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색각과 자발광 시각 기술 1.1. 색각 특징과 현대 자발광 시각 기술의 최적화 = 2 1.1.1. 광수용 구조부터 색체계까지 = 2 1.1.2. 공간적ㆍ시간적 콘트라스트 민감도 = 8 1.1.3. 컬러 어피어런스 = 14 1.1.4. 색차 지각 = 18 1.1.5. 인지, 선호, 조호, 그리고 감성 컬러 = 21 1.1.6. 색각의 개인 간 다양성 = 22 1.2. (프린팅이 아닌) 현대 자발광 시각 기술의 색각 관련 기술적 특징 = 22 1.3. 시각 시스템의 지각적, 인지적, 감성적 특징과 상응하는 기술적 도전 과제 = 26 02 색채와 컬러 어피어런스 기반 디스플레이 특성화 2.1. 특성화 모델과 일반적인 시각적 결함 = 32 2.1.1. 톤 커브 모델과 인광 매트릭스 = 32 2.1.2. 측정된 색의 특성화, sRGB와 여러 특성화 모델 = 34 2.1.3. 가산성과 컬러 채널 독립 = 44 2.1.4. 다차원 인광 매트릭스와 여러 방법 = 44 2.1.5. 공간적 균등성과 공간적 독립 = 50 2.1.6. 시청 방향 균등성 = 56 2.1.7. 여러 다른 시각적 결함 = 58 2.1.8. 시청 환경 : 시청 조건과 시청 모드 = 60 2.1.9. 자발광 디스플레이에 대한 CIELAB, CIELUV, CIECAM02의 적용 = 62 2.2. 여러 디스플레이 기술의 특성화 모델과 시각적 결함 = 64 2.2.1. 다른 디스플레이 기술들의 현대적인 적용 = 65 2.2.2. 여러 디스플레이의 특별한 특성화 모델 = 67 2.3. 디스플레이 광원 기술 = 93 2.3.1. 프로젝터 광원 = 94 2.3.2. 백라이트 광원 = 97 2.3.3. 컬러 필터, 로컬 디밍, 영상 = 102 2.4. 큰 시야각 디스플레이의 컬러 어피어런스 = 105 2.4.1. 작고 큰 색 작극 사이의 컬러 어피어런스 차이 = 105 2.4.2. 색 크기 효과의 수학적 모델링 = 113 03 인간공학, 기억 기반 및 선호도 기반의 컬러 디스플레이 향상 3.1. 디스플레이를 위한 인간공학적 가이드라인 = 124 3.2. 컬러 이미지 재현의 목적 = 135 3.3. 컬러 디스플레이의 인간공학적 설계 : 색도 대비의 최적화 방법 = 136 3.3.1. 인간공학적 컬러 설계의 윤리 = 137 3.3.2. 가독성, 명료성, 검색 = 138 3.3.3. 광학적 검색 능력을 위한 채도 대비 = 141 3.3.4. 색도와 휘도 대비 성능 = 155 3.4. 장기 기억색, 문화 간 차이, 그리고 컬러 이미지 품질의 평가와 개선을 위한 사용방법 = 169 3.4.1. 익숙한 물체에 대한 장기 기억색 = 169 3.4.2. 장기 기억색의 문화적 차 = 174 3.4.3. 기억색에 의한 컬러 품질 향상 = 177 3.5. 화이트 포인트와 로컬 콘트라스트, 글로벌 콘트라스트, 색상, 채도를 위한 컬러 이미지 성능 = 178 3.5.1. 컬러 이미지 선호 데이터 군을 획득하기 위한 기구와 방법 = 180 3.5.2. 컬러 이미지 선호의 이미지 변환 = 181 3.5.3. 선호되는 화이트 포인트 = 182 3.5.4. 선호되는 로컬 콘트라스트 = 184 3.5.5. 선호되는 글로벌 콘트라스트 = 186 3.5.6. 선호되는 색상과 채도 = 188 3.6. 컬러 이미지 디스크립터에 대한 선호 기반의 컬러 이미지 강조에서 나이에 의존하는 방법 = 191 04 영화 필름과 TV 영상을 위한 컬러 관리와 이미지 품질 향상 4.1. 현대 영화 필름과 TV 영상의 워크플로 - 부품과 시스템 = 202 4.1.1. 워크플로 = 202 4.1.2. 오늘날의 극장과 TV 기술에서 컬러 관리 구조 = 205 4.1.3. 컬러 관리 해결 방안 = 207 4.2. 극장 영상 제작 체인의 구성 = 208 4.2.1. 카메라 기술의 전반적인 구성 = 208 4.2.2. 포스트프로덕션 시스템 = 217 4.2.3. TV와 영화의 시청 환경에서 CIELAB와 CIEDE 2000 색차 수식 = 221 4.2.4. 동화상을 위한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시스템에서 CIECAM02색 재현 모델의 응용 = 229 4.3. 색 영역의 차 = 237 4.4. 디지털 TV, 시네마와 카메라 개발의 공간적ㆍ시간적 특성의 이용 = 242 4.4.1. 디지털 TV와 영화 제작에서 공간적 시간적 특성 = 242 4.4.2. 디지털 동화상 카메라의 해상도 최적화 = 247 4.4.3. 압축된 동화상의 인지와 이미지 품질 이점 = 254 4.4.4. 디지털 동영상의 보호를 위한 워터마킹 알고리즘의 인지에 최적화된 개발 = 266 4.5. 영화 분야에서 광원에 대한 최적의 분광 분포와 그 컬러 연색성 속성 = 276 4.6. 컬러 동영상에서 시각 유발 감정 = 283 4.6.1. 기술적 요소, 심리요소 그리고 시각 유발 감정 = 283 4.6.2. 감정적 클러스터 : 감정 강도의 모델링 = 286 05 멀티 프라이머리 디스플레이의 픽셀 구성 5.1. 광 색 재현을 위한 3원색, 멀티 프라이머리 디스플레이의 최적화 원리 = 292 5.1.1. 타깃 컬러 설정 = 295 5.1.2. 최적화 요소 = 300 5.2. 광 색역 프라이머리 컬러와 컬러 어피어런스 공간에서의 색 재현성 = 308 5.2.1. 최적 컬러 프라이머리 = 309 5.2.2. 컬러 어피어런스 공간에서의 최적의 색 공간 = 311 5.3. 멀티 프라이머리 컬러 디스플레이에서의 서브픽셀 구조 최적화 원리 = 316 5.3.1. 색 윤곽 아티팩트 = 318 5.3.2. 최적화 원리 = 319 5.4. 3원색과 멀티 프라이머리 서브픽셀 구조와 컬러 이미지 구현 방법 = 324 5.4.1. 3원색 구조 = 324 5.4.2. 멀티 프라이머리 구조 = 325 5.4.3. 컬러 이미지 구현 방법 = 332 06 실내 조명 조건에서의 컬러 품질 향상 6.1. 컬러 연색성과 컬러 품질 = 337 6.2. 높은 연색 환경을 위한 실내 조명의 최적화 = 341 6.2.1. 컬러 충실도 인지 실험 = 341 6.2.2. 컬러 연색성 예측 모델 = 348 6.3. 컬러 조화를 고려한 실내 조명의 최적화 = 354 6.3.1. 컬러 조화 인지 실험 = 354 6.3.2. Szabó등의 컬러 조화 예측 모델 = 355 6.3.3. 조화 연색성 예측 계산 방법 = 358 6.4. 광원 컬러 품질의 주요 요소 = 362 6.4.1. 컬러 품질에 영향을 주는 인자 = 362 6.4.2. 실험적 컬러 특성 평가 방법 = 366 6.4.3. 컬러 품질 모델링 : 4인자 모델 = 373 6.4.4. 세 가지 실내 광원의 컬러 품질을 위한 주요 요소 = 375 6.5. 여러 광원 조건에서의 복잡한 실내 환경 평가 = 376 6.5.1. 색차수치와 연색수치 간의 심리적 관계 = 377 6.5.2. 복합적 실내 장면에서 색 재현성, 연색성, 조화와 관련된 밝기 : 계산 예시 = 384 6.5.3. 광원의 컬러와 백색 인지 정도 = 390 6.6. 광원의 컬러 품질에 대한 관찰자 간의 색각 편차 영향 = 392 6.6.1. 색각 메커니즘 편차 = 394 6.6.2. 컬러 품질 편차의 영향 = 395 6.6.3. 광원 디자인에 대한 적정 편차 = 399 07 최신 시각 기술 7.1. 최신 디스플레이 기술 = 404 7.1.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 404 7.1.2. 레이저, LED 디스플레이 = 405 7.1.3. 멀티 프라이머리 디스플레이의 색 재현성 확장 = 409 7.2. 최신 실내 조명 기술 = 416 7.2.1. 강조 조명을 위한 조절 가능한 LED 램프 = 416 7.2.2. 생체 리듬과 밝기의 최적화 = 418 7.2.3. 강조 컬러 품질 항목에 따른 광원의 선택 = 425 7.2.4. 새로운 인광체의 혼합물 = 427 7.2.5. 광원 디자인에서 색 항상성의 영향 = 435 7.3. 요약과 전망 = 438