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 5
1부 이성의 전개
1. 철학의 원리와 자아 = 17
1. 칸트 철학의 문제와 셸링 철학의 과제 = 18
2. 칸트적 및 피히테적 ''자아철학''에 대한 비판 = 22
3. 철학의 원리로서 ''무제약자'' = 27
4. ''절대적 자아''의 근원 형식 = 30
5. 철학의 시원(Anfang)과 그 한계 = 35
6. ''자연철학''으로의 이행 = 39
2. 가시적 정신으로 자연 = 43
1. 표상에 관한 인식론적 물음의 의미 = 46
2. 스피노자 및 라이프니츠 철학의 의미와 한계 = 52
3. ''가시적 정신''으로서의 자연과 ''비가시적 자연''으로서의 정신 = 60
4. ''절대적 관념''으로서의 자연철학 = 65
3. 자연철학의 체계 = 71
1. 사변적 자연학의 과제 = 75
2. 사변적 자연학과 경험적 자연학의 관계 = 80
3. 생산물로서의 자연(natura naturata)의 성립 = 82
4. 질료의 구성 = 89
5. 유기물의 구성 = 94
6. 사변적 자연학의 의미 = 97
4. 개념화된 자연(헤겔)과 자연화된 개념(셸링) = 101
1. 셸링의 1799/1800년 철학 체계 = 103
2. 자연 개념과 자연철학의 과제 = 107
3. 사변적 자연학(spekulative Physik)으로서의 자연철학 = 110
4. 헤겔의 1830년 철학 체계 = 114
5. 헤겔의 자연 개념과 자연철학의 과제 = 119
6. 셸링과 헤겔의 자연철학의 차이와 전망 = 123
5. 자연과 정신의 동일성에 대한 증명과 예술 직관 = 129
1. 선험철학의 원리와 ''자기의식의 역사'' = 133
2. 이론철학과 실천철학의 구분 = 140
3. 이론철학의 한계 = 143
4. 실천철학의 한계 = 149
5. 자연과 정신의 동일성에 대한 지로서의 ''예술 직관'' = 153
6. 헤겔의『정신현상학』과 셸링의『선험적 관념론의 체계』 = 161
1. 칸트와 ''인식의 맹점'' = 163
2.『정신현상학』과 진리의 척도 = 165
3. 칸트의 ''관념론 반박'' = 168
4. 헤겔의 재반박 = 170
5. 빛과 ''순수 존재'' = 176
6. ''선험적 관념론''의 원리로서 자기의식 = 179
7. 행위와 의식의 근거로서 ''운명''과 ''신화'' = 184
7. 동일성 철학의 필요성 = 191
1. 자기의식의 한계와 동일성 철학의 과제 = 193
2. 종교와 철학의 분리에 대한 비판 = 197
3. 반성적 사유의 한계와 지성적 직관 = 201
4. 신의 자기인식과 존재자의 출현 = 205
5. 유출설과 타락의 현실적 근거 = 211
8. 동일성 철학의 체계 = 219
1. 동일성 철학의 전제(혹은원리)와 그에 대한 연역 = 222
2. 지적 직관과 동일성으로서의 절대자 = 226
3. 하나이며 모든 것(hen kai pan)인 절대자 = 232
4. 현상으로서 유한자 = 235
5. 현상세계의 두 영역 : 자연과 정신 = 239
2부 이성의 위기
1. 인간의 자유 = 245
1. 체계와 자유의 문제 = 249
2. 자유의 형식적 가능성 = 254
3. 피조물과 인간정신의 탄생 = 258
4. 보편적 악과 ''악으로의 성향'' = 266
5. ''근본악''과 인간의 실제적 자유 = 271
2. 관념론적 자유에 대한 셸링의 비판 = 279
1. 헤겔에게 있어서 자유와 체계 = 281
2. 관념론적 자유 이해의 한계 = 286
3. 악의 실재성 = 290
4. 실재론과 비이성적인 것의 힘 = 295
5. 실존과 실존의 근거 = 297
6. 영원한 시원과 자유 = 302
7. 자유의 존재론과 ''결코 다 밝혀질 수 없는 잔여'' = 305
3. 세계의 시원과 이성의 근원 = 309
1. 세계의 시원에 대한 인식 가능성과 학의 방법 = 313
2. 신의 본성(Natur)과 대립하는 두 힘 = 316
3. 힘들의 맹목적적 순환운동과 그 시원 = 322
4. ''영원한 자유''와 말씀(logos)의 출현 = 325
5. 풀리지 않은 문제들 = 334
4. 이성의 근거와 그 타자 = 337
1. 철학의 원리로서의 ''절대적 주체'' = 341
2. ''절대적 주체''에 대한 인식으로서 탈각(Extase) = 348
3. 탈각의 구조와 ''반성'' = 354
4. 이성에 대한 존재론적 해명 = 359
5. 이성의 근거와 타자 = 362
3부 이성의 몰락
1. ''이성학문''의 한계와 부정철학 = 367
1. 셸링의 문제 제기 = 375
2. 헤겔 ''논리학''에 대한 비판 = 380
3. ''이성학문''(vernunftswissenschaft)의 체계와 그 한계 = 385
4. 새로운 철학의 출현 = 390
2. 새로운 철학의 원리로서 ''사유 이전의 존재''와 긍정철학 = 393
1. 신의 실존에 관한 ''존재론적 논증''의 한계 = 399
2. 긍정철학의 원리(Anfang)에 이르는 길 = 404
3. ''사유 이전의 존재''(Unvordenklichessein)로부터 철학의 가능성 = 407
4. 긍정철학에서 이성과 경험의 역할 = 412
5. 자유의 철학으로서 긍정철학 = 416
3. 반성적 사유(헤겔)와 비합리적 실존(셸링) = 421
1. ''부정철학''과 ''기독교 신론''으로서의 헤겔 철학 = 424
2. ''논리학''의 시원(Anfang)에 대한 비판 = 427
3. ''논리학''의 방법에 대한 비판 = 433
4. ''논리학''으로부터 자연철학으로의 이행에 대한 비판 = 436
5. 셸링의 헤겔 비판에 대한 평가 = 441
6. 헤겔인가 아니면 셸링인가? = 448
4부 셸링 철학의 영향
1. 셸링과 아도르노 = 453
1. 존재와 개념의 동일성과 이성의 체계 = 457
2. 매개와 사유의 제약성 = 464
3. ''비개념적인 것''(das Begrifflose)의 의미 = 470
4. 화해의 방법으로서 자기반성과 탈각(Extase) = 478
2. 셸링과 하이데거 = 485
1. 진리의 근거로서 ''존재''와 ''자기의식'' = 488
2.『정신현상학』과『선험적 관념론의 체계』에서 제시되는 철학의 필연성 = 492
3.『진리의 본질』에서 제시되는 철학의 필연성 = 495
4. 부정성과 철학의 근거 지움 = 500
5. 예술직관 및 ''전회''와 철학의 근거 지움 = 504
6. 헤겔과 셸링의 진리 근거에 대한 하이데거 비판의 타당성 = 507
참고 문헌 = 511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