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1장 언어: 서구의 사유 틀과 고대 희랍어 = 15
1. 정신 보편주의 비판: 말과 생각 = 17
2. 기술주의적 언어관: 술어 구문과 비(be)동사 = 20
3. 비동사 에이나이와 진리 = 27
4. 음성문자적 언어관과 심적 의미세계 = 37
5. 정관사의 사용: 추상체와 보편자 = 47
6. 사유 틀의 언어 의존성 = 59
7. 동아시아적 사유법 = 62
2장 인식: 진리 개념의 기원 = 69
1. 영원한 진리라는 개념 = 71
2. 개념의 문화생태학 = 76
수평적 사회와 비판적 토론 문화 = 80
탐구 대상으로서의 진리 = 85
심신 간의 배타적 이분법 = 89
3. 희랍어와 진리 개념 = 92
심적 의미와 은폐적 진리 = 93
진리의 보편성과 추상성 = 96
언어의 진리서술적 기능 = 97
4. 진리와 신의 인식 = 102
5. 진리 개념의 해체 = 108
3장 학문: 소크라테스와 학문의 발견 = 111
1. 서구 학문관에 대한 반성 = 113
2. 진리 개념의 역사 = 117
진리와 시인의 언어 = 117
논리적 방법의 개념: 파르메니데스와 제논 = 124
말의 세속화: 독사(doxa)의 출현 = 129
에피스테메와 이성 = 135
3. 소크라테스의 인식적 민주주의 = 138
무지의 지: 인식 주체로서의 시민 = 139
논박법: 모순배제율의 논리 = 146
What-is-x의 물음: 새로운 존재로서의 보편자 = 151
4. 서구 학문관의 기초적 영향 = 159
4장 존재: 플라톤의 형상과 철학적 최상급 = 163
1. 최상급에의 여정 = 165
2. 철학적 이상향 = 167
의미 이해와 최상급 = 167
플라톤의 형상과 최상급의 원형 = 169
데카르트의 인식론적 최상급 = 173
칸트의 윤리적 최상급 = 175
3. 철학적 최상급의 논리 = 179
비교급의 논리 = 179
인간 의식의 이상적 목표 = 181
속성의 전형 = 182
의미에 관한 믿음 = 185
4. 최상급적 사유의 문제점들 = 187
보편 규칙 상정의 역설 = 187
환원주의와 측정 단위 = 192
인식의 논리 = 194
가능성의 논리: 의미와 진리 = 197
5. 비교급적 사유의 패러다임 = 204
5장 윤리: 희랍의 영혼관과 서구의 윤리적 사유 = 209
1. 생사관과 윤리학의 관계 = 211
2. 호메로스에서 프시케와 죽음 = 216
3. 프시케와 자아의 그림자 = 222
4. 프시케의 질료적 기반 = 234
5. 움직이게 하는 것과 움직여지는 것 = 237
6. 플라톤에서 영혼의 신체 독립성 = 242
7. 자기 운동과 사유 주체의 발견 = 247
8. 희랍의 생사관과 서구의 정신주의 윤리 = 255
6장 정치: 민주주의와 아리스토텔레스 = 263
1. 희랍의 데모크라티아 = 265
2. 정치체제의 분류와 희랍 민주정의 특징 = 269
3. 민주정 비판과 정의론 = 278
4. 정의론과 국가관에서 이성 = 285
5. 공동체와 인간 본성: 사회성의 진정한 의미 = 294
주석 = 303
참고문헌 = 321
찾아보기 = 327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