유전적 요인과 호르몬 = 229 환경적 요인 = 229 에너지 균형의 개념 = 230 성공적인 체중 감소 프로그램의 설계 = 232 현실적인 체중 감소 목표 설정 = 234 식단의 평가와 변경 = 234 신체활동 계획 = 236 행동 수정에 초점 = 237 체중 증가를 위한 운동과 다이어트 프로그램 = 239 지속적인 체중 관리 = 240 체중 감소를 위한 극단의 방법 = 240 수술 = 240 처방 약물 = 241 식이장애란? = 241 신경성 식욕부진증 = 241 신경성 과식증(Bulimia Nervosa) = 242 폭식장애 = 242 실습 9.1 체지방률과 체질량지수를 사용하면서 이상적인 체중을 결정하는 방법 = 245 실습 9.2 하루 칼로리 소비량과 일주일에 1lb의 체중 감소를 가져오기 위해 요구되는 칼로리 결손의 추정 = 246 실습 9.3 체중 감소 목표와 진전 보고서 = 247 실습 9.4 신체 이미지 평가 = 248 실습 9.5 음식 섭취를 촉발시키는 것은? = 250 10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 253 심혈관계 질환이란? 그리고 어떻게 예방하는가? = 254 미국에서의 심혈관계 질환 = 254 심혈관계 질환 = 254 관상동맥질환과 관련된 위험 요인은 어떤 것들인가? = 257 주요 위험 요인 = 257 기여 위험 요인 = 261 어떻게 심장병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가 = 262 금연 = 262 혈압 감소 = 263 혈액 콜레스테롤 수준 감소 = 263 신체적으로 활동적 = 263 스트레스 수준 감소 = 264 실습 10.1 콜레스테롤 감소 계획 = 267 실습 10.2 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자신의 위험성 이해 = 270 실습 10.3 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유전적 소인의 평가 = 272 11 스트레스 관리 = 273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이란 어떤 것인가? = 274 스트레스의 정의 = 274 스트레스 반응의 생리적 변화 = 275 투쟁-도피 반응 = 276 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76 성격에 따른 행동 패턴 = 277 과거 경험 = 277 성 = 277 스트레스의 보편적 원인 = 278 스트레스와 건강 = 279 스트레스를 어떻게 관리하는가? = 280 스트레스 요인 관리 = 280 휴식과 수면 = 282 운동 = 283 긴장완화 기법의 사용 = 285 영적인 웰니스의 발달 = 286 지지망 형성 = 287 역효과를 낳는 행동 = 287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샘플 프로그램 = 288 실습 11.1 스트레스 지수 설문 = 292 실습 11.2 스트레스 일지 작성 = 293 실습 11.3 시간 관리와 우선순위 설정 = 294 실습 11.4 자신의 성격 행동 패턴 평가 = 296 12 운동 : 환경 및 특정 집단 = 297 왜 환경이 운동에 중요한가? = 298 더운 환경에서의 운동 = 299 운동 동안의 열 상실 = 299 더운 환경에서의 운동 복장 = 300 열순응(Heat Acclimation) = 301 추위에서의 운동 = 303 추운 환경에서의 체온 유지 = 303 추운 환경에서의 운동 복장 = 303 고지대에서의 운동 = 305 운동과 대기오염 = 307 대기오염의 주된 형태 = 307 대기오염에 대처하는 방법 = 307 평생 운동을 위해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점 = 308 삶의 모든 단계에서의 운동 프로그램 유지 = 308 임신 동안의 체력 단련 = 311 노년기의 체력 단련 = 312 노화의 신체적 및 정신적 변화 = 312 노인을 위한 운동처방 = 313 노인을 위한 샘플 운동처방 = 314 실습 12.1 혹독한 환경에서의 운동 = 320 실습 12.2 임신 동안의 운동 트레이닝 = 322 13 운동-관련 부상과 비의도적 손상의 예방 = 323 신체활동 증가로 인한 부상의 위험 및 원인 = 324 보편적인 부상 = 325 허리 통증 = 325 급성 근육통 = 326 지연발생 근육통 = 326 근육 좌상 = 327 건염 = 328 인대 염좌 = 328 연골 손상 = 329 보편적인 하체 부상 = 330 슬개대퇴골 통증증후군 = 330 정강이 통증 = 331 긴장골절(Stress Fracture) = 331 부상 관리 = 332 운동-관련 부상의 초기 치료 = 332 재활 = 332 비의도적 손상의 예방 = 333 비의도적 손상의 위험 요인 = 334 사고 위험을 줄이는 방법 = 334 비의도적 손상의 치료 = 335 기도폐쇄 = 335 중독 = 336 출혈 = 337 호흡이나 심장 박동이 중단된 경우 = 337 실습 13.1 운동 동안의 부상 예상 = 340 실습 13.2 유연성과 허리 통증 위험의 평가 = 341 부록 A = 343 부록 B = 345 추천 도서 = 375 참고문헌 = 381 찾아보기 = 389 저자 및 역자 = 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