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xv
역자서문 = xvii
사진제공에 대한 감사의 글 = xviii
저자에 관하여 = xxi
제1부 식물병리학 총론
제1장 서론
서언: 문제점 = 4
식물과 병 = 4
식물병의 개념 = 5
식물병의 종류 = 7
식물병리학의 역사와 고대의 주요 식물병 = 8
서론 = 8
해설1 신의 노여움으로서의 식물병 - Theophrastus = 9
해설2 겨우살이가 최초의 식물병원체로 인지되었다 = 14
해설3
자연발생의 결과로서의 식물병 = 16
문예부흥 초기의 생물학과 식물병리학 = 16
해설4 감자 역병과 아일랜드 대기근: 무지와 정치의 치명적 혼합 = 19
식물병원으로서의 균류의 역할 확장 = 21
감염성 병의 다른 원인 발견 = 23
선충 - 원생동물성 끈적균류 - 세균 - 바이러스.원생동물 - 몰리큐트 - 바이로이드 - 원인미상의 심각한 식물병 = 23
해설5 코흐의 원칙 = 26
해설6 바이러스, 바이로이드, 그리고 프라이온 = 27
식물병에 의한 손실 = 29
식물병은 식물의 양적손실과 질적손실을 일으킨다 = 29
해설7 희고, 마르고, 솜털로 덮인 포도나무밭 - 보르도액이 살려낸다! = 30
식물병은 지역의 식물상과 산업상을 제한하기도 한다 = 32
해설8 친숙한 조경수: 가고 있으며, 가고 있으며, 가 버렸다 = 32
식물병은 식물을 사람과 동물에게 유독하게 바꾸기도 한다 = 37
해설9 맥각병, 맥각중독증, 그리고 LSD: 나쁜 조합 = 37
해설10 균독소와 균독소증 = 39
식물병은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기도 한다 = 41
해설11 곤충과 병원체 연관성: 다면성과 중요성 = 42
20세기의 식물병리학 = 45
초기 발달 = 45
관찰기록기 = 45
실험연구기 = 46
원인규명기 = 46
식물병 방제법의 탐색 = 46
본격적 진보 = 47
식물병의 화학적 방제 = 47
살세균제와 살균제에 저항성인 병원균 계통의 출현 = 48
화학합성농약에 대한 대중의 관심 = 48
식물병의 대체 방제법 = 49
병발생 기작에 대한 관심 = 50
저항성과 병원성의 유전에 대한 개념 = 52
식물병의 역학이 무르익다 = 53
오늘날의 식물병리학과 앞으로의 방향 = 54
분자식물병리학 = 54
응용식물병리학의 양상 = 56
해설12 식물생명공학 - 희망과 반대 = 56
해설13 식품안전성 = 58
해설14 생물테러, 농업테러, 생물전 등. 누가, 무엇을, 그리고 왜? = 59
전문직으로서의 식물병리학의 세계적 발전 = 60
국제농업연구센터 = 60
식물병리학의 교육과 훈련 경향 = 61
식물병원 = 62
식물병리학의 실무와 실무자 = 63
전문 식물병리학자 인증 = 63
해설15 식물의학의 일부로서의 식물병리학: 식물의학박사 프로그램 = 64
작물과 사회에 대한 식물병리학의 기여 = 65
과거 및 현재의 식물병에 의한 손실의 예 = 65
식물병과 세계 작물생산 = 65
병ㆍ해충ㆍ잡초에 의한 작물 손실 = 66
농약과 식물병 = 69
식물병 진단의 기본 절차 = 71
병원체 또는 환경 = 71
전염성병 = 72
기생식물 - 선충 - 균류와 세균:균류 - 세균과 몰리큐트 = 72
바이러스와 바이로이드 - 하나 이상의 병원체에 의한 병 = 73
비전염성병 = 73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병의 진단: 코흐의 원칙 = 74
제2장 기생성과 병의 진전
기생성과 병원성 = 77
병원체의 기주범위 = 78
식물체에서 병의 발생 = 79
병진전 단계: 병환 = 80
접종 = 80
접종, 전염원의 종류, 전염원의 근원, 전염원의 전반 = 80
침입전 현상 = 82
병원체의 기주 부착, 포자 발아 및 기주표면 인식, 부착기의 형성과 성숙, 기주 - 병원체의 인식, 포자 및 종자의 발아, 선충 알의 부화 = 82
침입 = 87
식물체의 표면을 통한 직접 침입, 상처를 통한 침입, 자연개구를 통한 침입 = 87
감염 = 89
감염, 침입, 병원체의 생장과 증식: 정착 = 89
병원체의 전반 = 96
공기에 의한 전반, 물에 의한 전반, 곤충, 응애, 선충 및 다른 매개체에 의한 전반, 화분 및 종묘에 의한 전반, 사람에 의한 전반 = 96
병원체의 월동 및 월하 = 100
병환과 전염병의 관계 = 102
제3장 식물의 생리적 기능에 미치는 병원체의 영향
광합성에 미치는 병원체의 영향 = 106
기주식물체에서 물과 양분의 이동에 미치는 병원체의 영향 = 106
물과 무기양분의 상부이동 저해 = 106
뿌리의 물 흡수에 미치는 영향 = 108
물관을 통한 물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 = 108
증산에 미치는 영향 = 108
체관을 통한 유기양분의 이동저해 = 113
기주식물의 호흡에 미치는 병원체의 영향 = 115
병든 식물체의 호흡 = 117
세포막 투과성에 미치는 병원체의 영향 = 118
전사와 번역에 미치는 병원체의 영향 = 118
핵산의 전사에 미치는 영향 = 119
핵산의 번역에 미치는 영향 = 119
식물 생장에 미치는 병원체의 영향 = 119
식물의 증식에 미치는 병원체의 영향 = 121
제4장 식물병의 유전
서론 = 125
유전자와 병 - 생물체의 변이 - 변이기작 = 126
변이의 기작: 돌연변이 - 재조합 - 식물병원체 사이의 유전자확산 및 유전형확산 - 집단유전학, 유전적 부동, 선발 - 생활사 - 생식 - 교배양식 - 타가수정 - 병원체 적응도 = 129
병원체 변이의 특수기작 = 131
이핵현상 - 준유성생식 - 체세포 비친화성 - 이수성 = 131
세균에서 유성생식과 유사한 과정 및 수평적 유전자 이동 = 132
바이러스에서 유전적 재조합 = 133
배양 중 병원체의 병원력 상실 = 133
병원체의 변이단계 = 134
식물병 저항성의 종류 = 134
진정저항성 = 136
부분적, 양적, 다인자 EH는 수평저항성 - R 유전자 저항성, 단인자 EH는 수직저항성 = 136
외견상저항성 = 137
병회피 - 내병성 = 137
병원체의 병원력과 기주식물의 저항성 유전 = 139
유전자 대 유전자 개념 = 140
식물병원체의 병원성유전자 = 142
병원체의 병원성과 병원력에 관여하는 유전자 = 142
균류의 병원성 유전자: 감염구조 형성 조절 - 큐티클과 세포벽 분해 조절 - 2차대사물질 조절 - 균류 독소 조절 - 병원성 신호 전달 유전자 = 144
식물병원세균의 병원성 유전자: 식물표면에 세균부착 - 세균 분비체계 - 세포벽을 분해하는 세균효소의 병원성 - 병원성인자로서의 세균독소 - 병원성인자로서의 세포외다당류 - 세균의 조절체계 및 네트웍 - 식물신호물질의 감지 - 병원성에 관여하는 다른 세균 인자들 = 146
식물바이러스의 병원성유전자: - 외피단백질과 관련된 병원성 기능 - 바이러스의 병원성유전자 = 149
선충의 병원성유전자 = 150
과민성반응을 통한 저항성 유전 = 151
식물에서 방어반응을 촉발하는 병원체 유래 elicitor = 151
비병원력 유전자: 식물반응의 elicitor중 하나 - avr 유전자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병원성과 병원력에서 avr 유전자의 역할 = 154
hrp유전자와 TypeⅢ분비체계 = 155
식물의 저항성(R) 유전자: R 유전자의 예 - R 유전자가 어떻게 저항성을 나타내는가: - 병저항성을 위한 다른 식물유전자 = 155
병원성 유전자와 저항성 유전자 사이의 신호전달: - Programmed Cell Death의 신호 및 조절 - 전신획등저항성에서 유전자들과 신호전달 = 160
일부 식물병의 분자유전의 예: - 흰가루병 - 벼도열병 Magnaporthe grisea - 토양병 병원균 Fusarium - Ustilago maydis 와 옥수수 깜부기병 = 161
저항성 품종의 육종 = 165
식물의 자연적 변이 - 식물의 변이에 대한 식물육종의 영향 - 병저항성 육종 = 165
저항성 유전자원 - 고전적 병저항성 육종 기술 - 종자, 계통, 순환 선발 = 166
조직배양과 유전공학 기법을 이용한 저항성 육종 = 168
원형질체 융합에 의한 병저항성 증가 - 병저항성을 위한 식물세포의 유전적 형질전환 - 수직 또는 수평 저항성을 위한 육종의 장점과 문제점 = 169
대발생하는 식물병에 대한 유전적으로 균일한 작물의 취약성 = 170
제5장 병원체가 식물체를 공격하는 방법
병원체가 기주조직에 가하는 기계적 힘 = 177
병원체의 화학무기 = 179
식물병에서의 효소 = 180
효소에 의한 세포벽 물질의 분해 = 180
큐티클의 왁스 - 큐틴 - 펙틴물질 - 셀룰로스 - 결합글리칸(헤미셀룰로스) - 수베린 - 리그닌 - 세포벽 플라보노이드 - 세포벽 구조 단백질 = 180
효소에 의한 식물세포벽 물질의 분해 = 189
단백질 - 전분 - 지질 = 189
식물병에서의 미생물 독소 = 190
다양한 기주식물체에 영향을 미치는 독소 = 190
Tabtoxin - Phaseolotoxin - Tentoxin - Cercosporin - 기타 비기주특이적 독소 = 191
기주특이적 또는 기주선택적 독소 = 193
Victorin, HV 독소 - T 독소[Cochliobolus (Helminthosporium) heterostrophus 레이스 T 독소] - HC 독소 - Alternaria alternata 독소 - 기타 기주특이적 독소 = 194
식물병에서의 생장조절물질 = 196
다당류 - 저분자량 항미생물분자에 의한 무독화 = 201
비병원성유전자에 의한 세균 병독성의 증진 - 세균의 병원성에서 Type Ⅲ분비의 역할 - 식물방어반응의 억제자 = 202
바이러스와 바이로이드에서의 병원성과 병독성 요인 = 203
제6장 병원체에 대한 식물체의 방어기작
유전자에 의해 조절되는 식물체의 방어 및 저항성 기작 = 208
비기주저항성 -부분적, 다수유전자, 양적, 수평저항성 = 208
레이스 - 특이적, 단일유전자, 저항성 유전자, 수직저항성 = 210
기존 구조적 방어 및 화학적 방어 = 210
기존 방어구조 = 210
기존 화학적 방어 = 211
식물체에 의해 환경으로 방출되는 Inhibitor - 감염 전 식물세포에 존재하는 Inhibitor = 211
필수요소의 결여를 통한 방어 = 212
기주와 병원체 사이의 인식의 결여: 독소에 대한 기주 수용체와 감수성 부위의 결여 - 병원체에 대한 필수물질의 결여 = 212
유도 구조적 방어 및 생화학적 방어 = 213
기주식물체에 의한 병원체의 인식 = 213
기주 방어 제공자에 대한 경고 신호의 전달: 신호전달체계 = 214
유도 구조적 방어 = 214
세포질적 방어반응 - 세포벽 방어구조 = 214
조직학적 방어구조 = 215
코르크층의 형성 - 이층 - 전충체 - 검물질의 침전 = 215
괴사적 방어반응: 과민성반응을 통한 방어 = 217
유도 생화학적 방어 = 217
유도 생화학적 비기주 저항성 = 217
양적(부분적, 다수유전자, 보편적, 수평) 저항성의 유도 생화학적 방어 = 219
양적 저항성에서 유전자 산물의 기능 - 양적 저항성의 발현기작 - 양적 저항성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 220
과민성반응에서의 유도 생화학적 방어(R 유전자) 저항성 = 221
과민성반응 = 221
감염 초기의 유전자 유도 - 식물방어 유전자의 기능 분석 - 저항성 R 유전자 단백질의 분류 - 기주식물에 의한 병원균 Avr단백질의 인식작용 - R과 Avr 유전자의 식물의 방어반응 활성화 - 유전자 R과 Avr을 통한 식물방어의 예: 벼의 Pi-ta유전자. 토마토의 Cf유전자. 고추의 Bs2유전자. 애기장대의 RPM1 유전자 - 2개 또는 다수유전자에 의한 기능 = 221
세균의 제3분비계의 효과적단백질에 의한 방어 = 229
활성 산소라디칼, lipoxygenase 및 세포막의 붕괴 - 강화 분자에 의한 기주세포벽의 강화 = 231
공격받은 기주세포에서 항미생물물질의 생성 - 발병관련단백질 = 232
2차 대사산물을 통한 방어: 페놀성 물질 - 단순페놀화합물 - 비독성 페놀배당체로부터 생성된 독성 페놀화합물 - 병저항성에서 페놀산화 효소의 역할 - 파이토알렉신 = 233
식물에 의한 병원균 독소의 해독 = 236
병원체에 대한 식물체의 면역 = 237
식물항체를 통한 방어 = 237
병원성이 약화된 변이체 병원균에 노출을 통한 저항성 = 237
전신적 유도저항성 = 237
미생물의 인공접종이나 화학물 처리에 의한 식물방어의 유도 = 237
유전공학적으로 조작된 병저항성 식물체를 통한 방 = 242
식물체 유래 유전자를 통한 방어 = 242
병원체 유래 유전자를 통한 방어 = 243
병원체-유도 유전자에 의한 RNA 발현억제를 통한 방어 = 244
RNA발현억제의 suppressor = 246
제7장 전염성 식물병의 진전에 대한 환경의 영향
온도의 영향 = 251
수분의 영향 = 253
바람의 영향 = 257
빛의 영향 = 257
토양 산도와 토양 구조의 영향 = 257
기주식물 양분의 영향 = 257
제초제의 영향 = 262
대기오염물질의 영향 = 262
제8장 식물병 역학
전염병의 구성요소 = 266
전염병의 진전에 영향을 미치는 기주요인 = 267
기주의 유전적 저항성 또는 감수성 수준 - 기주식물의 유전적 균일성 정도 - 작물의 유형 - 기주식물의 성숙도 = 268
전염병의 진전에 영향을 미치는 병원체 요인 = 269
병원력의 수준 - 기주 근처의 전염원의 양 - 병원체의 증식 형태 - 병원체의 생태 - 병원체의 전파 양식 = 269
전염병의 진전에 미치는 환경요인 = 271
수분 - 온도 = 271
인간의 경종과 방제수단의 영향 = 272
위치 선정과 준비 - 번식재료의 선발 - 경종수단 - 병 방제수단 - 새로운 병원체의 도입 = 272
식물병 및 수량손실의 측정 = 273
전염병의 유형 - 전염병의 비교 - 전염병의 진전 - 식물전염병의 모델링 - 전염병의 컴퓨터시뮬레이션 = 274
식물전염병의 예찰 = 281
전염병 출발점의 평가 - 경제적 피해한계선의 평가 - 초기전염원과 병의 측정 - 병 진전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요인의 모니터링 = 281
역학에서 새로운 도구 = 283
분자도구 - 지리정보시스템 - 원격감지 - 영상분석 - 정보기술 = 283
식물병 예찰시스템의 예 = 285
초기전염원의 양에 기초한 예찰 - 2차전염원의 진전에 유리한 기상조건에 기초한 예찰 - 1차전염원 및 2차전염원의 양에 기초한 예찰 = 285
식물전염병의 위험도 평가 - 병경고 시스템 - 식물병리학에서 전문가시스템의 개발과 활용 - 의사결정지원시스템 = 287
제9장 식물병의 방제
기주식물로부터 병원체를 배제시키는 방법 = 295
검역과 조사 = 295
작물인증 = 295
병원체의 기피 또는 회피 - 무병번식체의 이용 = 296
무병종자 - 무병영양번식체 - 표피코팅에 의한 식물체 표면으로부터 병원체의 배제 = 296
전염원의 제거 또는 감소에 의한 방제법 = 298
전염원의 제거 또는 감소에 의한 경종적 방제 = 300
기주제거 - 돌려짓기 - 위생관리 - 병원체에 불리한 환경의 조성 - 폴리에틸렌 유인판과 덮개 = 300
전염원의 제거 또는 감소에 의한 생물적 방제 = 303
발병억제토양 = 304
길항미생물을 이용한 병원균 전염원의 감소 = 305
토양전염성 병원균 - 공기전염성 병원균 - 작용기작 - 포획식물을 이용한 방제 - 길항식물을 이용한 방제 = 305
전염원을 제거 또는 감소시키는 물리적 방법 = 310
열처리에 의한 방제 - 열에 의한 토양살균 - 태양열처리에 의한 토양살균 - 번식기관의 온탕처리 - 저장기관의 열풍처리 - 광선의 특수파장 제거에 의한 방제 - 저장 곡물과 열매의 건조 - 냉장에 의한 병방제 - 방사선에 의한 방제 - 뿌리 전반 수목병해에 대한 도랑 장벽 = 310
전염원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화학적 방제 = 312
화학물질의 토양처리 -훈증 - 창고소독 - 매개충의 방제 = 313
기주식물의 면역 또는 저항성 개선에 의한 병방제 = 314
교차보호 - 유도저항성: 전신획득저항성 (SAR) - 식물방어 활성제 - 식물체의 생장조건 개선 - 저항성 품종의 이용 = 314
병저항성 형질전환 식물체의 이용을 통한 방제 = 319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내성인 형질전환 식물체 - 식물저항성 특정유전자로 형질전환 식물체- 항병원체 화합물 유전자로 형질전호나 식물체 - 저항성과 병원체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핵산으로 형질전환 식물체 - 저항성 유전자의 조합에 의한 형질전환 식물체 - 병원체에 대하여 항체를 생산하는 형질전환 식물체 = 319
형질전환 생물적 방제 미생물의 이용에 의한 방제 = 322
병원체로부터 식물체의 직접적인 보호 = 322
생물적 방제에 의한 직접적인 보호 = 322
길항균류: Phleviopsis (Peniophora) gigantea에 의한 Heterobasidion (Fomes) annosum의 생물적 방제 - 병원균의 저병원성 균주를 이용한 밤나무줄기마름병의 생물적 방제 - 토양전염성 병해의 생물적 방제 - 균류를 이용한 식물체 지상부에 발생하는 병의 생물적 방제 - 수확 후에 발생하는 병의 생물적 방제 - 길항세균 - 토양전염성 병해의 생물적 방제 - 세균을 이용한 식물 지상부에 발생하는 병의 생물적 방제 - 수확 후에 발생하는 병의 생물적 방제 - 세균에 의한 서리해의 생물적 방제 = 328
식물병원균의 바이러스 기생체 = 328
잡초의 생물적 방제 = 329
화학적 방제에 의한 직접적인 보호 = 329
식물병 방제를 위한 약제의 처리방법 = 332
엽면 살포 또는 분무 - 종자처리 - 토양처리 - 수목에 생긴 상처의 처리 - 수확 후에 발생하는 병의 방제 = 332
식물병의 방제를 위하여 사용되는 약제의 제형 = 338
식물병 방제를 위하여 사용되는 무기화합물 - 구리화합물 - 무기 황화합물 - Carbonate 화합물 - Phosphate와 Phosphonate 화합물 - 필름형성 화합물 = 338
유기화합물 - 접촉성 보호살균제 - 유기 황화합물: Dithiocarbamates = 339
침투성 살균제:- Heterocyclic 화합물 - Acylalanine계 살균제 - Benzimidazole계 살균제 - Oxanthiin계 살균제 -유기인계 살균제 - Pyrimidines계 살균제 - Trizoles계 살균제 - Strobilurins 또는 QoI 살균제 - 기타 침투성 살균제 = 340
기타 유기합성 살균제 - 항생물질 - 식물 오일과 석유 오일 - 전기분해된 산화수 - 생장조절물질 - 살선충제 - Halogenated hydrocarbon계 살선충제 - 유기인계 살선충제 - Isothiocyanate계 살선충제 - Carbamate계 살선충제 - 기타 살선충제 = 343
식물병을 방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약제의 작용 기작 - 병원균의 약제에 대한 저항성 - 식물병의 화학적 방제에서의 제한점 = 345
식물병의 종합적 방제 = 348
다년생작물의 종합적 방제 - 일년생작물의 종합적 방제 = 348
제2부 식물병리학 각론
제10장 식물에 병을 일으키는 환경요인
서론 = 358
일반적 특성 - 진단 - 방제 = 358
온도의 영향 = 358
고온의 영향 - 저온의 영향 - 실내식물에 끼치는 저온의 영향 - 저온 또는 고온이 식물체에 해를 끼치는 기작 = 359
수분의 영향 = 365
낮은 토양수분의 영향 - 낮은 상대습도의 영향 - 높은 토양수분의 영향 = 365
부적당한 산소 = 367
빛 = 368
대기오염 = 368
대기오염물질과 식물체에 나타나는 피해의 종류 - 대기오염물질의 주된 발생원 - 대기오염물질들은 식물체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가 - 산성비 = 368
식물의 양분결핍 = 372
식물체에 독성이 있는 토양 무기물 = 372
제초제에 의한 피해 = 378
그 밖의 다른 부적당한 농경작업 = 381
스트레스에 의한 혼동하기 쉬운 병 = 383
제11장 균류에 의한 식물병
서론 = 386
해설16 균류에 관한 몇 가지 흥미로운 사실 = 387
식물병원균류의 특징 = 388
형태 - 생식 - 생태 - 전반 = 388
식물병원균류의 분류 = 390
유사균류 - 진정균류 = 391
식물병원균류의 동정: 균류에 의한 식물병의 병징 = 397
균류(세균)의 분리 = 398
균분리를 위한 준비 - 병원균의 분리 = 398
균류의 생활사 = 402
균류에 의한 식물병 방제 = 403
유사균류에 의한 식물병 = 404
끈적균류에 의한 식물병 = 404
무사마귀병균류에 의한 식물병 = 405
십자화과작물의 무사마귀병 = 407
난균류에 의한 식물병 = 409
Phythium 에 의한 식물병: 종자썩음병, 잘록병, 뿌리썩음병, 물렁썩음병 = 410
Phytophthora 에 의한 병 - 근부 및 경부 역병 = 414
해설17 Phytophthora 가 작물과 천연수목에 전쟁을 선포하다 = 418
감자 역병 = 421
노균병 = 427
포도나무 노균병 = 428
진정균류에 의한 병 = 433
병꼴균류에 의한 병 = 433
접합균류에 의한 병 = 434
자낭균류 및 불완전균류에 의한 병 = 439
그을음병 - Taphrina 에 의한 잎오갈병 - 흰가루병 = 440
자낭균류 및 불완전균류에 의한 잎의 병 = 452
Alternaria병 - Cladosporium병 - 침염수류의 잎떨림병과 잎마름병 = 453
Mycosphaerella병: 바나나 점무늬병 = 458
Septoria병 - Cercospora 병 - 벼 도열병 = 460
화곡류의 Cochliobolus 병, Pyrenophora병, Setosphaeria병 = 466
옥수수병:-깨씨무늬병 - Northern corn leaf blight병 - Northern corn leaf spot병 = 466
벼에 발생하는 병 - 벼 깨씨무늬병 = 468
밀, 보리 다른 벼과 화본류에 발생하는 Cochliobolus 병 = 469
밀, 보리 및 기타 곡류의 관부썩음병과 뿌리썩음병 - 보리와 밀의 spot blotch병 = 469
밀, 보리, 귀리 등에 발생하는 Pyrenophora병 = 469
보리 그물무늬병 - 보리 줄무늬병 - 밀 tan spot병 = 469
자낭균류와 불완전균류에 의한 줄기궤양병과 가지궤양병 = 473
자두나무와 양앵두나무의 검은혹궤양병 - 밤나무 줄기마름병 - Nectria궤양병 - Leucostoma궤양병 = 476
수목의 궤양병:- Hypoxylon궤양병 - 수지궤양병 - 버터넛나무 궤양병 - Phomopsis blight - Seiridium궤양병 = 481
자낭균류와 불완전균류에 의한 탄저병 = 483
장미 검은무늬병 = 485
새눈무늬병과 점무늬병:- 새눈무늬병 - 나무딸기 탄저병 - 귤나무 더뎅이병 - 아보카도나무 더뎅이병 = 486
Colletotrichum 병: 일년생작물의 Colletotrichum 탄저병 = 487
강낭콩 탄저병 - 박과작물 탄저병 - 토마토 탄저병 - 양파 탄저병 - 딸기 탄저병 - 화곡류 및 벼과 목초류의 탄저병 = 487
해설18 열대작물을 위협하는 Colletotrichum 탄저병 = 491
과실의 탄저병: 망고나무 탄저병 - 귤나무 탄저병 - 사과나무 탄저병 - 포도 만부병 = 494
Gnomonia 탄저병과 점무늬병 = 498
말채나무 탄저병 = 501
자낭균류 및 불완전균류에 의한 과실의 병과 기타의 병 = 501
곡류 및 목초류의 맥각병 -사과나무 검은별무늬병 - 핵과류의 잿빛무늬병 - 카카오나무 Monoliophthora 꼬투리썩음병 - Botrytis병 - 포도나무 검은썩음병 - 박과식물 덩굴마름병과 검은썩음병 - Diaporthe, Phomopsis, Phoma 에 의한 병 - 콩 줄기궤양병 - 귤나무 검은무늬병 - Phomopsis 에 의한 병 - 사과나무 검은썩음병 = 501
자낭균과 불완전균류에 의한 유관속시들음병 = 522
Fusarium시들음병: 토마토 Fusarium시들음병 - 파나마 바나나 Fusarium시들음병 = 523
Verticillium시들음병 = 526
느릅나무 Ophiostoma 시들음병: 느릅나무 시들음병 = 528
Ceratocystis시들음병 - 참나무 시들음병 - 유칼리나무의 Ceratocystis 시들음병 = 532
자낭균류와 불완전균류에 의한 뿌리썩음병과 줄기썩음병 = 534
옥수수의 Gibberella 줄기썩음병, 이삭썩음병, 유묘마름병 = 535
화곡류의 붉은곰팡이병 = 535
비곡류의 Fusarium뿌리썩음병과 줄기썩음병 = 538
밀 마름병 - Thielaviopsis검은뿌리썩음병 - 멜론의 Monosporascus 뿌리썩음병과 덩굴쇠퇴병 = 540
Scleotinia 에 의한 병 - Phymatotrichum뿌리썩음병 = 546
자낭균과 불완전균류에 의한 식물 생산물의 저장병 = 553
과실과 채소의 저장부패 = 556
Aspergillus, Penicillium, Rhizopus, Mucor: Alternaria - Botrytis - Fusarium - Geotrichum - Penicillium - Sclerotinia = 556
신선한 과실과 채소의 저장 중 부패의 방제 = 558
곡류와 두류 종자의 저장부패 = 558
균독소와 균독소중독증 = 559
Aspergillus독소 - Aflatoxins - Fusarium독소 = 559
저장곡류 부패의 방제 = 560
담자균류에 의한 식물병 = 562
녹병 = 562
화곡류의 녹병 - 밀과 다른 맥류의 줄기녹병 = 565
콩과식물의 녹병 - 강낭콩 녹병 = 571
해설19 콩 녹병 - 중요한 작물에 대한 심각한 위협 = 573
사과나무 붉은별무늬병 - 커피나무 녹병 = 574
임목의 녹병:- 잣나무 털녹병 - 소나무 방추혹병 = 577
깜부기병 = 582
옥수수 깜부기병 - 화곡류의 겉깜부기병 - 밀 속깜부기병 및 비린깜부기병 = 588
해설20 화곡류의 Karnal 비린깜부기병 - 정당한 관심과 정치적 곤경 = 592
담자균류에 의한 줄기 및 뿌리썩음병 = 593
무포자균류에 의한 뿌리 및 줄기썩음병 = 593
라이족토니아병 - 스클레로티움병 = 594
수목의 뿌리썩음병 = 602
과수와 임목의 Armillaria뿌리썩음병 = 602
담자균류에 의한 목재썩음과 부후 = 604
카카오나무 빗자루병 = 611
균근 = 612
제12장 원핵생물에 의한 식물병: 세균과 몰리큐트
서론 = 616
세균에 의한 식물병 = 618
식물병원세균의 분류 및 특징 = 618
형태 - 증식 - 생태 및 전파 - 세균의 동정 - 병징 - 방제 = 618
세균성점무늬병과 세균성마름병 = 627
담배 들불병 - 강낭콩 불마름병 - 오이세균성모무늬병 - 목화 모무늬병 또는 세균성 마름병 - 화곡류와 벼과식물 세균성점무늬병 및 세균성마름병 - 토마토와 고추 세균성점무늬병 - 토마토 bacterial speck병 - 수박 과실썩음병 - 카사바나무 세균성잎마름병 - 핵과류 구멍병 = 627
세균성시들음병 = 638
박과작물 세균성시들음병 - 배나무, 사과나무 불마름병 - 가지과식물 풋마름병 - 바나나Moko병(세균성시들음병) - 감자 둘레썩음병 - 토마토 세균성궤양병과 풋마름병 - 십자화과식물 검은썩음병 - 옥수수Stewart시들음병 = 651
세균성무름병 = 656
채소류 세균성무름병 = 656
해설21 세균성(균류성)무름병에 의한 막대한 수확 후 손실 = 660
세균성혹병 = 662
뿌리혹병 = 662
해설22 뿌리혹병 세균 - 자연의 유전공학자 = 664
세균성궤양병 = 667
핵과류 과수 세균성궤양병 및 수지병 = 667
귤나무류 궤양병 = 671
세균성더뎅이병 = 674
감자 더뎅이병 = 674
콩과식물 뿌리혹 = 675
유관속구재성 세균에 의한 식물병 = 678
물관국재성 세균 = 678
포도나무 피어스병 - 귤나무 얼룩백화병 - 사탕수수 새순위축병 = 679
체관 국재성세균 = 683
박과작물 yellow vine병 - 귤나무류 그린병 - 파파야나무 bunchy top병 = 684
몰리큐트: 파이토플라스마 및 스파이로플라스마에 의한 식물병 = 687
진정마이코플라스마의 성질 - 파이토플라스마 - 스파이로플라스마 = 688
몰리큐트에 의한 식물병 = 691
과꽃 누른오갈병 - 코코야자나무 치사누렁병 - 사과나무 proliferation병 - 유럽핵과류 누렁병 - 물푸레나무 누렁병 - 느릅나무 누렁병(느릅나무 체관부괴저병) - 복숭아나무 X병 - 배나무 쇠락병 = 691
스파이로플라스마에 의한 식물병 = 699
귤나무류 스터본병 - 옥수수 위축병 = 699
제13장 기생종자식물, 침해덩굴식물, 기생녹조류에 의한 식물병
서론 - 기생고등식물 = 705
새삼 - 마녀풀 - 더부살이 - 난쟁이겨우살이 - 겨우살이 = 706
침입덩굴식물 = 716
고생 덩굴성 양치류 - 칡 = 717
기생녹조류 = 719
조류에 의한 식물병 = 719
제14장 바이러스에 의한 식물병
서론 = 724
식물바이러스의 특징 = 724
검출 - 형태 - 조성과 구조 = 725
바이러스 단백질의 조성과 구조 - 바이러스 핵산의 조성과 구조 = 730
위성바이러스와 위성RNA = 731
바이러스 구성요소의 생물학적 기능: 암호화 = 731
바이러스의 감염과 합성 = 731
식물체에서 바이러스의 이동과 분포 = 733
식물바이러스에 의한 병징 = 734
바이러스에 감염된 식물체의 생리 = 737
식물바이러스의 전반 = 737
식물의 영양번식에 의한 전반- 즙액을 통한 기계적 전반 - 종자 전반 - 꽃가루에 의한 전반 - 곤충에 의한 전반 - 응애에 의한 전반 - 선충에 의한 전반 - 균류에 의한 전반 - 새삼에 의한 전반 = 737
식물바이러스와 바이로이드의 병 역학 = 743
식물바이러스의 순화 - 식물바이러스의 혈청학 = 743
식물바이러스의 명명과 분류 = 747
식물바이러스의 검출과 동정 = 751
식물바이러스의 경제적 중요성 = 752
식물바이러스의 방제 = 753
ssRNA 간상바이러스에 의한 병 = 757
Tobamovius에 의한 병 - Tobacco Mosaic = 757
해설23 Tobacco mosaic virus의 생물학과 의학에 기여 = 757
Tobravirus에 의한 병:- Tobacco Rattle - Furovirus에 의한 병 - Hoedeivirus에 의한 병 - Pecluvirus에 의한 병 - Pomovirus에 의한 병 - Benyvirus에 의한 병 = 758
ssRNA 사상바이러스에 의한 병 = 762
Potexvirus에 의한 병 - Carlavirus에 의한 병 - Capillovirus와 Trichovirus에 의한 병 - Allexivirus, Foveavirus와 Vitivirus에 의한 병 = 767
Potyviridae에 의한 병 = 764
Potyviruss에 의한 병 = 764
강낭콩 모자이크병과 강낭콩 황반모자이크병 - 양상추 모자이크병 - 자두나무 pox병 - 파파야나무 가락지무늬병 - 감자 Y 바이러스병 - 사탕수수 모자이크병 - 담배 etch병 - 순무 모자이크병 - 수박 모자이크병 - 호박 yellow mosaic병 = 767
Ipomoviruses, Macluraviruses, Rymoviruses와 Trimovirus에 의한 병 - Bymovirus에 의한 병 = 773
Closteroviridae에 의한 병 = 774
Closterovirus에 의한 병 = 774
귤나무 트리스테자병 - 비트 yellows병
Crinivirus에 의한 병: 양상추 infectious yellow병 = 774
구형 외가닥RNA바이러스에 의한 병 = 779
Sequiviridae Waikavirus에 의한 병 = 779
벼 퉁그로병 = 779
Tombusiridae에 의한 병 = 779
Luteoviridae에 의한 병 = 781
보리 누른오갈병 - 감자 잎말림병 - 비트 western yellows병 = 781
과(Familiy)로 지정되지 않은 속의 단입자 구형 (+)ssRNA바이러스에 의한 병 = 783
Comoviridae에 의한 병 = 784
Comovirus에 의한 병 = 784
Nepovirus에 의한 병 = 784
토마토 가락지무늬병 - 포도나무 fanleaf병 - 나무딸기 ring spot병 = 785
Bormoviridae에 의한 병 = 787
Cucumovirus에 의한 병 = 787
오이 모자이크병 = 788
llarvirus에 의한 병 - 양앵두나무류 necrotic ring spot = 790
구형 겹가닥RNA바이러스에 의한 병 = 792
Reoviridae에 의한 병 = 792
(-) RNA[(-)ssRNA]바이러스에 의한 병 = 794
Rhabdovirus에 의한 병 = 794
Tospovirus에 의한 병 = 795
Tenuivirus에 의한 병 = 799
겹가닥DNA바이러스에 의한 병 = 801
Caulimoviruses와 다른 isometric Caulimoviridae에 의한 병 = 801
Badnavirus에 의한 병 = 803
외가닥DNA바이러스에 의한 병 = 805
Geminiviridae에 의한 병 = 805
비트 curly top병 - 옥수수 점줄무늬병 - 아프리카 카사바 모자이크병 - 강낭콩 golden mosaic병 - 호박 leaf curl병 - 토마토 mottle병 - 토마토 yellow leaf curl병 = 809
Circoviridae에 의한 병 = 813
바나나 Bunchchy Top병 = 814
코코야자나무 foliar decay에 의한 병 = 815
바이로이드 = 816
바이로이드에 의한 식물병 = 816
바이로이드의 분류 = 816
감자 걀쪽병 - 귤나무 exocortis병 - 코코야자나무 카당카당병 = 820
제15장 선충에 의한 식물병
서론 = 826
식물병원선충의 특징 = 827
형태 - 해부 - 생활사 - 생태와 이동 - 분류 = 827
선충의 분리 = 831
토양으로부터 선충의 분리 = 831
식물체로부터 선충의 분리 = 832
선충에 의한 병징 = 832
선충에 의한 식물병의 진전 = 833
선충과 다른 병원체와의 상호관계 = 835
선충의 방제 = 836
뿌리혹선충: Meloidogyne spp. = 838
시스트선충: Heterodera와 Globodera = 842
콩시스트선충: Heterodera glycines = 843
사탕무시스트선충: Heterodera schachtii = 846
감자시스트선충: Globodera rostochiensis, Globodera pallida = 847
귤나무선충: Tylenchulus semipenetrans = 848
뿌리썩이선충: Pratylenchus = 849
뿌리굴선충: Radopholus = 853
해설24 열대와 아열대 지역에서 식물선충의 중요성 = 858
줄기구근선충: Ditylenchus = 858
침선충: Belonolaimus = 860
활선충: Paratrichodorus와 Trichodorus = 863
씨알선충: Anguina = 865
잎선충: Aphelenchoides = 867
소나무 시들음병과 야자나무 시들음병: Bursaphelenchus = 870
소나무재선충: Bursaphelenchus xylophilus = 870
야자나무재선충: Bursaphelenchus cocophilus = 872
제16장 편모충류원생동물에 의한 식물병
서론 = 875
식물 Trypanosomatid류의 명명법 - 분류 - 병원성 - 역학 및 방제 = 877
체관국재성 Trypanosomatid에 의한 식물병 = 878
커피나무 체관괴사병 - 코코야자나무 hartrot병 - 기름야자나무 급성시들음(marchitez sopresiva)병 - 홍화월도 시들음 및 부패병 = 878
유관국재성 Trypanosomatid에 의한 식물병 = 882
카사바나무 뿌리오갈병 = 882
과실 및 종자감염 Trypanosomatid에 의한 식물병 = 882
과실 trypanosomatid병 = 882
용어해설 = 887
찾아보기(영문) = 903
찾아보기(국문) = 919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