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 10 1. 공동체 개념의 문화사적 체계론 = 17 1.1. 두 종류의 공동체 = 17 1.2. 19세기 공동체와 사회의 분리 = 29 1.3. 퇴니스와 플레스너 : 공동체인가 사회인가? = 38 1.4. 사회학의 고전가들과 그 후계자들의 공동체 개념 = 46 2. 공동체적 관계들의 변동 = 52 2.1. 공동체의 상실 = 53 2.2. 후기현대에서 공동체의 회귀 = 55 2.3. 공동체의 형태변동 : 탈전통 공동체화 = 58 3. 공동체화의 메커니즘 = 63 3.1. 공동체의 내부 : 체험, 도취 그리고 황홀 = 64 3.2. 공동체의 외부 : 타자에 대한 경계와 이방인 = 71 3.3. 공동체의 상상력 = 79 4. 공동체의 기능들 = 85 4.1. 정체성 : 성공적 인격형성의 전제로서 공동체 = 86 4.2. 사회적 자본: 사회의 토대로서 공동체 = 95 4.3. 공화주의 : 민주주의의 조건으로서 공동체 = 103 5. 공동체의 정치 : 규범적 문제들 = 108 5.1. 정의 규범의 정당화에서 인격 개념의 의미 = 113 5.2. 공동체와 정의 원칙의 정당화 = 117 5.3. 공동체와 정치적 질서 = 127 5.4. 다문화주의와 소수자의 권리 = 133 6. 공동체의 해체 = 142 6.1. 성스러운 공동체들 그리고 콜레쥬 드 소시올로지 = 144 6.2. 공동체에 대한 해체적 입장들 = 147 6.3. 공동체와 정치적인 것 = 157 결론 : 논쟁적 개념으로서 공동체 =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