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정판을 내면서 = ⅳ 학습 안내 = ⅵ 각 장의 구성 = ⅶ 프로젝트 파일 간의 연관관계 = ⅷ 파일 편집과 구성요소들의 쓰임새 = ⅹ PART 01 앱의 이해와 개발원리 = 1 Chapter 01 스마트폰과 앱 = 5 1.1 스마트폰 = 6 1.2 앱 = 8 1.3 안드로이드 이야기 = 14 1.4 구글이 만드는 세상 = 18 Chapter 02 앱 개발환경 구축 = 21 2.1 앱 운영환경 = 22 2.2 앱 개발환경 = 24 2.3 앱 개발환경 구축과 My Application 앱 개발 = 26 2.4 실행화면 캡처 = 57 Chapter 03 앱 프로젝트 구조와 실행원리 = 61 3.1 프로젝트 예제 : Hello Android 프로젝트(프로젝트의 시작) = 62 3.2 프로젝트 개발 = 63 3.3 프로젝트 파일 구조 = 72 3.4 앱의 실행원리 = 74 3.5 프로젝트 소스 간의 연관성 = 76 3.6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의 변경 = 79 3.7 기존 My Application 앱 프로젝트 열기 = 83 Chapter 04 맛보기 프로젝트 1 : Pinwheel(바람개비의 회전) = 85 4.1 프로젝트 개요 = 86 4.2 프로젝트 개발 = 87 Chapter 05 맛보기 프로젝트 2 : Follow Me 1(터치 위치를 따라오는 이미지) = 91 5.1 프로젝트 개요 = 92 5.2 프로젝트 개발 = 93 PART 02 콘텐츠 활용 = 100 쉼터 1 : XML의 이해 = 102 쉼터 2 : 자바 클래스의 이해 = 104 Chapter 06 텍스트 출력과 레이아웃 = 111 6.1 텍스트 활용 앱과 출력 원리 = 112 6.2 텍스트 출력과 폰트의 변화 : TEXT 1 프로젝트(시 목록 1) = 120 6.3 텍스트의 출력모양 : TEXT 2 프로젝트(시 목록 2) = 142 6.4『시』앱 만들기 : Poem 프로젝트(시) = 156 Chapter 07 이미지의 출력 = 165 7.1 이미지 출력 앱과 출력 원리 = 166 7.2 이미지 출력 : Image 1 프로젝트(명화) = 168 7.3 이미지 목록 출력 : Image 2 프로젝트(명화 목록) = 176 7.4 그리드 형태의 이미지 출력 : Picture Album 1 프로젝트(명화 앨범 1) = 184 쉼터 3 : 변수, 데이터형, 연산자 = 193 Chapter 08 이벤트 처리와 액티비티 간 이동 = 197 8.1 이벤트 처리와 액티비티 간 이동의 이해 = 198 8.2 시의 목록과 사용자 클릭 인식 : Event 프로젝트(시 목록 클릭) = 201 8.3 시집 만들기 : Poetical Works 프로젝트(시집) = 212 8.4 명화목록과 큰 이미지 보기 : Picture Album 2 프로젝트(명화 앨범 2) = 225 8.5 친구목록과 전화 걸기 : Call My Friend 프로젝트(내 친구들) = 240 쉼터 4 : 조건문 = 249 Chapter 09 오디오 재생 = 253 9.1 오디오 재생 원리 = 254 9.2 오디오 자동 재생 : Audio 1 프로젝트(노래 목록 1) = 256 9.3 클릭과 오디오 재생 : Audio 2 프로젝트(노래 목록 2) = 268 9.4 노래 목록의 다수 아이템에 대한 오디오 재생 : Audio 3 프로젝트(노래 목록 3) = 227 9.5 노래 목록과 재생화면 : Music Album 프로젝트(음악 앨범) = 288 Chapter 10 비디오 재생 = 305 10.1 비디오 재생 원리 = 306 10.2 비디오 자동 재생 : Video 1 프로젝트(동영상 1) = 308 10.3 클릭과 비디오 재생 : Video 2 프로젝트(동영상 2) = 316 10.4 비디오 목록과 재생 액티비티 : Video Album 프로젝트(비디오 앨범) = 325 Chapter 11 애니메이션 = 343 11.1 애니메이션 원리 = 344 11.2 프로프피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미지 회전 : Roulette 1 프로젝트(룰렛 1) = 347 11.3 뷰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미지 회전 : Roulette 2 프로젝트(룰렛 2) = 366 11.4 프로프티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병풍 : Folding Screen 1 프로젝트(불꽃놀이 1) = 384 11.5 뷰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병풍 : Folding Screen 2 프로젝트(불꽃놀이 2) = 401 11.6 프레임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애니메이션 : Folding Screen 3 프로젝트(달과 새) = 414 PART 03 사물인터넷과 센서의 활용 = 428 Chapter 12 터치 센서 = 431 12.1 터치 센서의 이해 = 432 12.2 터치 위치 읽기 : Touch 프로젝트(터치 위치) = 434 12.3 터치 위치를 따라 아이콘 움직이기 : Follow Me 2(나를 따라와 2) = 442 Chapter 13 모션 센서 = 453 13.1 센서의 이해 = 454 13.2 모션 센서의 이해 = 455 13.3 모션 센서값 읽기 : Motion Sensor(모션 센서) = 458 13.4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점프 회수 구하기 : Jumping(점프) = 470 Chapter 14 위치 센서 = 479 14.1 위치 센서의 이해 = 480 14.2 위치 센서값 읽기 : Position Sensor(위치 센서) = 483 14.3 근접 센서를 이용한 이미지 떨림 : Shaking 프로젝트(나를 그냥 둬) = 494 Chapter 15 환경 센서 = 503 15.1 환경 센서의 이해 = 504 15.2 환경 센서의 측정 : Environment Sensor 프로젝트(환경 센서) = 506 15.3 조도에 따른 가로등 불 밝히기 : Street Light 프로젝트(가로등) = 515 쉼터 5 : 예외처리 Chapter 16 NFC활용 = 526 16.1 NFC 활용 원리 = 527 16.2 NFC 태그 읽기 : NFC Reader 프로젝트(태그 읽기) 16.3 NFC 태그 쓰기 : NFC Writer 프로젝트(태그 쓰기) 16.4 NFC 태그 읽기와 웹페이지 오픈 : NFC Web(NFC 웹) PART 04 네트워크와 공개 API 활용 = 532 Chapter 17 하이브리드 앱 = 535 17.1 웹페이지 출력의 원리 = 536 17.2 웹뷰를 이용한 웹페이지 출력 : Hybrid App 1 프로젝트(웹페이지) = 538 17.3 웹사이트 목록과 링크 : Hybrid App 2 프로젝트(웹사이트 목록) = 545 쉼터 6 : 반복문 = 559 Chapter 18 공공 DB 오픈 API 활용 = 561 18.1 공공 DB 오픈API 원리와 활용 = 562 18.2 버스노선의 ID 조회 : Bus Route ID 프로젝트(노선ID) = 571 18.3 노선버스위치 조회 : Bus Positions 프로젝트(노선버스 위치) = 588 18.4 노선ID와 위치정보의 결합 : Seoul Bus Positions(서울버스 위치) = 597 Chapter 19 구글맵과 위치추적 = 609 19.1 구글맵 활용 원리 = 610 19.2 구글맵 프로젝트의 시작과 구글맵 API 키 받기 : Google Map 프로젝트(Map) = 616 Chapter 20 공공 DB와 구글맵 활용 = 649 20.1 공공DB와 지도 활용 원리 = 650 20.2 노선버스 실시간 위치 지도출력 : Seoul Bus 프로젝트(서울버스) = 652 PART 05 데이터 관리 = 664 Chapter 21 입력 컨트롤과 데이터 전송 = 667 21.1 입력 컨트롤과 데이터 전송 원리 21.2 입력 컨트롤을 이용한 화면 구성 : Contents Mgt 프로젝트(갤러리) Chapter 22 데이터베이스 활용 = 671 22.1 데이터베이스 활용 예와 원리 22.2 Contents Mgt 프로제트의 DB 연동(갤러리 앱) 찾아보기 = 6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