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4 들어가는 말 = 6 서언 = 22 제1장 고조선 이해를 위한 핵심개념과 주요쟁점 대고조선론과 소고조선론 = 36 고조선 논쟁과 만리장성의 동단 = 41 ''환단고기'' 문제 정리 = 42 고조선 논쟁과 윤내현이라는 학자 = 48 또 하나의 거목, 원로 사회학자 신용하 = 56 북한의 고대사학자들 - 리지린, 김석형, 조희승 = 60 제2장 고조선 논쟁의 역사 1988년, 이기백과 서영수 = 72 1988년, 이기동과 조인성 = 93 1990년, 노태돈 = 97 2003년, 송호정 = 112 2006년, 오강원 = 120 2007∼2010년, 서영수 그리고 김정배 = 128 1994년, 윤내현 그리고 전후 30년 = 130 2002년, 복기대 = 135 2005년, 박선희 = 136 2005년, 성삼제 = 137 신채호 = 138 정인보 = 147 제3장 고조선 논쟁 관련 주요 사건들 1981년, 국사 교과서에 대한 공청회 - 깡패와 더 큰 깡패 = 154 1995년, 이형구의 논문 - 윤내현 학살극 = 157 2016년, 동북아역사재단의 EKP 지원 중단, 마크 바잉턴 한국 고대사 연구 중단 = 159 2016년, 동북아역사재단, ''동북아역사지도'' 출판 불가 판정 = 165 제4장 재야사학계 비판 이덕일 = 174 이문영 = 192 김종서, 심백강 = 195 제5장 진보사학계 비판 강만길 = 202 이이화 = 204 2000년,『역사비평』겨울호 = 209 2016∼2017년,『역사비평』광풍의 1년 = 212 제6장 사이비역사학자들의 아성, 주류 고대사학계 비판 공석구 = 220 윤용구 = 227 주류 고대사학계 젊은 학자들 = 235 제7장 대고조선론의 도약 고구려 장수왕의 평양은 어디인가? = 253 압록강은 어디인가? 그리고 그 밖의 모든 것은? = 256 평양연구팀의 성격과 의미 = 258 복기대의 빛과 그림자 = 261 제8장 고조선론 주변의 수상한 사람들 이형구 = 272 우실하 = 276 결론과 전망 정말로 중요한 것은 과정이다 = 283 고조선 논쟁을 해결하는 방법 = 285 고조선 논쟁의 시금석, 윤내현 간첩 및 표절자 조작사건 = 286 고조선 논쟁의 전망 = 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