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 11 1. 연구 대상 지역 = 12 2. 연구 목적 및 책의 구조 = 13 3. 연구 방법론 및 이론적 배경 = 16 1) 편년 및 분기 설정 = 16 2) 도구 다양성 측정 방법 = 17 3) 생계ㆍ주거 체계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 = 20 Ⅱ. 자연 환경의 변호와 유적의 입지 = 25 1. 자연 환경 = 25 1) 기후 환경 변화 = 26 2) 해수면 변동 = 34 2. 유적의 분포와 입지 = 40 Ⅲ. 중서부 지방 신석기시대 상대 편년 = 48 1. 기존 편년에 대한 비판적 검토 = 48 2. ¹⁴C연대 분석을 통한 소지역별 상대 편년 = 57 1) ¹⁴C연대의 분석 기준 = 57 2) ¹⁴C연대의 분석 결과 = 61 3. 상대편년 및 분기설정 = 82 1) 중서부 Ⅰ기(3,600 calBC 이전) = 83 2) 중서부 Ⅱ기(3,600 calBC 이후) = 87 Ⅳ. 도구 및 자연유체 출토 양상 = 99 1. 연구 현황 = 100 2. 도구 다양성 = 104 1) 도구의 분류 = 104 2) 도구의 출토 양상 = 109 3) 도구의 다양도 분석 = 117 3. 자연유체 = 128 1) 동물유체 = 128 2) 식물유체 = 133 4. 도구 및 자연유체 출토 양상의 특징 = 135 Ⅴ. 취락의 점유 양상 = 138 1. 연구 현황 = 140 2. 주거지 구조의 특징 = 143 1) Ⅰ기 = 143 2) Ⅱ기 전반 = 153 3) Ⅱ기 중ㆍ후반 = 163 3. 취락의 공간 배치와 점유 양상 = 171 1) Ⅰ기 = 171 2) Ⅱ기 전반 = 178 3) Ⅱ기 중ㆍ후반 = 183 4. 취락의 형태와 형성 과정 = 189 5. 취락 점유 양상의 특징 = 196 Ⅵ. 생계ㆍ주거 체계의 변동 과정 = 199 1. 대규모 취락의 해체와 입지의 변화 - 내륙 지역 Ⅰ∼Ⅱ기 전반 = 199 2. 인구 집중과 해양 자원 이용의 강화 - 해안 및 도서 지역 Ⅰ∼Ⅱ기 전반 = 208 3. 취락의 숙소와 거주 이동의 증가 - Ⅱ기 전반∼중반 이후 = 221 4. 신석기사회의 해체와 청동기사회로의 전환 - Ⅱ기 후반 = 227 Ⅶ. 맺음말 = 235 부록 1. ¹⁴C 연대분석을 통해 본 남한지방 신석기시대 편년 = 239 부록 2. 한반도 신석기시대 ¹⁴C 연대 집성표 = 295 참고문헌 = 359 찾아보기 = 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