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권호명 : 1
머리말 = 5
제1장 한국경제사의 방법
1. 연구사의 회고 = 21
세계사의 일원적 법칙 = 21
맞지 않는 잣대 = 24
부풀려진 역사 = 27
범주착오 = 29
오렌지밭에서 사과를 = 31
맹아론의 정치학 = 34
현실로부터의 유리 = 36
2. 무엇을 쓸 것인가 = 39
경제에의 시선 = 39
인구와 환경 = 42
가족과 소농 = 44
소유와 신분 = 46
지배와 통합 = 47
신뢰와 협동 = 49
운명의 갈림 = 51
지경학 = 53
한국형 시장경제 = 55
3. 새로운 시대구분 = 57
몇 개의 변곡점 = 57
제1시대 : 기원전 3세기∼기원후 7세기 = 58
제2시대 : 8∼14세기 = 59
제3시대 : 15∼19세기 = 61
제4시대 : 20∼21세기 = 63
제2장 문명의 아침
1. 선사시대의 한반도 = 67
정주취락의 전개 = 67
복합사회의 대두 = 73
역사시대로의 이행 = 79
2. 연(烟)의 성립 = 85
미사리유적 = 85
부뚜막의 확산 = 89
국연(國烟), 간연(看烟), 적성연(赤城烟) = 91
3. 족장사회 = 93
락(落) = 93
읍락(邑落) = 96
국(國) = 102
노(奴)의 질서 = 107
국(國)은 족장사회(族長社會) = 112
열린 한반도 = 113
4. 국가의 출현 = 119
부체체(部體制) = 119
대왕(大王)의 등장 = 121
지배체제 = 127
생태와 식료 = 132
권농과 진휼 = 135
제3장 공연(孔烟)에서 정호(丁戶)로
1. 7세기 말의 농촌 = 137
신라촌장적 = 137
촌 = 143
인구 = 149
가축과 목류 = 152
전답 = 157
공연 = 160
계연 = 163
가족과 부부 = 166
노비 = 170
2. 정(丁)의 성립 = 176
정전(丁田)의 지급 = 176
개선사석등기 = 179
정호(丁戶)의 발견 = 183
왕토주의의 동향 = 185
통일신라의 지배체제 = 189
3. 통일신라의 사회 = 192
귀족과 사원의 전장 = 192
욱면과 지은 = 194
용작 = 197
『화랑세기』의 세상 = 200
바다의 신라인 = 204
제4장 국인(國人)과 전호(佃戶)
1. 집권적 지배체제의 전개 = 209
인품의 조정 = 209
공전과 사전 = 211
조의 수취 = 214
부와 역의 수취 = 217
전시과의 진전 = 219
녹봉제의 실시 = 222
전호의 성립 = 228
사유지설 비판 = 232
토지금령 = 237
개경과 국인 = 241
2. 농민과 사회 = 247
정호(丁戶) = 247
가, 친족, 백정 = 253
주첩 = 259
군현과 촌리 = 263
노비법제 = 266
노비의 이미지 = 271
시장과 고리대 = 274
권농과 진휼 = 275
3. 원 복속기의 사회와 경제 = 277
대몽골 울루스 = 277
지방세력의 해체와 이동 = 282
녹과전의 분급 = 283
양전방식의 변화 = 285
1/10 수조율의 성립 = 288
3가 1호제 = 292
이성계호구주장 = 295
고려 말기의 사회상 = 299
제5장 유교적 전환
1. 조선왕조의 창업 = 305
역성혁명의 배경 = 305
집권체제의 정비 = 309
중화세계로의 편입 = 311
바다가 닫히다 = 313
여성의 종속 = 316
2. 국전제의 재편 = 319
과전법의 시행 = 319
과전법의 이념 = 322
매매와 상속의 공인 = 325
전부(佃夫)의 성립 = 330
전국적 농업생태 = 333
『농사직설』의 간행 = 336
양안 = 338
공법의 개정 = 342
사전의 소멸 = 345
3. 지배체제의 이원화 = 347
15세기 초의 호 = 347
호구제도의 개혁 = 353
보법의 좌절 = 355
양역의 성립 = 357
호적 = 359
조선 호적의 비교적 특질 = 362
이행의 귀결 = 365
4. 양반과 노비 = 366
농촌양반의 등장 = 366
농장 = 369
안호정의 풍류 = 373
노비인구의 팽창 = 377
이류(異類) = 380
입역노비와 납공노비 = 384
노예제사회인가 = 387
5. 경제체제와 사회 = 392
농본주의적 통합 = 392
공물ㆍ선물경제의 확장 = 398
주비 = 403
향도 = 406
제6장 소농사회
1. 시장경제의 대두 = 409
대항해시대의 파도 = 409
중계무역의 성황 = 412
동전의 유통 = 417
장시의 확산 = 420
물가변동 = 425
미곡시장의 통합 = 428
관영수공업의 재편 = 431
농촌수공업의 실태 = 434
2. 소농경제의 전개 = 437
이양의 보급 = 437
집약농법과 상업적 농법 = 439
노비제의 해체 = 442
분쟁의 시대 = 448
전부에서 기주로 = 451
토지소유의 동향 = 455
병작의 양상 = 459
지주제는 있었는가 = 464
허상으로서 자본가적 부농 = 469
3. 소농사회의 양상 = 475
주호와 협호 = 475
순환과 이동 = 482
리(里)의 재편 = 484
8결작부제 = 487
비교사회사 = 491
갈등과 협력 = 496
4. 국가적 재분배경제 = 501
대동법 = 501
균역법 = 505
환곡 = 509
균안(均安)의 정치경제학 = 513
중앙재정과 한성부 = 515
시전체제 = 521
인격적 거래 = 526
정지된 시간 = 531
제7장 위기
1. 19세기의 정체 = 535
반전하는 역사상 = 535
산림의 황폐 = 538
미곡 생산의 감소 = 544
무역의 동향 = 549
장시의 위축 = 553
국가적 재분배경제의 해체 = 556
민란의 물결 = 559
사창제와 호포제 = 562
2. 제국주의의 도래 = 565
개항을 둘러싼 국제질서 = 565
교린외교와 만국공법의 갈등 = 568
종속의 재배치 = 573
3. 1880년대의 혼돈 = 576
정부재정의 악화 = 576
당오전의 발행 = 578
왕실재정의 팽창 = 579
시전상인의 피폐 = 584
농촌사회의 분열 = 586
4. 대외무역의 전개와 전통경제의 재편 = 591
대외무역의 동향 = 591
농업생산의 회복 = 597
면직업의 해체 = 599
지주계급의 발흥 = 602
국내시장의 확대와 통합 = 605
은행과 회사의 출현 = 608
5. 황혼의 대한제국 = 612
갑신정변, 동학농민봉기, 청일전쟁 = 612
갑오경장의 좌절 = 616
중도반단의 개혁 = 618
대한제국의 성립 = 621
초라한 정부재정 = 624
황실재정 - 궁내부와 내장원 = 628
황실재정 - 궁방과 별고 = 631
마지막 양전 = 636
시주(時主)로의 종착 = 641
새로운 호적 = 648
원호와 협호 = 652
빈약한 협력 = 657
남은 상공업 = 661
참고문헌 = 667
찾아보기 = 688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